• 역대 국사 교과서
  • 7차 교육과정
  • 초등학교 사회 6-1(7차)
  • 1. 우리 민족과 국가의 성립
  • (3) 유교를 정치의 근본으로 삼은 조선
  • [3] 두 차례의 전란 극복
  • ● 임진왜란은 왜 일어났으며, 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이겨 냈는지 조사해 보자.

● 임진왜란은 왜 일어났으며, 우리 조상들이 어떻게 이겨 냈는지 조사해 보자.

어느 날, 적의 공습을 알리는 사이렌이 울리고, “이것은 실제 상황입니다.”라는 방송을 듣게 된다면 우리들은 얼마나 놀랄까?

지금으로부터 400여 년 전 어느 날, 한양의 백성들은 남산 봉수대에서 평소와는 달리 다섯 줄기의 연기가 피어오르는 것을 보았다. 사람들이 술렁거리고, 파발마의 말발굽 소리가 요란해지면서 “왜적이 쳐들어온다.”라는 소문이 퍼지기 시작하였다. 백성들은 불안에 떨면서도 설마 하는 눈치였다.

1592년 4월, 왜군은 명나라로 가는 길을 내달라는 구실로 조선을 침략하였다. 그들은 부산진성과 동래성을 무너뜨리면서 한양을 향해 쳐들어왔다. 우리 군대는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하여 여기저기서 패하고 말았다.

확대보기
부산진성 전투
부산진성 전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임진왜란 때 왜군의 침입로
임진왜란 때 왜군의 침입로
팝업창 닫기

▶ 오른쪽 글을 읽고, 임진왜란이 일어날 무렵의 우리 나라 정세에 대하여 토의해 보자.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과 일본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오래 전부터 왜구는 우리 나라 해안 지역을 자주 침범했으나, 조선은 그 때마다 이들을 물리쳤기에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다. 이율곡은 왜구의 침입으로 나라가 위기에 처할 것을 염려하여 10만 명의 군사를 길러 대비해 두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무렵, 일본은 오랫동안 계속된 내전이 끝나자 그 동안에 길러진 군사력을 다른 나라를 침략하는 데 이용하고자 하였다.

왜군이 한양 부근까지 밀려오자, 선조는 한양을 떠나 평양을 거쳐 압록강변의 의주까지 피란하였고, 명나라에 지원병을 요청하였다.

바다에서는 경상도 해안을 지키던 우리 수군이 패하였으나, 전라도 해안을 지키던 이순신 장군이 왜군의 침입에 대비하여 미리 군사를 훈련시키고 전선을 정비해 두었기 때문에 왜군과의 해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확대보기
충무공 이순신
충무공 이순신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진남관(전라 좌수영의 중심 건물. 전라 남도 여수시)
진남관(전라 좌수영의 중심 건물. 전라 남도 여수시)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이순신 장군의 전승지
이순신 장군의 전승지
팝업창 닫기

이순신 장군의 승리는 패전을 거듭하던 조선군에게 용기를 불어넣어 주었다.

이순신 장군은 한산도 앞 바다 해전에서 가장 통쾌한 승리를 거두었다. 몇 차례의 해전에서 진 일본 수군이 모든 함대를 모아 총공격에 나서자, 이순신 장군은 이들을 한산도 앞 넓은 바다로 유인하였다. 그리고는 학이 날개를 편 모양으로 함대를 배치하는 진법을 폈다. 포위당한 왜군은 많은 군사와 배를 잃고 도망치기에 바빴다. 이 해전이 한산도 대첩이다.

확대보기
한산도 대첩(민족 기록화)
한산도 대첩(민족 기록화)
팝업창 닫기

이 해전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었던 까닭은 철저한 준비와 탁월한 전술은 물론, 거북선과 화포 등 뛰어난 무기를 잘 사용했기 때문이었다.

확대보기
거북선(모형)
거북선(모형)
팝업창 닫기

바다에서 승리가 계속되는 동안, 육지에서도 곽재우를 비롯한 의병들이 왜군과 독자적으로 전투를 하거나, 전열을 가다듬고 반격에 나선 관군을 도왔다.

의병들은 10여 명에서부터 수천 명에 이르기까지 그 규모에 차이가 있었지만, 나라를 구해야 한다는 신념은 한결같았다. 이러한 마음을 가진 의병들이 전국적으로 일어나 왜군에 대항하였다.

바다에서는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수군에 의해 보급로가 끊기고, 육지에서는 나라를 구하기 위해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과 관군에 패하자, 왜군은 더 이상 싸울 의욕을 잃었다. 이리하여 일본과의 전쟁은 노량 해전을 마지막으로 끝이 났다.

확대보기
진주성의 촉석루
진주성의 촉석루
팝업창 닫기

몇 년 후, 일본은 전쟁을 일으킨 것을 반성하고 다시 외교를 하자고 간청해 왔다. 이에 조선은 정기적으로 통신사를 파견하여 일본이 요청하는 학문과 기술, 그리고 문화를 전해 주었다.

▶ 인원도 적고 무기도 충분하지 못하였던 의병들이 왜군과의 전투에서 이길 수 있었던 까닭을 생각해 보자(사회과 탐구 58쪽).

확대보기
의병의 활동 지역과 의병장
의병의 활동 지역과 의병장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