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7차 교육과정
  • 초등학교 사회 6-1(7차)
  • 3. 대한 민국의 발전
  • (1) 나라를 되찾기 위한 노력
  • [2] 대한 독립 만세, 한국 광복군 만세
  • ●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대한 민국 임시 정부에서 한 일에 대하여 조사해 보자.

● 3⋅1 운동의 전개 과정과 대한 민국 임시 정부에서 한 일에 대하여 조사해 보자.

을사조약 이후 일본은 고종 황제를 강제로 물러나게 하고 군대를 해산시켰다. 또, 관리를 일본인으로 임명하고, 우리에게 불리한 법을 만들어 우리 민족을 고통스럽게 하였다. 그러다가 1910년에 이르러서는 우리 나라를 완전히 빼앗고 말았다.

이후 일본은 조선 총독부를 두고 헌병 경찰을 동원하여 우리 민족을 탄압했으며, 농민들이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토지를 제 때에 신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빼앗았다. 또, 우리 국민에게 일본을 우러러보고 섬기게 하는 식민지 교육을 하였다.

일제는 토지를 조사한다는 구실로, 소유권을 신고하지 않은 농민들의 토지를 빼앗아 국유지로 만들었단다.

▶ 일제가 우리 민족을 어떻게 탄압하였는지 알아보자.

확대보기
토지 조사
토지 조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조선 총독부
조선 총독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칼을 찬 일본인 교사들
칼을 찬 일본인 교사들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헌병 경찰
헌병 경찰
팝업창 닫기

이에, 우리 겨레는 나라 잃은 슬픔과 분노를 삭이면서 독립 운동을 펴 나갔다. 또, 일본에 대항하는 비밀 단체를 조직하여 국내에서 독립 운동의 기반을 마련하거나,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서 무관 학교를 세우고 독립군 단체를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벌였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자기 민족의 일은 민족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민족 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아 일본에 유학 가 있던 학생들이 독립을 요구하는 선언서를 발표하였다. 이 소식을 전해 들은 국내 독립 운동가들의 움직임도 활발해져, 1919년 3월 1일에는 온 겨레가 참여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이 날, 민족 대표 33명 중 29명이 모여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고, 서울 탑골 공원에서는 수많은 학생과 시민들이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 운동을 펼쳤다.

확대보기
3⋅1 운동 때 독립 선언서를 낭독했던 탑골 공원 내의 팔각정(서울 특별시 종로구)
3⋅1 운동 때 독립 선언서를 낭독했던 탑골 공원 내의 팔각정(서울 특별시 종로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민족 대표의 독립 선언(민족 기록화)
민족 대표의 독립 선언(민족 기록화)
팝업창 닫기

독립선언서의 내용

우리는 여기에 우리 조선이 독립된 나라인 것과 조선 사람이 주인임을 선언하노라. 이것을 세계 모든 나라에 알려 인류가 평등하다는 큰 뜻을 밝히며, 이것을 자손 만대에 일러 우리 민족이 독자적으로 생존할 정당한 권리를 영원히 누리게 하노라.

이 운동은 전국 방방곡곡으로 퍼져 나가 4월 말까지 계속되었으며, 멀리 만주, 연해주, 미국 등 해외에까지 퍼졌다.

확대보기
미국 등지에서 배포된 3⋅1 운동 관련 자료들
미국 등지에서 배포된 3⋅1 운동 관련 자료들
팝업창 닫기

독립가

터졌구나 터졌구나 조선 독립의 목소리

10년을 참고 참아 이제 터졌네

삼천리 금수강산 이천만 민족

살았구나 살았구나 이 한 소리에

만세 만세 독립 만세

만세 만세 조선 만만세

한편, 일제는 우리 민족이 무력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 운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사람을 죽이고 집을 불태우는 등 가혹한 탄압을 하였다.

3⋅1 운동은 비록 민족의 독립으로 이어지지는 못했지만, 우리 민족과 일본의 침략 정책에 많은 변화를 주었습니다.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세요.

3⋅1 운동은 우리 민족에게 독립에 대한 희망을 불러일으켜 대한 민국 임시 정부를 세우는 데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또, 비슷한 처지에 있던 다른 나라들에도 용기와 힘을 주었다.

확대보기
광화문 앞 기념비전에 모인 시위 군중
광화문 앞 기념비전에 모인 시위 군중
팝업창 닫기

▶ 다음 그림은 3⋅1 운동 때 독립 만세를 외치다 잡힌 유관순이 감옥에서 일본 헌병들에게 모진 고문을 당하는 장면이다. 상황에 맞는 대화글을 써 보자.

일본 헌병 :

유관순 :

일본 헌병 :

유관순 :

확대보기
유관순
유관순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팝업창 닫기

▶ 대한 민국 임시 정부를 세운 까닭과 그 활동에 대하여 알아보자(사회과 탐구 119쪽).

3⋅1 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에 민족 지도자들은 독립 운동을 좀더 효과적으로 펴 나가기 위해 중국 상하이에 임시 정부를 세우고 나라 이름을 ‘대한 민국’이라 하였다.

임시 정부는 나라 안팎의 독립 운동 단체를 통합하여 독립 운동의 기반을 마련하고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한 민국 임시 정부는 비록 해외에 있었지만 온 겨레의 지지를 받고 모든 동포에게 우리도 독립을 할 수 있다는 희망과 용기를 주었다.

대한 민국 임시 정부 헌장 내용(일부)

⋅ 대한 민국은 국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이다.

⋅ 대한 민국은 임시 정부가 다스린다.

⋅ 대한 민국 국민은 모두가 평등하다.

⋅ 대한 민국 국민은 말을 하거나 책을 펴내거나 모임을 가질 자유가 있다.

⋅ 대한 민국 국민에게는 교육, 납세, 병역의 의무가 있다.

확대보기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발행한 대한 독립 선언서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발행한 대한 독립 선언서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요인들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요인들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청사(중국 상하이)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청사(중국 상하이)
팝업창 닫기

상하이 임시 정부는 국내외 독립 운동의 중심 역할을 하였으며, 여러 나라와 외교 활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대한 민국 임시 정부는 독립신문을 만들어 국내외 동포들에게 독립 운동 소식을 전해 주었단다.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발행한 독립신문

대한 민국 임시 정부는 독립신문을 발행하여 임시 정부의 소식을 알렸으며, 대한 민국의 자주성과 우수한 민족 문화를 인식시켜 독립 의식을 드높였다.

확대보기
[독립신문]
[독립신문]
팝업창 닫기

대한 민국 임시 정부를 지켜 온 김구

김구는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글읽기를 좋아했고, 한때는 동학 농민 운동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대한 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면서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봉창,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1945년에 광복을 맞이하여 귀국한 후에는 우리 나라의 통일을 위해 노력하였다.

확대보기
김구
김구
팝업창 닫기

한국 광복군의 창설과 활동

1940년 9월 17일, 대한 민국 임시 정부는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한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초기에는 중국 정부의 도움을 받으며 훈련에 힘썼으나, 1941년 12월에 태평양 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에 선전 포고를 하였고, 이후 전력을 강화해 가면서 적극적인 항일 군사 활동을 펴 나갔다. 광복 직전에는 미군과 연합하여 일제를 몰아 내기 위한 작전을 준비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확대보기
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