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3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3차
  • Ⅰ. 고대 사회
  • 6. 통일 신라의 문화
  • (3) 신라 말의 사회 변동

(3) 신라 말의 사회 변동

중앙 귀족의 싸움

무열왕의 직계 자손들의 전제 왕권도 혜공왕 때에 와서는 방계 귀족의 반란으로 몰락하고, 선덕왕부터 내물왕계 귀족들이 왕위에 오르기 시작하였는데, 그 때부터 마지막 경순왕 때까지를 신라의 하대라고 한다. 이 동안 왕위 쟁탈전이 격화되어, 155년간에 20왕이나 교체되었으며, 웅천주 도독 김헌창의 반란과 같은 지방 반란은 그 뒤에도 되풀이되어, 중앙 정부의 지방 지배는 크게 약화되었다.

한편, 이 무렵부터 해안 지방에는 해적들이 나타나, 우리 해안과 일본 해안을 습격하여 그 곳 주민들을 잡아다 당에 노비로 파는 일이 자주 일어났다. 신라인으로서 당에 머물러 있던 장보고가 이러한 것을 보고 귀국하여, 청해진(완도)을 근거지로 삼아 해적들을 소탕하였으며, 나아가서 황해의 해상권을 확보하고 당, 일본과의 무역을 독점하였다.

그 뒤, 장보고는 중앙 귀족의 왕위 쟁탈전에 가담하여 신무왕을 도와 즉위시킨 일까지 있었으나, 암살당하고 말았다.

장보고 이후에도 서남 해안의 지방 세력으로 당이나 일본과 무역하며 국가의 감독을 받지 않는 해상 세력들이 성장하고 있었고, 내륙 지방의 호족 세력들도 차차 중앙 귀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고 있었다.

사회의 동요

진성 여왕 이후에 와서는 정치가 더욱 문란해져서 수습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각처에 해적이나 해상 세력이 등장하고, 지방 호족 세력이 독립하여 중앙 지배를 받지 않게 되었고, 살기 어려워진 민중들은 귀족이나 사원의 노비가 되거나 반란을 일으켜 저항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불교 사원은 귀족들의 재산 도피 장소가 되었고, 사원과 같은 경제 기반도 없는 하급 관리들이나 지식 계급들은 중앙 귀족 정치의 문란을 규탄하다가, 왕거인이나 최치원같이 탄압당하고 배척되었다.

중앙 진골 귀족들은 아직도 골품 제도의 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삼국 시대의 불교나 화랑도에서 항상 강조되어 오던 국가 정신을 잊어버리고, 그들의 독점 세력만을 유지하려고 하였다. 그들의 지나친 향락과 수취가 국가 경제를 위기에 몰아넣고 있었으므로, 호족 세력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반항 운동이 일어나 전국적으로 퍼졌다.

선종 9산의 등장

나말에는 교종의 전통과 권위에 대항하는 선종이 유행하였다. 선종은 교종의 기성 사상 체계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사색하여 진리를 깨닫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여, 개인적인 정신 세계를 찾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는 뒷날 중세적인 지성을 성립시키는 데 중요한 자극이 되었다.

신라 하대에 중앙 귀족들이 분열하여 싸우고 있을 무렵, 한편에서는 지방 세력들이 일어나고 있었는데, 선종의 각 파들은 이러한 지방의 호족 세력과 연결하여 각 지방에 본거지를 가지고 선종 9산이라는 여러 종파를 이루었다.

확대보기
신라의 5교 9산
신라의 5교 9산
팝업창 닫기

원래 선종은 중국에서 새로운 문화 운동의 하나로서 성립된 종파였던 까닭으로, 이 선종에 대한 이해는 신라인으로 하여금 그만큼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 주었다. 이것이 고려 시대에 와서 한문학을 크게 발달시킨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