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4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4차(상)
  • Ⅲ. 근세 사회의 발전
  • 1. 조선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 조선의 건국과 집권 체제의 강화

(1) 조선의 건국과 집권 체제의 강화

신진 사대부와 무인 세력

고려의 무신 정변 이후 신분 질서가 무너지면서 등장한 무인 세력과, 무신 집권하에서 새로운 관료로 등장한 세력, 그리고 원을 배경으로 등장한 세력 등이 고려 후기의 권문 세족으로 자리를 굳혀 행세하였다.

정치적 실권은 이들 권문 세족에게 집중되어 있었고, 이들 권문 세족은 토지와 노비를 많이 차지하고 농장을 확대시켜 부를 독점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사원(寺院) 경제의 폐단과 더불어 국가 재정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토지를 잃은 농민들은 오히려 권문 세족의 농장에 투탁하여 노비와 비슷한 천민으로 떨어지거나, 유민으로 전락하였다.

권문 세족의 이와 같은 횡포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새로운 사회 세력이 있었다. 이들은 경제적으로나 신분상으로 중간층에 속하는 향리 출신이 많았으며, 학문적인 교양을 갖추고 있었을 뿐 아니라 정치적 실무에도 능한 사대부, 즉 학자적 관료들이었다. 이들은 대개 향촌에서 배출되어 구질서와 권문 세족의 횡포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선 진취적 성향이 강한 계층이었다. 그리하여, 뒤에 성리학을 받아들여 자신들의 경륜을 더 넓힐 수 있었으며, 공민왕 때 과거 제도와 교육 제도가 다시 정비되면서 과거를 거쳐 중앙에 진출하여, 그들의 정치 이념과 세력을 더욱 심화하고 확대시켰다

한편, 공민왕 이후 국내적인 혼란과 원⋅명 교체기를 맞아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 등 전란이 잇달아 일어남으로써 새로운 무인 세력이 급속히 성장하였는데, 이들은 대개 변방 출신으로서 그 처지는 사대부와 비슷하였다.

이와 같이, 신진 사대부들과 무인 세력은 고려 후기 사회의 불안과 국가적인 시련을 해결하려는 의식을 가지고 권문 세족을 비롯하여 국가 경제를 좀먹던 사원 세력과 대립하면서 성장해 갔다.

조선 왕조의 개창

고려 말기에는 권문 세족이 발호하는 가운데, 중앙 집권적인 체제가 약화되고 왕권도 쇠퇴하였다. 더우기, 도평의사사가 상설적인 정치 기관으로 변질되면서 귀족 연합적인 정치 운영이 나타나 왕권은 더욱 크게 약화되었다. 따라서, 중앙 집권의 강화와 관료 정치의 정비는 국왕과 사대부의 양면에서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때에 공민왕이 즉위하여 권문 세족과 인연이 없는 승려 및 사대부와 연결하면서 개혁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우왕이 즉위하면서 권문 세족의 횡포는 극에 달하여 사대부 세력은 오히려 위축되었다.

이 시기에 사대부는 점차 두 파로 갈라졌다. 즉, 고려 왕조의 테두리 안에서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하는 온건파와 왕조 자체를 바꾸려는 적극적인 혁명파가 서로 대립하였다. 이 때, 다수의 사대부들은 온건파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정도전, 남은 등과 같은 혁명파는 신흥 무인 세력과 농민 군사들을 끌어들여 역성 혁명 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하였다. 특히, 이들은 막강한 군사력과 국민의 두터운 신망을 얻고 있던 이성계와 손을 잡음으로써 왕조 교체의 결정적인 힘을 얻었다.

혁명파는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였고, 명과의 관계를 호전시켰다. 이어서, 정치⋅토지⋅군사 제도 등을 부분적으로 개혁하여 새 왕조를 개창할 정치⋅경제⋅군사적 기초를 다졌다.

이에 대해, 정몽주, 이색을 비롯한 온건파 사대부들은 군주의 힘을 빌어서 혁명파를 제거하려 하였으나, 군사력을 가지지 못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그리하여,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혁명파는 권문 세족과 온건파 사대부들을 힘으로 누르고 전제(田制) 개혁을 단행하여 민심을 수습하고, 마침내 새 왕조를 개창하였다(1392).

권력 구조의 개편

새 왕조를 개창한 태조 이성계는 개국 공신들을 우대하여 결속을 굳게 하면서 민심을 수습하기 위하여, 처음에는 고려의 구질서를 그대로 유지하였다.

그러나, 곧 이어 고조선의 후계자임을 자처하여 국호를 조선(朝鮮)으로 고치고, 교통과 군사적 요지인 한양으로 수도를 옮겨 국가의 면모를 일신하여 구세력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기에 힘썼다.

한편, 안으로는 유교적이고 농본적인 기본 정책을 제시하고, 밖으로는 대륙의 신흥 세력인 명과 친선 정책을 표방하여 국왕으로서의 권위를 보장받으려 했다.

그러나, 정치적 실권은 개국 공신들에 의하여 장악되고 있어 왕실과의 사이에 분쟁이 일어났다. 이 때, 태종이 건국의 주도 세력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름으로써 조선 왕조 초기의 왕권은 안정되었다.

태종 때에는 왕권 중심으로 권력 구조를 바꾸고, 관제를 개편하여 관료 제도를 정비하였다. 양전 사업을 강화하고, 사원 경제에 대한 개혁을 단행하여 국가의 수입 기반을 넓혔으며, 신분⋅호적⋅조세 제도를 개혁하여 양인을 늘리고 국역 기반을 확대하였다. 태종 때 다져진 정치⋅경제⋅군사적 안정은 그 다음 세종 때에 이르러 문화의 융성을 이루는 터전이 되었다.

세종 때에는, 정비된 중앙 집권 체제를 원만히 운영하기 위하여 왕권과 신권의 조화에 노력하면서 모범적인 유교 정치를 구현하였다. 황희 등과 같은 청렴하고 능력 있는 재상을 등용하고, 집현전을 학술 기관으로 확장하였다. 그리하여, 젊고 재주 있는 학자들로 하여금 고금의 문물 제도를 깊이 연구하게 하여 정책 방향을 제시하게 하였으며, 문헌을 편찬하게 하고, 서정을 비판하게 하였다. 세종은 학자를 우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국민 복지 향상에 유의하여 조세⋅의료⋅형벌 제도를 개선하고 의창 제도를 실시하였으며, 노비의 지위를 높여 주기도 하였다.

세종은 또한 국토 확장에도 힘을 기울이고, 민족적 자각을 일깨우는 정신 문화와 국민 생활에 기여하는 기술 문화도 크게 진작시키는 등 민족 문화의 확고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확대보기
강무도
강무도
팝업창 닫기

그 뒤, 문종이 단명으로 돌아가고 어린 단종이 뒤를 이으면서 왕권이 약화되었다. 이에, 수양 대군이 왕위에 올라 왕권의 재확립에 노력하였다.

세조는 즉위하면서 의정부의 정책 결정권을 약화시키고 6조 직계 체제로 바꾸었으며, 단종의 복위를 꾀하는 사육신(死六臣)1) 남효온의 추강집(秋江集)에 사육신은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유성원, 이개, 유응부라고 하였다.을 제거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부국 강병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여 국력을 키우는 데 힘썼다.

한편, 직전법을 실시하여 국가 수입을 늘렸으며, 호적 사업과 호패제를 강화하여 국방력을 크게 신장시켰다. 또, 양성지, 권남 등의 보필을 받아 자주 의식을 고취하는 문화 정책을 펴서 국가 위신을 높이고, 북방 개척에도 힘을 기울였다.

성종은 세조 때부터 편찬되어 오던 경국대전을 완성하여 유교주의 국가의 법전을 갖추어 놓았다. 또, 성종은 학자를 우대하고 편찬 사업을 일으키는 동시에, 도첩제를 폐지하여 유교주의를 더욱 심화시켰다. 이리하여, 조선은 건국 후 근 1백여 년 간에 걸친 집권 체제를 위한 정비 작업을 일단락지었다.

확대보기
경국대전
경국대전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