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4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4차(상)
  • Ⅲ. 근세 사회의 발전
  • 2. 민족 문화의 발달
  • (1) 조선 초기의 사상 조류

(1) 조선 초기의 사상 조류

성리학의 두 흐름

고려 말의 신흥 사대부들은 조선 왕조를 개창하면서 전통적인 유학과 불교, 도교의 폐단을 시정하고 성리학(주자학)을 정치 지도 이념으로 내세웠다. 특히, 정도전과 권근 등은 성리학을 정치 지도 이념으로 정착시키는 동시에, 사회 개혁과 국가 운영의 기본 정신으로 삼아 부국 강병과 중앙 집권 체제의 강화에 노력하였다.

그러나, 조선 왕조의 개창을 둘러싸고 성리학 자체에 보다 충실하려는 일부 사대부들은, 왕조 교체가 유교적 윤리와 의리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역성 혁명에 참가하기를 거부하고, 향촌에 내려가 학문과 교육에 주력하였다. 그들은 대개 영남을 중심으로 이른바 사림파를 형성하였다.

국가 체제가 갖추어지고 불교의 사회적 폐단이 많이 시정된 세종 때 이후로는 성리학만을 크게 내세우지 않고, 한⋅당 유학을 비롯하여 중국 역대의 사상 조류를 폭넓게 받아들이며, 불교, 도교, 풍수 사상, 민간 신앙 등 우리 나라 역대의 사상 조류들에 대해서도 관대한 정책을 썼다.

이러한 사상 정책은 특히 세종, 세조에 의하여 주도되어 개성이 강한 관학의 학풍을 이룩하였다. 관학의 학풍을 가진 학자들은 뒤에 훈구파라 하여, 사림파의 학자와 구별되었다. 훈구파는 관학과 집현전 등을 통해서 양성되어 수준 높은 15세기 문화를 창조하였고, 사림파는 사학(私學)을 통해서 양성되어 16세기 이후의 사상계를 성리학 중심으로 이끌었다.

그러나, 성리학은 사회가 진전됨에 따라 부국 강병과 물질적 공리주의를 배격하고, 의리와 도덕을 지나치게 숭상하며, 향촌 자치와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 기우는 경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성리학은 민족에 대한 자각이 강하고 부국 강병을 열망하는 일반 대중의 심리에는 맞지 않는 점도 있었다.

불교의 정비

조선 왕조는 성리학을 바탕으로 하는 유교주의적 집권 국가였다. 이러한 국가 이념의 추구는 상대적으로 불교에 대한 정비를 불가피하게 하였다.

특히, 정도전은 불씨잡변을 비롯한 철학서를 저술하여 불교 철학의 이론적 모순점과 생산, 윤리, 민생 및 국가에 미치는 해독성을 비판하고, 성리학의 합리성, 윤리성을 강조하였다. 당시의 불교 사원 경제는 그 폐단이 극도에 달했던 때였으므로, 그들의 불교 배척의 이론은 많은 지식인의 공감을 얻었다.

그리하여, 조선 왕조 초기에는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몰수하여 불교의 사원 경제를 약화시키고, 도첩제를 실시하여 승려의 수를 제한하였으며, 불교의 종파와 사원의 수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불교에 대한 정비책은 새 왕조가 유교주의적 국가 기초를 확립하고 재정을 정비하는 한편,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현실적인 욕구에 의하여 수행된 것이었다.

그러나, 불교는 국가의 지도 이념으로서의 지위는 잃었지만, 신앙의 대상으로 왕실과 민간 부녀자층에 유포되었고, 세종, 세조 때에 그 폐단이 많이 시정되자 관대한 정책을 썼으므로 그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것은 불교 철학이 사물을 독립, 대립 관계로 보지 않고 포용, 융합 관계로 보고 있어, 국가와 개인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종교 기능을 가지고 있었고, 유교처럼 중국을 존중하는 세계관이 없었으며, 민간 신앙의 하나로 굳어져 있었기 때문에 그 나름대로 사회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세종, 세조 때에 이르러 우리 나라 역대의 사상 조류가 폭넓게 받아들여짐으로써 불사의 중건, 불경의 간행이 실시되고, 승려들의 사회⋅경제 활동이 용인되는 등 불교의 중흥이 꾀해지기도 하였다.

확대보기
원각사지 10층 석탑
원각사지 10층 석탑
팝업창 닫기

토속 신앙

조선 시대에는 도교, 풍수 도참설 등의 민간 신앙이 역사의 발전과 함께 토착화하여 보급되었으며, 국가 발전과 국민 생활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도교는 무(武)를 존중하고 하늘에 대한 제사를 중요시하여, 유교가 문약에 빠지고, 때로 사대에 치우치는 약점이 있는 것을 보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 초기에는 고려 시대에 잦았던 도교 행사를 줄여서 재정의 낭비를 없애면서도 도교 행사를 전적으로 폐지하지는 않았다.

특히, 소격서라는 관청을 두어 제천 행사를 주관하게 하였는데, 마니산의 초제(醮祭)가 가장 유명하였다. 단군이 하늘에 제사했다는 전설이 깃들인 마니산에서의 초제는, 도교 신앙이 민간 신앙과 연결되어 민족 의식을 높이는 기능을 가졌음을 뜻한다.

확대보기
마니산 참성단
마니산 참성단
팝업창 닫기

풍수 도참 사상도 오랜 전통을 가진 민간 신앙의 하나로서 조선 초기에 매우 중요시되었는데, 한양을 서울로 정한 것도 풍수 사상에 의해서 합리화된 것이었다.

이 밖에, 무격 신앙(샤아머니즘)과 산신 숭배, 부락제, 삼신 숭배 등도 오랜 전통을 가진 민간 신앙으로서 서민 사회에 널리 퍼져 있었다. 이러한 신앙들은 비과학적 요소가 많았으나, 서민들은 이러한 신앙 생활을 통하여 자아 의식을 가지고 소박한 무용과 음악 등의 정서 생활을 즐겼다.

조선 초기에는 민간 신앙의 지나친 미신 행위를 막는 동시에, 종묘, 사직, 문묘, 성황, 명산, 대천 등의 제사 규범을 유교적으로 개편하여 신앙의 통일을 추진하는 한편, 민간 신앙을 국가 신앙으로 흡수하기도 하였다. 예컨대, 무당을 국가에서 채용하여 국가의 각종 제사와 질병 치료에 이용하였고, 삼신 숭배를 국조 숭배로 흡수하여 구월산 삼성사에서 제사하는 동시에, 평양에 단군 사당을 따로 건립하여 제사하기도 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