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상)
  • Ⅰ. 선사 문화와 국가의 형성
  • 2. 국가의 형성과 문화
  • (1)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

(1)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

청동기의 보급

신석기 시대에 이어, 한반도에서는 B.C. 10세기경에, 만주에서는 이보다 앞서서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생산 경제가 더욱 발전하고, 전문적 분업이 이루어지면서 사유 재산과 계급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청동기 시대의 유적은 요령, 길림성 지방을 포함하는 중국 동북 지역으로부터 한반도에 걸쳐 널리 분포되어 있다.1) 대표적인 유적지로는 북한의 함북 회령 오동리, 나진 초도, 평북 강계 공귀리, 의주 미송리, 평남 승모군 금탄리 등을 들 수 있고, 남한에서는 경기도 여주 흔암리, 파주 덕은리, 충남 부여 송국리, 충북 제원 양평리 등을 들 수 있다.

이 시기의 전형적인 유물로는 반달 돌칼, 바퀴날 도끼를 포함하는 석기와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화살촉 등의 청동 제품, 그리고 미송리식 토기2) 미송리식 토기(또는 미송리형 단지)는 평북 의주 미송리 동굴 유적에서 처음 나타난 것으로, 납작 밑 항아리 양쪽에 옆으로 손잡이가 하나씩 달리고, 목이 넓게 올라가서 다시 안으로 오므라들고, 표면에 집선(集線)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며, 주로 청천강 이북, 길림, 요령 일대에 분포한다.와 전형적인 민무늬 토기 등이 있으며, 고인돌, 돌무지무덤, 돌널무덤 등에서 나오고 있다. 비파형 동검은 중국 동북부로부터 한반도 전역에 걸쳐 분포하며, 이러한 동검의 분포는 이 지역이 청동기 시대에 같은 문화권에 속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인 민무늬 토기는 지역에 따라 다른 모양을 보이고 있으나, 밑바닥이 좁은 팽이형과 밑바닥이 판판한 원통 모양의 화분형이 기본적인 것으로, 빛깔은 적갈색이다.

확대보기
미송리식 토기 그림
미송리식 토기 그림
팝업창 닫기

철기의 사용

청동기에 이어, B.C. 4세기경부터 철기가 쓰여지기 시작하였다. 특히, 철제 농기구의 사용으로 농업이 발달하여 경제 기반이 확대되었다. 철제 무기와 도구의 사용으로 인하여 종래 사용해 오던 청동기는 의기(儀器)화하였다. 철기의 사용과 함께 중국 화폐인 명도전 등이 사용되어 당시의 활발한 교역 관계를 보여 준다. 또, 한자도 사용되었는데, 최근에 발견된 경남 의창 다호리 유적에서는 청동기, 철기 유물과 함께 붓이 발견되어, 이 시기에 한반도 남단에까지 한자가 사용된 좋은 증거가 되고 있다.

확대보기
대쪽 모양 동기(충남 예산 동서리 출토)
대쪽 모양 동기(충남 예산 동서리 출토)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붓(경남 의창 다호리 출토)
붓(경남 의창 다호리 출토)
팝업창 닫기

그리고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 유물인 비파형 동검은 한국식 동검이라 불리는 세형 동검이 됐다. 그리고 거친무늬 거울은 잔무늬 거울로 그 형태가 변하여 갔다.

토기도 민무늬 토기 이외에 검은 간 토기와 입술 단면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덧띠가 붙여진 덧띠 토기 및 붉은 간 토기가 나타나고 있다.

확대보기
세형 동검, 민무늬 토기와 목항아리(충북 청주 비하동 출토)
세형 동검, 민무늬 토기와 목항아리(충북 청주 비하동 출토)
팝업창 닫기

이 시기에는 청동기 문화도 보다 활짝 펴, 한반도 안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룩하였다. 그리고 청동 제품을 제작하던 틀인 거푸집도 전국의 여러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다.

확대보기
청동기를 만들던 거푸집(전남 영암 구림리 출토)
청동기를 만들던 거푸집(전남 영암 구림리 출토)
팝업창 닫기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사회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에는 이전부터 주요한 생산 도구로 사용되던 간석기가 더욱 다양해지고, 기능도 개선되었으며, 생산 경제도 발전하였다. 이 시기에 살던 사람들은 농경을 더욱 발전시켜, 돌도끼나 홈자귀, 괭이로 땅을 개간하여 곡식을 심고, 가을에는 반달 돌칼로 이삭을 잘라 추수를 하였다. 농업은 조, 피, 콩, 보리 등 밭농사가 중심이었지만, 저습지에서는 벼농사도 행해졌다. 사냥이나 물고기잡이도 여전히 행해졌으나, 농경의 발달로 점차 그 비중은 낮아지고, 돼지, 소, 말 등 가축의 사육이 이전보다 늘어났다.

집자리 유적은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는데, 대체로 북서풍을 막아주는 나지막한 야산을 뒤에 두고, 앞에는 시냇물이 흐르는 곳에 식수원인 우물을 중심으로 모여 있다. 이것은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배산 임수(背山臨水)의 취락 여건을 갖춘 것으로, 오늘날 농촌의 자연 취락과 비슷한 모습을 보인다.

집자리의 형태는 장방형 움집인데, 점차 지상 가옥으로 바뀌어져 갔다. 움집 중앙에 있던 화덕은 한쪽 벽으로 옮겨지고, 저장 구덩도 따로 설치하거나, 한쪽 벽면을 밖으로 돌출시켜 만들어 놓았으며, 움집을 세우는 데 초석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집자리는 넓은 지역에 많은 수가 밀집되어 있어 취락 형태를 이루고 있었다. 이것은 농경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정착 생활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또, 같은 지역의 집자리라 하더라도 그 넓이가 다양한 것으로 보아, 주거용 이외에도 창고, 공동 작업장, 공공 의식의 장소 등도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보통의 주거용 집자리는 4~8명 정도의 가족이 살 수 있는 크기로서, 이것은 결혼의 형태가 부부를 중심으로 한 일부 일처제로 바뀌면서 가족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확대보기
청동기 시대의 집자리(전남 승주 낙수리)와 집 모형도
청동기 시대의 집자리(전남 승주 낙수리)와 집 모형도
팝업창 닫기

이러한 환경에서, 여성은 주로 집 안에서 집안일을 담당하게 되었고, 남성은 농경, 전쟁과 같은 바깥일에 종사하게 되었다. 따라서, 경제 활동의 중심이 남성에게로 옮아가고, 생산의 증가에 따른 잉여 생산물의 축적과 사적 소유로 인해 빈부의 차이와 계급이 발생하게 되었다.

계급의 분화는 사후에까지 영향을 끼쳐, 무덤의 크기와 부장품의 내용에도 반영되었다. 당시의 무덤으로 대표적인 것이 고인돌이다. 고인돌은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 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무덤으로, 그 형태는 보통 4개의 굄돌을 세워 돌방을 만들고, 그 위에 거대하고 평평한 돌을 얹어 놓은 것이 전형적이다. 그러나 남쪽으로 내려가면서, 또 시대가 내려오면서 무덤의 구조가 지하로 들어가고, 여러 개의 받침돌이나 돌무지로 덮개돌을 받친 형태도 나타났다. 고인돌은 한반도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그런데 규모가 큰 수십 톤 이상의 덮개돌을 채석하여 운반하고, 무덤에 설치하기까지에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고인돌은 당시 지배층의 정치 권력과 경제력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확대보기
고인돌의 하부 구조(전남 나주 판촌리)
고인돌의 하부 구조(전남 나주 판촌리)
팝업창 닫기

경제력이나 정치 권력에서 우세한 부족들은 스스로 하늘의 자손이라고 믿는 선민 사상을 가지고 주변의 보다 약한 부족을 통합하거나 정복하고 공납을 요구하였다. 청동이나 철로 된 금속제 무기의 사용으로 정복 활동이 활발해졌고, 이를 계기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분화는 더욱 심화되었다. 그리하여 평등 사회는 계급 사회로 바뀌어져 갔고, 권력과 경제력을 가진 지배자가 나타났는데, 이 지배자를 군장이라고 한다. 이들 군장은 청동기 문화가 일찍부터 발달한 북부 지역에서 먼저 등장하였다.

청동기, 초기 철기 시대의 예술

사회, 경제의 발전에 따라 예술 활동도 활발해졌다. 이 시기의 예술은 종교와 밀착되어 있었다. 그것은, 당시 제사장이나 군장들이 사용하였던 칼, 거울, 방패 등의 청동 제품이나, 토제품, 바위 그림 등에 반영되어 있다.

확대보기
가지무늬 토기(초기 철기 시대의 토기. 의식, 껴묻거리 등 특수 목적에 쓰임.)
가지무늬 토기(초기 철기 시대의 토기. 의식, 껴묻거리 등 특수 목적에 쓰임.)
팝업창 닫기

청동제 연모들은 그 모양이나 장식에 당시 사람들의 미의식과 생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또, 지배층의 무덤인 돌널무덤 등에서 출토된 청동제 의기들은 말이나 호랑이, 사슴, 사람 손 모양 등을 사실적으로 조각하거나, 기하학 무늬를 정교하게 새겨 놓았다. 이것들은 주술적 의미를 가진 것으로, 어떤 의식을 행하는 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흙으로 빚은 짐승이나 사람 모양의 토우 역시 장식으로서의 용도 외에도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확대보기
머리 없는 사람 모습을 한 청동기(충남 아산 남성리 출토)
머리 없는 사람 모습을 한 청동기(충남 아산 남성리 출토)
팝업창 닫기

바위 면을 쪼아 새긴 바위 그림은 당시 사람들의 활기에 찬 생활상을 보여 주고 있다. 울주의 바위 그림에는 고래, 거북, 사슴, 호랑이, 새 등의 동물과 작살이 꽂힌 고래, 덫에 걸린 동물, 울타리 안의 동물 등 여러 가지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이것은 사냥과 고기잡이의 성공과 풍성한 수확을 비는 염원의 표현으로 보인다. 고령의 바위 그림에는 동심원, 십자형, 삼각형 등의 기하학 무늬가 새겨져 있다. 동심원은 태양을 상징하는 것으로, 다른 농업 사회에서의 태양 숭배와 같이 풍요를 비는 것이다.

확대보기
바위 그림(경남 고령 양전동 및 울주 대곡리 반구대)
바위 그림(경남 고령 양전동 및 울주 대곡리 반구대)
팝업창 닫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