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상)
  • Ⅲ. 중세 사회의 발전
  • 1. 중세 사회로의 이행
  • (1) 고려의 성립

(1) 고려의 성립

호족의 대두

신라 사회는 9세기 말에 이르러 모순이 크게 드러나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 신라 사회를 이끌어 왔던 골품제는 점차 그 의미를 상실해 갔고, 현실적으로도 전제 왕권은 그 권능을 발휘하지 못하였으며, 중앙 귀족들은 부패하여 사치와 향락에 젖어 있었다. 이에 따라 정치 질서는 해이해지고, 국가 재정은 궁핍해졌으며, 농민들은 매우 고달픈 삶을 이어 가야만 했다. 신라 왕실에 대한 불평과 불만이 커지면서 각지에서는 농민들이 봉기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방 세력인 호족(豪族)들이 점차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여 중앙 정부에 항거하였다. 새로이 대두한 호족에는 크게 보아 두 가지 유형이 있었는데, 하나는 토착적인 지방 세력이 성장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방에 내려간 중앙 귀족들이 호족화한 것이다. 이들 지방 세력은 정치 질서가 해이해지면서 중앙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반 독립적인 세력을 형성하고, 그 지방의 백성들을 지배하였다. 이들은 스스로 성주(城主) 또는 장군(將軍)이라 칭하면서, 사병을 보유하여 그 지방의 행정권과 군사권을 장악하고 경제적 지배력을 행사하였다. 그리하여 신라의 골품제 사회는 이들 호족에 의해 점차 해체되어 갔고, 중세 사회로의 이행을 예비하기에 이르렀다.

확대보기
호족의 성터(광주 무진 고성)
호족의 성터(광주 무진 고성)
팝업창 닫기

후삼국의 성립

신라 말의 혼란을 틈타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여 신라 정부에 대항하는 이들이 나타났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견훤과 궁예였다. 이들은 각기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을 부르짖으면서 나라를 세워 신라와 대립하였으니, 이 시기를 후삼국 시대라고 한다.

먼저, 견훤은 본래 농민 출신으로서, 지방의 군사 세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하여 완산주에서 후백제를 건국하고(900), 지금의 전라도와 충청도 일부를 지배하였다.

이어서, 신라 왕족 출신으로 초적의 무리에 섞여 있던 궁예가 나라를 세워(901) 후고구려라 하더니, 뒤에 국호를 태봉(泰封)이라 하였다. 철원에 도읍을 정한 궁예는 한강과 임진강 유역의 호족 세력들을 통합하고, 새로운 관제를 마련하여 통치 기반을 강화하였다.

후백제와 태봉의 세력이 커짐에 따라 신라는 날로 쇠잔해져서, 그 영역은 지금의 경상도 지역으로 줄어들었다. 그리하여 신라는 안으로는 쇠약해진 사회를 개혁하지도 못하고, 밖으로는 견훤과 궁예의 세력에 대적할 힘도 없는 상태에 이르렀다.

확대보기
후삼국의 형세
후삼국의 형세
팝업창 닫기

고려의 건국

후삼국의 분열은 신라 사회의 모순과 호족 세력의 대두로 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후삼국의 분열을 수습한 이는 송악 출신의 호족이었던 왕건(王建)이다.

왕건은 예성강 유역의 해상 세력과 힘을 합하여 그 일대에서 지배력을 강화하더니, 궁예의 부하가 된 뒤부터는 수군을 이끌고 금성 지방을 점령하여 후백제를 견제하는 등 큰 공을 세웠다. 그리하여 궁예의 태봉은 그 위세가 자못 컸다. 그러나 궁예는 새로운 사회를 건설할 만한 정치적 경륜과 능력이 없었다. 마침내 왕건은 궁예를 몰아 내고 새 왕조를 세웠다(918).

왕건은 고구려의 후계자라는 뜻에서 국호를 고려라 하고, 도읍을 송악으로 정하였다. 그는 국가 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우선 민심을 수습하는 데 힘썼다. 그리하여 조세를 가볍게 하는 한편, 양민으로서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들을 해방시켜 주었다. 그리고 세력 기반을 강화하고자 각지에서 반독립적으로 항거하고 있던 호족 세력들의 회유와 포섭에 힘을 기울였다. 이에, 많은 호족들이 고려에 복속하여 왔다.

민족의 재통일

새 왕조를 개창한 태조 왕건은, 안으로는 호족 세력과의 결속을 강화하여 세력 기반을 굳히고, 밖으로는 중국 5대의 여러 나라와 외교 관계를 수립하여 고려의 국제적 지위를 높였다. 그는 후삼국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하여 신라에는 우호적 태도를 취하고, 후백제에 대해서는 무력으로 대결해 나갔다. 이로 인해 고려와 후백제의 각축은 날로 심해져 갔다.

마침내 고려는 신라를 병합하는 데 성공하였고(935), 이어서 내분이 일어나 분열된 후백제군의 주력을 선산에서 격파하고 후삼국을 통일하였다(936). 이에 앞서, 거란에게 멸망한 발해의 유민들이 고려로 망명해 오자, 태조는 이들을 크게 우대하여 민족의 통합 의지를 보다 확고하게 보여 주었다.

후삼국을 통일한 후, 왕건은 사회 혼란의 주요 원인이 가혹한 수취 체제에 있음을 알고 그 개선에 힘썼으며, 폐쇄적으로 사회를 얽어매고 있던 골품제의 사슬을 풀어 버리고 민족의 화합을 꾀하는 등 사회 건설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