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하)
  • Ⅰ. 근대 사회의 태동
  • 4. 문화의 새 기운
  • (1) 성리학계의 동향과 양명학의 수용

(1) 성리학계의 동향과 양명학의 수용

성리학적 질서의 강화

지배 질서가 동요하는 가운데에서도 지배층은 사회 변화의 움직임을 외면하고, 오히려 자신들의 지위를 보다 공고히 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군적 수포제를 통하여 양반과 상민의 구분을 확연히 하고, 서원과 향약을 통하여 지배 신분으로서의 양반의 특권을 강화하는 등 성리학적 질서를 절대적 도덕 규범으로 확립해 가려 하였다.

성리학은 우주 만물의 존재와 생성을 밝히는 관념적 학문이며, 우주와 자연의 질서를 인간의 도덕 규범과 관련시켜, 그 실현을 요구하는 실천적 학문이다. 그런데 성리학에서의 모든 인간 관계는 충효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수직적 질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성리학에서는 명분론(名分論)을 내세워, 누구나 그 직분이나 신분에 있어서 분에 넘치는 행위는 천리에 어긋나는 것으로 여겼으며, 따라서 지배 계층의 정통성과 봉건적 신분 질서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1) 성리학에서는 도덕적 규범을 강조하여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아들, 지아비와 지어미, 주인과 노비, 군자와 소인 등과 같은 현실적 인간 질서는 모두가 자신의 사회적 분수, 즉 명분에 따라 상명 하복(上命下服)의 관계 속에서 조화를 이룬다고 하였다. 이러한 논리는 지배 질서의 편성에 우선적으로 적용되었다. 그리하여 양반과 상민, 양인과 천인이 엄격히 구분되었고, 신분에 따른 직역이 법제화되었다.

성리학적 질서하에서는 임금과 신하, 아버지와 아들, 지아비와 지어미, 주인과 노비, 그리고 양반과 상민 사이의 종적인 지배 예속 관계가 절대시되었고, 그러한 관계를 밝히는 가르침으로써 삼강 오륜이 사회 규범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성리학적 질서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보다 더 강조되었다. 그런데 조선 후기에 접어들면서 지배 체제의 모순이 여러 모로 나타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정자들은 모순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 내지 못하고 있었다. 그들의 이론적 바탕이었던 성리학은, 이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사상적 기능을 잃어 가고 있었다.

물론, 향촌 사회에서는 아직도 전통적인 사회 질서의 유지에 성리학적 규범이 널리 활용되고 있었지만, 정치 사회에서는 일당 전제화하는 정국의 추세 속에서 전제 정권의 이론으로 굳어져 갔다. 따라서, 성리학은 다른 견해나 주장을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 하여 배척하는 등 사상적 경직성을 드러내게 되었다. 그리하여 지식층 일부에서는 사회의 모순을 바로 보고, 그것을 해결해 보려는 움직임이 나타났으니, 양명학의 수용과 실학의 연구가 그것이었다.

성리학의 발달과 학통

한편, 성리학적 질서가 강조되면서 성리학 자체의 학문적 연구도 활발해졌다.

성리학의 연구는 17세기에 이르러 정국의 흐름과 밀접히 관련되어 진행되었다. 즉, 17세기에는 붕당 정치가 나름대로 실시되었는데, 붕당인들은 그들의 붕당이 정통성을 가지도록 학연에 유의하면서 학문적 토대를 굳히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영남 학파가 주로 동인 계열을, 기호 학파가 주로 서인 계열을 이끌었다.

당초에는 동인이 정국의 흐름을 주도하였다. 그리하여 영남 학파가 정계에 많이 진출하였고, 그들의 학문적 활동도 두드러졌다. 그러나 동인은 곧 남인과 북인으로 갈라졌다. 처음에는 유성룡 등 남인 계열이 중용되었으나, 광해군이 즉위하면서 북인 계열이 실권을 장악하였다. 그런데 북인 계열은 영남 학파 중에서도 서경덕과 조식의 학통을 이었으며, 특히 절의를 중시하였다. 그리하여 정인홍, 곽재우와 같은 의병장이 많이 나왔다. 한편, 남인 계열은 이황의 학통을 내세웠는데, 정계에서보다는 향촌 사회에서 그 영향력이 컸다.

서인에 의해 인조 반정이 단행되고, 그들에 의해서 정국이 주도되면서, 이후에는 기호 학파가 그 위세를 떨쳤다. 서인의 집권은 다시 붕당의 분화를 가져왔다. 정책의 수립과 상대 붕당의 탄압 과정에서 보수와 혁신, 강경과 온건 등 노장 세력과 신진 세력 간에 갈등이 나타난 것이다. 그리하여 노론과 소론이라는 붕당이 생겨났다.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노론은 이이의 학통을 정통으로 이었다고 자부하였다.

확대보기
성리학 서적(송자대전)
성리학 서적(송자대전)
팝업창 닫기

이에 대하여, 윤증을 중심으로 한 소론은 성혼의 사상을 바탕으로 이황의 학설에도 호의를 보이고, 반면 이이에 대하여 비판적이기도 하여 성리학의 이해에 탄력성을 보여 주었다. 그리하여 소론은 송시열에 의해 사문난적으로 지적된 윤휴의 학설을 변호하고 두둔하였는가 하면, 양명학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노론이 정계와 학계를 주도하면서 한동안 주기설이 우세하였으나, 차차 그 안에서도 분파가 생겨, 18세기에 이르러는 주기론을 고집하는 충청도 지방의 노론과 주리론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 서울 지방의 노론 사이에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주기론은 그 후 한원진, 임성주 등에 의해 계승되었고, 19세기 중엽의 최한기는 주기론과 관련된 경험주의 철학을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려 주목을 끌었다.

한편, 향촌에서 서원과 향약을 통해 그 기반을 굳혀 간 남인 계열의 영남 학파는 학문의 본원적 연구에 힘썼다. 이들 영남 학파는, 그 후 이황의 학설을 정통으로 잇고자 하는 경상도 지방의 남인과, 이익, 정약용 등과 같이 주자의 해석에 구애받지 않고 독자적인 철학 세계를 구축하고자 한 경기도 지방의 남인으로 나뉘어졌다. 그런데 주리론은 왜란, 호란을 겪고, 서양 세력과 천주교의 도전을 받으면서 기정진을 중심으로 한 이 일원론(理一元論)으로 정립되었다. 이는 한말 위정 척사 운동의 철학적 기반을 이루었다.

양명학의 수용

조선 후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은 성리학 일변도의 사상 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을 요구하였다. 교조화된 성리학에 대한 비판은 일찍부터 제기되었는데, 17세기 후반의 윤휴는 유교 경전에 대해서 주자와 다른 주해를 내려, 성리학자들로부터 유학의 반역자라는 규탄을 받았다. 윤휴와 비슷한 시기에 박세당도 주자학을 비판하다가 당시의 학계에서 배척되었다.

성리학에 대한 비판적 동향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양명학의 수용으로 나타났다. 지행 합일(知行合一)의 실천성을 중시하는 양명학의 사상 체계는 두 차례의 전란을 겪으면서 그 의미가 새로이 인식되었다.2) 성리학은 지나치게 사변적이고 관념적인 데로 흘러서 현실을 외면하고, 보수적 집권층의 사상적 기반으로 굳어 갔다. 이에 반발하여, 정치에서 소외되고 있던 소론 계열의 학자들은 양명학을 주목하고 이를 수용하였다. 양명학에서는, 모든 인간은 양지(良知)라고 불리는 선험적 지식을 가지고 태어나는데, 양지는 사물을 바로 인식함으로써 완성된다고 하여 실천성을 강조하고 있다. 양명학에서는, 알았다고 하여도 행하지 아니하였다고 하면 그 앎은 진정한 앎이 아니니, 앎이 있다면 곧 행함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양명학은 주로 경기도 지방을 중심으로 하여, 재야의 소론 계열 학자와 불우한 종친 출신의 학자들 사이에서 많이 연구되었다. 이미 16세기 말부터 양명학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는데, 17세기에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였다. 양명학이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한 것은, 18세기 초 정제두가 양명학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이면서부터였다.

정제두는 강화도로 옮겨 살면서 존언, 만물 일체설 등을 써서 양명학의 학문적 체계를 세웠다. 그리하여 그의 영향하에 이른바 강화 학파(江華學派)로 불리는 양명학자들이 배출되었다.

확대보기
강화 학파의 계보
강화 학파의 계보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정제두의 글씨
정제두의 글씨
팝업창 닫기

당시의 학자들 중에는 성리학에만 치우친 조선 사회에서 이단으로 몰리는 것을 꺼려하여, 겉으로는 내색을 하지 않았지만 속으로는 양명학을 숭상하는 학자가 많았다. 한말 이후의 이건창, 박은식, 정인보 등도 양명학에 조예가 깊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