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하)
  • Ⅰ. 근대 사회의 태동
  • 4. 문화의 새 기운
  • (4) 과학과 기술의 발달

(4) 과학과 기술의 발달

서양 문물의 수용

조선 후기에는 자연 과학에도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다. 이는 조선 전기의 과학적 성과를 토대로 하여 새로이 서양의 과학 기술을 수용하였기 때문이었다.

조선에서 당시 서양의 문물을 접할 수 있던 길은 중국을 통해서였다. 조선에서 중국에 파견되는 사신의 왕래는 해마다 여러 차례 있었다. 사신들은 베이징에 머무르면서, 당시 선교 활동을 위해 중국에 와 있던 천주교 선교사들을 만날 수 있었는데, 선교사들은 천문, 역법, 지리, 수학 등 여러 과학 부문에 능통하였다. 그리하여 사신들은 이들로부터 서양의 과학 지식과 문물을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이다.

서양 문물은 국내 지식인 사이에 전파되어 학문적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다. 중국을 통해 전해진 천리경, 자명종, 화포, 천문, 역법, 천주교 관계의 서적 등은 커다란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실학자들은 서양 문물의 도입에 앞장 서 과학과 기술의 보급을 주도하는 한편, 천문학, 지리학, 수학 등의 발달에 기여하였다.

천문학과 의학

조선 전기에 있어서, 천문학, 의학과 같은 자연 과학은 학문적 가치가 충분히 인정되지 못하고, 주로 통치의 한 방편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 때문에, 과학과 기술 분야의 발달은 대개 중인 신분층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국민의 생활 문제가 중요한 관심사가 되면서, 실학자들도 과학과 기술 분야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먼저, 천문학에서는 일찍이 이수광이 일식, 월식, 벼락, 조수의 간만 등에 대하여 언급한 일이 있고, 김석문, 이익, 홍대용, 정약용 등은 지전설을 내세워 성리학적 세계관을 비판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천문학의 발전과 병행하여, 지리학에서도 새로운 기풍이 조성되어, 실학자들은 서양 지도를 통해서 보다 과학적이고 정밀한 지리학의 지식을 가지게 되었고, 지도 제작에 있어서도 실제 답사를 통해서 그 정확성을 기하고자 하였다. 한편, 중국에서 전래된 만국 지도는, 당시 조선 사람들의 세계관을 확대시켜 주었다. 수학에 있어서도 새로운 면모가 나타나, 최석정과 황윤석은 전통 수학을 집대성하였다. 또, 중국에서 유클리드 기하학을 설명한 기하 원본이 도입되어, 수학 역시 근대적 학문으로 발달하였다.

의학에서는 종래 한의학의 관념적인 단점을 극복하고, 실증적인 태도에서 의학 이론과 임상의 일치에 주력하였다. 17세기 초에 만들어진 허준의 동의보감은 우리의 전통 의학을 정립한 것으로, 의료 지식의 민간 보급에 공헌하였다. 같은 시기의 허임은 침구경험방을 저술하여 침구술을 집대성하였다. 서양 의학의 전래로 18세기에는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와 생리적 기능에 대한 지식을 얻었고, 정약용은 마과회통에서 종두법을 연구, 실험하였다. 이러한 의학의 전통이 계승되어, 이제마는 동의수세보원에서 체질 의학의 이론으로서 독특한 사상의학(四象醫學)을 확립하였다.

확대보기
동의보감
동의보감
팝업창 닫기

기술의 개발과 보급

조선 후기에는 농업, 어업, 건축 기술에서도 현저한 발달을 보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은 농업 기술 분야였다.

17세기에 이르러, 농업 생산력의 증대를 위해 새로운 농업 기술이 요청되고 있었다. 이에 실학자들은, 특히 농업 기술 연구에 힘을 기울였다. 먼저, 신속은 농가집성을 펴내 이앙법의 보급에 공헌하였는데, 여기에서는 곡물의 재배 기술에 관해서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보다 높은 소득을 올릴 수 있는 채소, 과수, 목축 등에 대해서도 관심이 많았다. 이에 박세당은, 색경에서 곡물 재배법 이외에 채소, 과수, 화초의 재배법과 목축, 양잠 기술에 대해서도 소개하였다. 즉,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고,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새로운 농법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홍만선, 서유구 등도 농업 기술의 개발과 보급에 힘썼다. 이와 같이, 농학에 대한 연구와 노력은 조선 후기의 농업 생산력을 높이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어업에 있어서는 어살〔魚箭〕을 설치하는 어법이 실시되고, 어망의 재료도 면사로 바뀌는 등 어구가 개량되었다. 17세기에는 김 양식의 기술이 개발되어 전라도를 중심으로 보급되었고, 18세기 후반에는 냉장선이 등장하여 어물의 유통이 더욱 활발해졌다.

기술의 개발에 있어서, 가장 앞섰던 사람은 정약용이었다. 정약용은 인간이 다른 동물보다 뛰어난 것은 기술 때문이라고 보았다. 또, 그 기술은 인간의 노력, 그것도 집단적 노력에 의해 발달되고, 선진 기술을 과감히 수용하는 가운데서 혁신된다고 보았으며, 기술의 발달이 인간 생활을 풍요롭게 한다고 확신하였다.

그러기에 정약용은 스스로 많은 기계를 제작하거나 또는 설계하였다. 그는 한강에 가설할 주교(舟橋)를 설계하였고, 중국을 통해서 들어온 서양의 축성법을 본떠 수원성 축조에 거중기를 사용하였으며, 조선, 총포, 병차 등에 관해서도 새로운 지식을 보급하였다.

확대보기
거중기(복원 모형)
거중기(복원 모형)
팝업창 닫기

실학자를 비롯한 진보적 지식인들은, 실로 과학과 기술의 발달을 통하여 민생을 편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