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5차(하)
  • Ⅲ. 민족의 독립 운동
  • 3. 경제⋅사회적 저항 운동
  • (2) 경제적 저항 운동의 전개

(2) 경제적 저항 운동의 전개

소작 쟁의

일제의 토지 수탈로 인하여 소작농으로 전락한 우리 농민들은, 일본인 지주에게 수확량의 50% 이상을 소작료로 바쳤을 뿐만 아니라, 그 위에 온갖 세금과 비료 대금까지 부담해야만 하였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 농민들의 소작 쟁의가 자주 일어났다. 특히, 일본인 지주에 대항하여 일어난 소작 쟁의는 농민들의 생존권 투쟁이었으며, 더 나아가 일제의 수탈 행위에 항거하는 항일 민족 운동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소작 쟁의는 1919년에 처음으로 발생한 이래 매년 증가하였다. 초기의 쟁의가 소작권 이전이나 고율 소작료에 대한 반대 투쟁이었음에 비하여, 1930년대 이후의 쟁의는 일제의 수탈에 반대하는 항일 민족 운동의 성격을 띠면서 더욱 격렬해져 갔다.

확대보기
연도별 소작 쟁의 건수
연도별 소작 쟁의 건수
팝업창 닫기

전국적인 농민 조직은 조선 농민 총동맹의 결성이 효시였다(1927). 이후, 전국 각지에 수많은 농민 조합이 결성됨으로써 쟁의는 보다 조직적으로 전개되어 갔다.

노동 쟁의

노동 운동은 주로 일제의 식민지 공업화 추진에 따른 가혹한 노동 조건 때문에 일어났다. 노동 쟁의는 값싼 임금 문제와 열악한 노동 조건을 주요 쟁점으로 하여 일어났으며, 파업이 전개될 경우, 예외 없이 경찰이 개입하여 실패로 돌아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쟁의가 발생한 곳은 대부분 일본인이 경영하는 공장이었으므로, 쟁의는 반제, 반일 투쟁으로서의 정치적 성격을 띠었다.

일제는, 1930년대에 대륙 침략 전쟁 수행에 필요한 군수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군수 공업 시설을 확충하고, 지하 자원을 약탈하였으며, 노동력을 동원하였다. 그러한 가운데서, 일제는 한국인 노동자의 임금을 더욱 인하하고, 노동 시간을 연장하였으며, 각종 부담금을 강제 징수하였다. 그리하여 노동자의 생활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계속적인 파업이 발생하였고, 마침내 노동자들은 지하 조직을 갖춘 노동 조합을 결성하여 계속적인 노동 쟁의를 전개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가혹한 탄압으로 노동 쟁의는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확대보기
일제에 징용되어 혹사당하는 우리 동포들
일제에 징용되어 혹사당하는 우리 동포들
팝업창 닫기

민족 기업의 성장

3⋅1 운동 이후, 민족 운동의 열기 속에서 민족 산업을 육성하여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려는 움직임이 고조되어 갔다. 그러나 민족 기업의 활동은 큰 회사의 설립보다는 오히려 소규모 공장의 건설에서 두드러졌다.

당시의 민족 기업은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지주 출신 기업인이 지주와 거상의 자본을 모아 대규모의 공장을 세운 것이며, 다른 하나는, 서민 출신의 상인들이 자본을 모아 새로운 기업 분야를 개척한 것이었다.

지주 출신의 기업을 대표하는 것은 경성 방직 주식 회사이고, 서민 출신 기업을 대표하는 것은 평양 메리야스 공장 및 양말 공장, 그리고 고무신 공장들이었다. 이들 민족 기업들은 순수한 한국인만으로 운영되었으며, 한국인의 기호에 맞게 내구성이 강하고 무게 있는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내놓았다.

한편, 금융업에도 한국인의 진출이 활발하였다. 3⋅1 운동 이후에 설립된 민족계 은행으로는 경남 합동 은행, 삼남 은행, 경일 은행, 호남 은행 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민족 기업은 1930년대에 들어와 일제의 교묘한 탄압으로 해체되거나, 일본인 기업에 흡수, 통합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 시기에 있어서 민족 기업의 활동은 1920년대에 비하여 크게 위축되지 않을 수 없었다.

물산 장려 운동

1920년대에 민족 기업이 점차 활기를 띠어 갈 때, 민족 운동의 일환으로서 전국적으로 전개된 것이 조선 물산 장려 운동이었다. ‘내 살림 내 것으로’라는 구호를 내세우고 전개된 물산 장려 운동은, 민족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민족 경제의 자립을 기하려는 민족 운동이었다.

확대보기
물산 장려 운동
물산 장려 운동
팝업창 닫기

물산 장려 운동은 조선 물산 장려회가 조직됨으로써 활기를 띠게 되었는데, 이 운동은 일본 상품을 배격하고 국산품을 애용하자는 것으로서,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또, 물산 장려 운동은 민족 자본의 육성을 위하여 소비 절약이 필요하다고 보고, 근검 저축, 생활 개선, 금주⋅단연 운동 등도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학생들 간에는 자작회 운동이 전개되었다.

물산 장려 운동은 전국으로 확산되어 추진되었으나, 이 운동도 일제의 탄압으로 큰 성과를 거둘 수 없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