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6차(상)
  • Ⅳ. 중세 사회의 발전
  • 4. 중세 문화의 발달
  • (3) 도교와 풍수 지리 사상의 유행

(3) 도교와 풍수 지리 사상의 유행

도교의 발달

삼국 시대에 전래된 도교는 고려 시대에 들어와 성행하였지만, 불교와 유교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였다. 원래, 도교는 고대의 민간 신앙과 신선술을 바탕으로 하고, 거기에 도가 사상과 음양⋅오행의 이론 등이 첨가되어 성립된 종교로서, 불로 장생과 현세 구복을 추구하는 특징을 가졌다. 고려 시대의 도교는 하늘의 별들과 서낭신, 토지신 등 많은 잡다한 신을 모시면서,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빌며, 국가의 안녕과 왕실의 번영을 기원하였다.

이에, 고려 시대에는 국가적인 도교 행사가 자주 베풀어졌다. 예종 때에는 도교 사원인 도관이 처음으로 건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도교 사상은 특히 불교적인 요소가 강하였고, 도참 사상까지 수용하여 유⋅불과는 달리 일관성이 결여된 면이 있었다. 또, 교단이 성립되지 못함으로써 민간 신앙으로 널리 퍼지지 못하였다.

풍수 지리설

풍수 지리설은 산세와 수세를 살펴 도읍, 주택, 능묘 등을 선정하는 일종의 지리학으로서, 지형과 지세에 따라 국가나 개인의 길흉 화복이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풍수 지리설은 도선에 의해 크게 선양되었는데, 여기에 예언적이고 신비한 성격의 도참 신앙이 가미됨으로써 고려 시대에는 풍수 지리설이 크게 성행하였다.

풍수 지리설에 의한 서경 길지설은 서경 천도와 북진 정책 추진의 이론적 근거가 되었으며, 개경 세력과 서경 세력의 정치 싸움에 이용되기도 하였다. 한편, 고려 중기에는 북진 정책의 퇴색과 아울러, 새로 남경 길지설이 대두하여 고려 말까지 정치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