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7차 교육과정
  • 고등학교 국사 7차
  • Ⅱ. 선사 시대의 문화와 국가의 형성
  • 1. 선사 시대의 전개
  • 심화 과정

심화 과정

선사 시대의 연구

1833년에 프랑스 학자 투르날(Tournal)은 기록이나 고문서가 나오기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인류 역사의 일부 시대를 지칭하기 위하여 ‘선사(prehistory)’라는 단어를 만들어 냈다. 이에 비하여, 역사 시대는 문자에 의한 기록이 나타난 이후를 지칭한다. 최초의 문자 기록이 대략 5000년 전에 이루어졌다는 점을 감안하면, 선사 시대는 인류의 출현에서부터 약 5000년 전까지의 장구한 시기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선사 시대를 연구한다는 것은 유적에서 출토되는 몇 가지 유물로부터 선사 시대를 재구성하는 것이며, 이는 범죄 현장에 남아 있는 극히 단편적이고 미미한 실마리로부터 범죄 상황을 추리해 내는 탐정이 직면한 문제와 같은 점이 있다.

1. 선사 시대를 연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조사해 보자.

2. 선사 시대를 구분하는 기준을 찾아보자.

3. 선사 시대의 각 시기에 인류가 사용한 도구의 종류와 발달 과정을 정리해 보자.

신석기 시대의 변화

기원전 8000년경에 후빙기가 시작되면서 기후는 차차 따뜻해졌지만, 기원전 5000년대 중반까지는 아직 기후가 추운 편이었다. 후빙기에 들어서면서 한반도의 자연 환경은 크게 변화하기 시작하여 해수면이 높아지고 동식물이 바뀌어 갔다. 그러나 기원전 5500년경부터 3000년경까지는 기후가 따뜻하여 소나무 숲에 상록 활엽수, 낙엽 활엽수가 첨가되어 현재와 비슷한 산림 형태를 이루었다. 이 무렵의 한반도는 대략 지금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었으나, 서해안에서는 해수면이 현재보다 7m쯤 낮아 사람들은 현재의 해안선보다 바다 쪽으로 더 나가 생활할 수 있었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씨족별로 대략 20~30명씩 무리를 이루어 사냥과 고기잡이, 채집 등을 행하며 공동체적인 삶을 영위하였다. 사냥과 고기잡이에서는 도구와 기술이 뒤떨어졌기 때문에 공동 노동을 하였고, 채집 생활도 함께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1. 구석기 시대에서 신석기 시대로 넘어가게 된 배경을 자연 환경의 변화와 연관하여 추론해 보자.

2. 신석기 시대의 사회 형태를 분석하고, 그러한 사회가 유지될 수 있었던 원인을 탐구해 보자.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