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2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2차
  • 단원 7.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우리 나라
  • Ⅰ. 제1차 세계 대전과 민족의 시련
  • [4] 3⋅1 운동

[4] 3⋅1 운동

민족 자결 운동

일본의 무단 정치 밑에서 신음하던 무렵 제1차 세계 대전이 있었고, 미국의 윌슨 대통령은 민족 자결주의(民族自決主議)를 주창하였다. 우리 나라도 이에 자극을 받아서 적극적으로 독립 운동을 일으키게 되었다. 고종의 인산(因山)을 이틀 앞둔 1919년 3월 1일에 민족 대표 33인이 서울의 탑골(파고다) 공원에 모여서 독립 선언문을 발표하고, 거국적인 독립 운동을 전개하였다. 일본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독립 운동이 전국 각지에 번져 가자 일본은 군대를 풀어서 이와 같이 나라의 자주 독립을 부르짖는 우리 애국민들을 수 없이 무차별하게 잡아 가두었고 학살하였다.

확대보기
파고다 공원
파고다 공원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3⋅1 운동
3⋅1 운동
팝업창 닫기

3⋅1 운동의 의의

3⋅1 운동은 국권 회복과 일본의 무단 정치에 항거하여 전 민족이 들고 일어난 커다란 독립 운동이었으나, 일본의 무력 탄압과 그들의 방해로 인한 국제 협조의 부족으로 독립을 찾지는 못하였다.

민족 자결주의를 내건 국제 연맹이나 외국의 정의감에 호소하려던 지도자들의 생각은 국제 정세에 어두웠던 탓이었다고 할 수 있다.

평화적 만세 운동만으로 독립을 찾을 수 있는 국제 정세는 못되었다 하더라도 3⋅1 운동은 민족의 전체적인 의사가 어디 있는가를 표시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일본에서 일어난 유학생들의 독립 선언문이나 그들의 취지는 좀 더 투쟁적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호응하여 간도에서는 일본 영사관을 습격하고, 상하이에는 대한 민국 임시 정부가 생겨 많은 독립 지사들이 뭉쳐 독립군을 기르고 독립 운동 자금을 모았으며, 국내의 독립 운동자들과 손을 잡게 되었다.

일본의 정책 변화

3⋅1 운동으로 독립을 얻지는 못하였으나, 무단 정치로 한국을 다스리려던 일본의 식민 정책에 변화를 가져 오게 만들었다. 한국 민족의 힘을 무시할 수 없음을 깨닫게 된 일본은 총독을 사이토오(齋藤實)로 바꾸고 무단 정치를 이른바 문화 정치로 고쳤다. 헌병 대신 경찰로 하여금 치안을 맡게 하고, 관리나 교원이 칼을 차던 제도도 폐지하였다.

일본의 무단 정치가 누그러지자, 우리 말 신문인 조선 일보와 동아 일보가 발간되고 여러 가지 잡지도 나오게 되었다. 또한 지방의 유지를 뽑아서 정치에 참여시키고 그 의견을 다소나마 듣게 된 것도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일본의 무단 정치가 회유 정책으로 바뀌고, 일본으로 하여금 직접적인 압박 대신 간접적인 방법으로 식민지를 통치케 한 것은 3⋅1 운동에 의한 일본의 정책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식량 생산지로서의 한국

쌀이 부족한 일본은 3⋅1 운동 이후 한국을 일본의 식량 공급지로 만들기 위해서, 이른바 자력 갱생이라는 슬로우건을 내걸고 한국 농민에게 쌀의 증산을 요구하였다.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 농토를 개간하고 수리 조합을 만들어 쌀이 증산되었어도, 해마다 일본의 쌀 반출량이 늘어 갔으므로 한국인의 생활은 비참해 갈 뿐이었다. 이러한 정책으로 한국의 농민은 쌀을 생산해 내고도 만주의 콩⋅조⋅옥수수 등을 먹어야 했고, 자작농은 줄어 들어 1930년 경에는 소작농이 농민의 7할을 넘었다.

《주요 용어》

민족 자결주의, 대한 민국 임시 정부, 인산, 식량 기지, 독립 선언문.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