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3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3차
  • Ⅱ. 삼국의 발전
  • 3. 삼국의 사회와 문화

3. 삼국의 사회와 문화

〔학습 개요〕

고대 국가인 삼국은 발달된 제도와 높은 문화를 이룩하였다. 삼국은 나라를 다스리기 위하여 중앙 정치 제도와 지방 행정 제도, 그리고 군사 제도를 갖추었다. 특히, 신라는 골품제라고 하는 신분 제도가 있어 그 사회를 규제하였다.

삼국은 일찍부터 자기의 사상과 신앙을 가지고 있었으나, 4세기 이후 중국을 통하여 불교를 수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학문을 발전시켜 이웃 일본에 전해 주기도 하였으며, 역사를 편찬하였다.

한편, 시가, 음악, 그리고 건축, 공예와 회화 등의 예술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것은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유물, 유적 들을 통하여 알 수 있다.

학습 문제

1. 삼국의 정치 제도와 사회 제도는 각기 어떠한 특색을 지니고 있었을까?

2. 화랑도는 어떠한 활동을 하였으며, 신라 사회와 어떠한 관계를 가졌을까?

3. 삼국의 종교와 학문은 어떠했으며, 종교가, 학자 들에는 어떤 분들이 있었을까?

4. 삼국의 문화는 어떻게 일본에 전파되었으며, 그 영향은 어떻게 나타났을까?

갖추어진 정치 제도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삼국은 초기의 부족 국가적 성격에서 벗어나 중앙 집권적인 고대 국가로 발전하였다.

고구려에는 수상격인 대대로가 있고, 이하 10여 등급의 귀족 관리들이 있어 정사를 맡아 보았다. 행정 구역은 수도와 전국을 각각 5부로 나누었는데, 지방 각 부에는 욕살을 두어 다스렸고, 각 부에는 성을 쌓아 국방에 대비하였다.

백제에는 16등급의 관리들이 있었다. 중앙에는 내신 좌평을 수상격으로 하는 6좌평이 있어 나라일을 나누어 맡았는데, 후기에는 중앙에 22부의 실무 관청과 지방에 22개의 담로를 두어 나라를 다스렸다. 행정 구역은 수도를 5부로 나누고 지방은 5방으로 나누었는데, 방에는 방령을 두어 다스렸고, 방 밑에는 군을 두었다.

신라는 초기에 박, 석, 김 3성이 번갈아 가며 왕위에 올랐는데, 내물왕 이후로는 김씨가 왕위를 세습하였다. 처음에는 성골에서 왕이 나왔으나, 태종 무열왕 때부터는 진골 출신이 왕위에 올랐다. 또한, 신라에는 화백이라는 귀족 회의가 있어, 국가의 중요한 사건들을 만장 일치의 방법으로 결정하였다.

신라에는 이벌찬을 비롯한 17등급의 관리들이 있었다. 행정 구역은 수도를 6부로 나누고, 지방을 5주로 나누어 군주를 두었고, 주 밑에는 군⋅현을 두어 다스렸다.

자리잡힌 사회 생활

삼국은 국왕을 중심으로 귀족 계급이 정치를 맡아 보았으며, 평민과 노예는 주로 생산 활동에 종사하였다.

고구려 사람들은 사냥을 좋아하고 무예를 숭상하는 기풍을 가지고 있었으며, 3월 3일에는 사냥으로 무술을 겨루었다.

고구려 고분 벽화에는, 귀족들이 깃털로 장식한 모자를 쓰고 있는 모습과 여자들이 수건을 쓰고 주름치마를 입은 모습이 보인다.

확대보기
고구려의 풍속화
고구려의 풍속화
팝업창 닫기

한편, 신라에는 골품제라는 엄격한 신분 제도가 있어, 그에 따라 관직의 승진에 제한이 가해졌으며, 의식주 등 일상 생활에도 일정한 제한이 가해졌다. 또한, 팔월 보름날을 가배라 하여 1 년 중 가장 큰 명절로 여겼다.

한편, 삼국의 산업은 농업을 주로 하고, 어업과 목축업도 하였다. 고구려에서는 조가 주요 농산물이었고, 백제와 신라에서는 벼농사가 행해져서 수리 시설이 발달되었다. 일반 민중들의 생활은 넉넉하지 못하여, 고구려에서는 가난한 농민들을 구제하기 위하여, 봄에 곡식을 빌려 주었다가 가을에 갚게 하는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신라에서는 서울에 시장이 설치되기도 하였으나, 산업은 그리 활발하지 못했다.

화랑도

신라에서는 나라에 쓸모 있는 청소년을 길러 내기 위하여, 진흥왕 때 화랑 제도를 개편하여 많은 인재를 양성하였다. 화랑과 낭도로 구성된 화랑도는, 평시에는 명산 대천을 순회하며 도의를 닦고 무술을 익혀 심신을 단련하였고, 전쟁시에는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바쳐 싸웠다.

화랑도는 세속 5계 등의 가르침을 따라 심신을 단련하여 훌륭한 재상과 명장이 많이 배출되었다. 이들은 신라의 삼국 통일에 크게 공헌하였다.

세속 5계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기고         〔事君以忠〕

효도로써 어버이를 섬기며         〔事親以孝〕

믿음으로써 벗을 사귀고           〔交友以信〕

싸움에 나서서는 물러나지 않으며  〔臨戰無退〕

생물을 죽이는 데는 가려야 한다.  〔殺生有擇〕

신앙 생활의 변화

이 때에는 자연신을 숭배하고 조상신과 국가 수호신을 받들어 그에 대한 제사의식을 국가적으로 행하였고, 또 민간에서는 무속, 점술 등의 풍속도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신앙들이 국가의 지도 이념이 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였으므로, 각국은 국민의 정신적 통일을 위해 체계적인 종교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이러한 때에 불교가 중국을 통해서 전해져, 삼국은 모두 이를 받아들여 나라의 정신적 바탕으로 삼았다.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는 중국을 거쳐서 삼국에 전래되었는데, 먼저 고구려에는 소수림왕 때 전진 왕 부견이 보낸 순도가 불경과 불상을 전하였고, 백제에는 침류왕 때 동진에서 온 서역의 승려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하였다. 한편, 신라는 눌지왕 때, 고구려 승려 묵호자가 들어와 전도하였으나, 뿌리 깊은 고유 신앙 때문에 오랫동안 국가의 인정을 받지 못하다가, 법흥왕 때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국가의 공인을 받기에 이르렀다.

확대보기
불교의 전래도
불교의 전래도
팝업창 닫기

한편, 불교가 전해짐에 따라 삼국의 사회와 문화도 크게 발전하였다. 삼국은 모두 불교가 나라를 수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종교라고 생각하여, 왕실과 귀족들의 도움으로 국가적인 신앙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불교와 함께 서역과 중국의 학문, 미술, 과학, 기술 등이 전래되었다. 삼국에서는 이를 받아들여 불교를 연구하는 학문적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큰 절 과 탑을 세우고 불상을 만드는 등 불교 예술의 발전을 보게 되었다.

또, 학문이나 예술로 국제적으로 이름을 떨친 승려들도 많이 나왔다. 고구려의 혜량, 담징, 백제의 관륵, 겸익, 신라의 원광, 자장, 원효, 의상 등은 모두 이름 높은 승려들이었다.

한편, 고구려의 영류왕 때에는 당에서 도교가 전래되었는데, 그 후 도교는 백제, 신라에도 퍼져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학문의 발달

우리 나라에 한자가 전래된 것은 고조선 말기부터의 일이지만, 삼국 시대에 들어와서는 활발하게 사용되었다. 그리고, 한자의 음을 따서 우리말을 표기하는 노력도 있었는데, 뒷날 신라의 설총은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이두를 발전시켰다.

이와 같은 한자의 보급에 따라 학문의 발달을 보게 되었다. 고구려에서는 소수림왕 때 서울에 태학을 세워 박사를 두고 가르쳤으며, 지방 여러 곳에 경당이라는 교육 기관을 세워 학문과 무술을 가르쳤다. 그리하여, 고구려인들은 오경, 사기, 한서, 문선 같은 책들을 읽었다. 백제에서는 유교 경전의 내용을 가르치는 오경 박사와 천문, 역법을 가르치는 역박사가 있었고, 또 의학을 가르치는 의박사도 있었다.

학문의 발달과 함께 자기 나라의 역사를 기록하려는 의식이 자라났다. 고구려에는 일찌기 유기 100권이 전해 왔었는데, 영양왕 때 태학 박사 이문진이 이를 간추려 신집 5권을 만들었고, 백제는 근초고왕 때 박사 고흥이 서기라는 국사책을 썼으며, 신라는 진흥왕 때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시가와 음악

예부터 노래와 춤을 좋아했던 우리 겨레는 많은 노래를 만들었으나, 지금은 거의 전해지고 있지 않다. 다만, 고구려에서는 유리왕이 지었다는 황조가와 을지문덕 장군이 수나라 장수에게 보낸 5언시가 한자로 기록되어 전해 오고 있다.

황조가(黃鳥歌)

유리왕

펄펄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정답구나.

외로와라, 이 내 몸은

뉘와 함께 돌아갈꼬.

신라에서는 향가라는 것이 있었는데, 이는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 표기하였다.

삼국에서는 여러 가지의 악기가 만들어졌고, 악곡도 지어 음악이 크게 발달하였다. 고구려의 왕산악은 중국의 악기를 개량하여 거문고를 만들고 100여 곡을 지었다고 하며, 거문고는 그 뒤 신라에 전해져 옥보고 같은 대가를 낳았다.

신라의 백결 선생은 방아타령을 지어 유명하였으며, 가야의 우륵은 가야금 곡조 185곡을 지어 제자들에게 가르쳤다고 한다.

백제에서도 일본에 악사, 악공, 악기를 전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음악이 매우 발달하였음을 알 수 있다.

활발한 미술 활동

뛰어난 예술적 솜씨를 가졌던 삼국 시대 사람들은, 건축, 조각, 공예, 회화 등의 미술 작품을 많이 남겼다. 이들 미술품은 소박한 자연미가 표현된 것이거나, 불교적인 요소가 풍기는 것이 많다. 이들의 뛰어난 솜씨는 고분 속의 벽화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고구려인의 미술 솜씨는, 옛 서울이던 통구와 평양 부근에 있는 고분 내부에 그려진 벽화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즉, 장군총의 웅장한 모습과 쌍영총의 아름다운 내부 구조, 그리고 무용총을 비롯한 많은 무덤에서 고구려인들의 뛰어난 솜씨를 볼 수 있다.

확대보기
쌍영총 내부도
쌍영총 내부도
팝업창 닫기

그리고, 백제 역시 무녕왕릉을 비롯하여 공주와 부여에 남아 있는 고분들을 통해서 그들의 솜씨를 보여 주고 있다

신라 역시 고분을 통해 많은 예술품을 남기고 있다. 신라의 고분은 목곽분 혹은 석실분으로 되어 있는데, 내부에서 왕관을 비롯한 화려한 유물들이 나왔다.

삼국의 지상 건축물로서 대표적인 것은 탑이다. 탑은 원래 목조탑이 유행하였으나, 후에 석탑을 쌓았다. 목탑은 남아 있는 것이 없으나, 황룡사의 9층 목탑은 매우 화려하였다고 한다.

목탑 형식을 보존한 익산의 미륵사지 석탑과, 부여의 정림사지 5층 석탑은 백제의 대표적 석탑이다. 신라는 분황사 석탑과 경주 첨성대 같은 아름다운 석조 건물을 남겼다.

확대보기
미륵사지 석탑
미륵사지 석탑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정림사지 5층 석탑
정림사지 5층 석탑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분황사 석탑
분황사 석탑
팝업창 닫기

조각품으로는 거의가 불상인데, 불상에는 작은 금동불과 커다란 석불이 있다. 고구려의 불상은 평양에서 발견된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이 유명하고, 백제 불상으로는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과 서산 마애 삼존 석불이 유명하다. 신라에도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을 비롯하여 많은 불상이 남아 있다. 그리고, 양지라는 승려는 조각가로서 유명하였다.

공예품은 고분과 절터에서 수없이 발견되었는데, 공주 무녕왕릉과 경주 금관총, 서봉총, 천마총 등에서 발굴된 금관 등이 가장 아름답다. 이 밖에, 금, 은으로 만든 팔찌, 혁대, 신과 여러 가지 구슬로 만든 장식품들은 무척 아름답고 정교하다. 또, 와당이나 벽돌의 무늬는 매우 아름다우며, 특히 백제의 산수문전은 유명하다.

확대보기
신라 금관
신라 금관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산수문전
산수문전
팝업창 닫기

회화 작품으로 남아 있는 것은 대부분 고분 벽화로서, 고구려와 백제의 것이 많다. 고구려의 고분 벽화로는 사신도, 무용도, 수렵도 등이 있다. 이 그림들은 색채나 필법이 뛰어나고 힘이 넘쳐 고구려인의 기상을 보여 준다.

백제에도 고분 벽화가 있는데, 공주 송산리와 부여 능산리 고분의 사신도가 유명하다. 고구려의 벽화가 웅건한 데 비하여, 백제의 벽화는 우아한 맛을 풍긴다.

신라의 벽화는 영주 태장리 고분에서 발견되었을 뿐이다. 그러나, 벽화는 아니지만 경주 황남동의 천마총에서 발견된 천마도는 신라인의 그림 솜씨를 보여 주고 있다.

확대보기
천마도
천마도
팝업창 닫기

화가로는 일본에 건너가 호오류우 사의 벽화를 그린 고구려의 승려 담징과 일본의 쇼오토쿠 태자의 초상을 그린 백제의 아좌 태자, 그리고 황룡사의 노송도를 그린 신라의 솔거가 유명하다.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

삼국은 서로 대립되어 경쟁하는 가운데 활발한 문화 교류를 이루었다. 또, 중국 문화와도 교류하면서, 바다 건너 일본 문화의 기틀을 잡아 주기도 하였다.

백제에서는 아직기와 왕인을 일본에 보내어 유학을 가르쳤고, 단양이, 고안무 등이 건너가 학문을 가르쳤다. 또한, 성왕 때에는 불교를 전해 주었다. 그리고, 백제와 고구려의 많은 승려들은 일본 불교계를 지도하였다.

유학과 불교 외에, 미술, 음악, 역학, 의학과 농업 및 여러 가지 기술도 깨우쳐 주었다. 일본이 아스카 문화를 일으키고 고대 국가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삼국의 문화를 전래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확대보기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도
삼국 문화의 일본 전파도
팝업창 닫기

학습 정리

1. 삼국의 정치 제도는 왕 아래에 10여 등급(고구려), 16등급(백제), 17등급(신라)의 관리들이 있었고, 중앙과 지방을 다스리는 행정 관청이 있었다.

2. 신라 진흥왕 때에 국가적인 조직으로 발전된 화랑도는 삼국 통일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3. 불교는 고대 국가로 발전하는 삼국에 정신적으로 크게 이바지하였고, 문화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4. 삼국 시대의 예술품은 대체로 소박한 자연미가 표현되었거나 불교적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5. 삼국 문화는 일본으로 전파되어 고대 일본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고, 아스카 문화 성립에 크게 작용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