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3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3차
  • Ⅲ. 통일 신라와 발해
  • 1. 통일 신라의 발전

1. 통일 신라의 발전

〔학습 개요〕

백제, 고구려가 망한 후, 신라는 한반도를 지배하려는 당의 야심을 분쇄해야 하였다. 수 년 간에 걸친 나⋅당 전쟁에서 신라는 당을 무력으로 축출하고 삼국을 통일하였다. 그리하여, 이제 우리 민족은 한 주권 아래에서 한 문화를 이룩하게 되었다.

통일 신라는 민족의 실질적인 통일을 위해 노력하여, 지방 행정 제도와 군사 제도에 있어서 옛 삼국을 동등하게 대우하려 하였고, 백제, 고구려 유민을 포섭하여 벼슬을 주기도 하였다. 또한, 삼국의 문화도 통합되고 더욱 발전되었다. 통일 신라는 이러한 경제적, 문화적 기반 위에서 제도를 정비하고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으며, 대륙과의 해상 활동도 눈부시게 되었다.

학습 문제

1. 신라의 삼국 통일은 우리 역사에서 어떠한 의의를 지닐까?

2. 신라는 통일 국가로서의 활동을 펴기 위하여 어떠한 노력을 전개하였을까?

3. 신라인의 해외 활동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신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까?

삼국 통일의 의의

6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가장 약했던 신라는 착실하게 국력을 키워, 6세기 중엽에는 한강 유역에 진출하여 백제, 고구려에 대항할 수 있는 태세를 갖추었다. 한강 유역에 진출한 진흥왕은 밖으로 가야 세력을 정복하는 한편, 안으로는 화랑도를 개편하여 장차 나라에 헌신할 수 있는 젊은이들을 키웠다.

이어서 신라는 활발한 외교 활동으로 당과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넘어뜨리고, 끝내는 당군을 축출하여 통일을 이룩하였다.

신라의 삼국 통일은 우리 역사상 큰 의의를 가진다. 그 때까지는 같은 민족인 삼국이 정치, 사회, 문화를 달리하고 있었으나, 신라의 삼국 통일로 우리 민족은 하나의 문화를 이룩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즉, 평화로운 가운데 삼국의 문화를 합쳐서 찬란한 통일 신라의 문화를 이룩하였던 것이다. 또한, 강대국인 당의 세력을 몰아 내고 민족의 독립을 지킴으로써 신라의 용맹을 떨쳤으니, 이는 길이 우리 민족사의 교훈이 되고 있다.

새로운 정치 제도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넓어진 영토와 새로 아우르게 된 국민들을 잘 다스리기 위하여 정치 제도를 개편하였다. 이 변화는 태종 무열왕을 거쳐 신문왕 때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통일 신라는 먼저 왕권을 강화하였다. 상대등의 세력은 약화되고, 국왕의 직속 기관인 집사부가 새로 설치되었다. 집사부의 장관인 시중이 수상격이 되어 모든 행정을 주관하였고, 그 밑에 많은 관청이 있어 각각 행정을 나누어 맡았다.

지방은 신문왕 때에 전국을 9주로 나누었다. 주에는 도독을 두었고, 주 밑에는 군과 현이 있었다. 그리고, 신라는 지금의 충주, 원주, 청주, 남원 및 김해에 소경이라고 하는 특수 행정 구역을 두어 5소경 제도를 마련하였다.

확대보기
통일 신라의 행정 구역도
통일 신라의 행정 구역도
팝업창 닫기

그리고, 지방의 호족을 인질로 삼아 교대로 수도에 머무르게 하여, 지방 사정을 알아보는 한편, 그들의 세력 확장을 방지하는 제도를 마련하였다. 이를 상수리 제도라 하는데, 이것은 후일 기인 제도의 시초가 되었다.

한편, 통일 신라는 넓어진 영토를 지키기 위하여 군사 조직을 강화하였다. 중앙군으로서 수도 주위에 9서당을 두고, 지방에는 각 주에 하나씩 정을 두었는데, 지역이 넓은 한산주에는 2정을 두어 모두 10정이 되었다.

경제 생활의 발전

삼국의 통일로 영토가 넓어지고 평화가 유지됨에 따라, 신라의 사회는 안정되고 경제가 번영하게 되었다.

통일 후 신라는 귀족과 공신에게는 식읍(녹읍) 또는 사전을 주었고, 백성에게는 정전을 주어 생활을 안정시켰다. 또, 각종 산업이 발달하여 생산이 늘어 갔다. 양잠, 직조, 목축 등이 성하였고, 금은 세공품, 나전 칠기, 도기 등의 수공업이 발달하였다. 특히, 견직물, 마직물, 인삼, 수공품 등은 중국으로 수출되었다.

산업의 발달과 함께 서울 금성은 한때 17만여 호나 되는 큰 도시를 이루었고, 기와집이 즐비한 거리에는 흥겨운 노랫소리가 넘쳤으며, 모두 숯으로 밥을 지었다고 한다.

확대보기
석빙고
석빙고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포석정
포석정
팝업창 닫기

해상 무역의 발달

8세기에 들어서면서, 신라와 당의 관계는 다시 가까와져서 신라에서 많은 유학생, 유학승을 파견하는 등 국제적인 문화의 교류가 빈번해졌다. 또, 일본과의 교류도 점차 늘어 가게 되었다.

신라의 당, 일본과의 해외 무역은 처음에는 국가 간에 행해진 공무역이 성하였는데, 점차 민간 무역이 늘어 갔다. 저포, 인삼, 금은 세공품 등을 당에 수출하였고, 중국에서 비단, 책, 관복, 약재 등을 수입하였다.

무역로는 전라 남도 영암에서 중국의 상하이와 쟝쑤성 방면으로 가는 바닷길과, 경기도 남양만에서 산뚱 반도로 통하는 바닷길이 있었다. 그리고, 일본과는 남해안에서 쓰시마 섬을 거쳐 교통하였다.

확대보기
통일 신라의 해상 무역로
통일 신라의 해상 무역로
팝업창 닫기

신라인의 당나라 무역은 대단히 성하여, 쟝쑤 성과 산뚱 반도에 신라방이라는 신라인의 마을이 생기고, 신라인이 관리로 임명된 신라소라는 감독 기관이 있었으며, 또 신라원이라는 절까지 있었다.

이 무렵, 당에 건너가 장군으로 활약하던 장보고는, 해적들이 무역선을 약탈하고 민중들을 잡아다가 노비로 파는 것을 보고 돌아와, 해적 소탕을 조정에 건의하여 청해진 대사에 임명되었다. 그는 완도에 청해진을 두고 1만 명의 해군을 길러 해적을 소탕하는 한편, 해상 무역을 총 지휘하였다. 그리하여, 청해진을 중심으로 하는 신라의 해상 무역 활동은 자못 번창하게 되었다.

학습 정리

1. 신라의 삼국 통일은 오랜 기간에 걸친 국력의 축적과 인재 양성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2. 백제, 고구려 멸망 이후, 삼국민이 협동하여 나⋅당 전쟁을 수행하여 민족 발전의 기틀을 이룩하였다.

3. 통일 이후, 신라는 삼국의 문화를 통합하면서 정치 제도를 정비하고 경제와 문화의 발전에 주력하였으며, 당과는 우호 관계를 수립하였고, 이에 따라 유학생, 유학승도 많이 배출하였다.

4. 통일 신라는 적극적으로 해외 진출에 나서서 당과 일본의 중간 무역의 이익을 취하였다.

5. 신라는 당에 신라방, 신라소, 신라원을 두었으며, 장보고는 청해진을 설치하고 해상 무역을 독점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