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3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3차
  • Ⅲ. 통일 신라와 발해
  • 3. 통일 신라의 문화와 사회의 변동

3. 통일 신라의 문화와 사회의 변동

〔학습 개요〕

통일 신라는 삼국의 문화를 흡수, 통합하여 찬란한 문화를 이룩하였다. 교육과 학문이 발전하였고, 문학과 예술이 그러하였다. 지금도 남아 있는 신라의 건축, 조각, 공예가 많은데, 그 중 불국사 안의 석탑이나 석굴암의 여러 조각들이 대표적이다.

삼국 시대에 이어 통일 신라에서도 불교가 발전하여 5교가 성립되고, 선종이 새로운 종파로 등장하였으며, 많은 고승들이 활동하였다. 이러한 문화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골품 제도에 의한 사회적 모순이 쌓여 갔고, 귀족들의 사치와 부패로 민중들은 고통에 빠졌다. 이러한 사회⋅정치⋅경제적 모순은 중앙 귀족들의 왕위 쟁탈과 지방의 반란을 유발시켰다. 정치 권력과 행정의 혼란에 따라 차차 지방의 호족이 등장하게 되자, 신라는 더 이상 나라를 통치할 능력을 유지할 수 없었다.

학습 문제

1. 통일 신라의 문화 활동은 우리 민족 문화 형성에 어떠한 의의를 지니고 있는 것일까?

2. 오늘날 남아 있는 통일 신라의 문화 유산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

3. 통일 신라의 불교는 어떻게 발전하고 있었을까?

4. 통일 신라는 어찌하여 혼란을 맞게 되었을까?

신라 문화의 전성

통일 후 신라의 경제는 날로 번영하였고, 통일 신라의 문화는 옛 신라의 문화를 중심으로 삼국 문화가 융합된 위에, 당과의 교류를 통해 더욱 찬란하게 꽃피게 되었다.

신라 문화의 전성기는 성덕왕에서 경덕왕에 이르는 기간으로, 이 때는 여러 가지 제도가 정비되고 경제가 안정되어 문화의 꽃을 피울 수 있었다. 불국사, 석굴암 등 지금 남아 있는 귀중한 문화재 가운데는 이 때 이루어진 것이 많다.

통일 신라 시대의 문화는 종교, 사상, 학술, 예술, 풍속 등 여러 방면에서 발전하였다. 이것은 그 후 고려를 거쳐 우리 민족의 문화 속에 면면히 이어져 왔다.

불교의 발전

통일 후에 불교는 더욱 발전하여 여러 종파가 생기고, 많은 절이 세워졌으며, 유명한 승려가 많이 배출되었다.

통일 무렵에는 5교(열반종, 계율종, 화엄종, 법성종, 법상종)가 성립되었으나, 말기에는 선종이 성행하여 9산의 종파가 성립되었다. 그리하여, 교⋅선 양종은 5교 9산으로 종파가 늘어 경쟁, 발전하였다.

이 시대에 건축된 사찰로는 불국사, 해인사, 부석사, 화엄사 등이 있는데, 이들은 지금도 유명하다. 고승으로 크게 활동한 분으로는 원효, 의상이 있는데, 원효는 불교의 민중화에 힘썼고, 의상은 화엄종을 귀족들에게 널리 전도하는 한편, 많은 절을 세웠다. 또, 이 때에는 중국이나 인도에 유학하는 승려가 많았다. 그 중 혜초는 인도를 순례하고 왕오천축국전이라는 기행문을 남겼다.

활발한 학문 활동

통일 후 신라는 태평한 세상을 맞아 문화 발전에 힘썼다. 특히, 교육 기관이 정비되어 학문 발달을 뒷받침하였다. 그리고, 당과 우호 관계가 유지되어 두 나라 사이에는 사신의 왕래가 잦았고, 신라에서는 유학생과 유학승을 당에 파견하게 됨으로써 신라의 학문은 더욱 발전하였다.

또, 신문왕 때에는 국학을 세워 유학을 가르쳤다. 경덕왕 때에 태학감이라 고치고, 경학 박사와 조교를 두어 논어, 효경, 예기 등 유교의 경전을 가르쳤다. 원성왕 때에는 독서 3품과를 설치하여 태학감에서 공부한 학생들의 성적을 상, 중, 하로 구분하고 관리로 채용하도록 하였다.

이리하여, 신라에는 강수, 설총, 김대문, 최치원 같은 훌륭한 학자가 나왔다. 강수는 뛰어난 문장가로 외교 문서에 능하였고, 설총은 이두를 발전시켜서 경서 해석에 이용하였다. 김대문은 계림잡전, 화랑세기, 고승전 등 많은 책을 남겼으며, 최치원은 당에 유학하여 그 곳에서 과거에 급제하고 벼슬도 하였는데, 그의 문장은 당에서도 이름을 떨쳤다.

최근 불국사의 3층 석탑 안에서 발견된 목판으로 인쇄된 다라니경이 증명하고 있듯이, 신라에는 이미 목판 인쇄술이 발달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확대보기
다라니경
다라니경
팝업창 닫기

한편, 신라 말의 도선은 풍수 지리설을 널리 전파시켰다. 이 밖에, 산학, 천문학, 의학, 병학 등 여러 학문도 발달하였다.

찬란한 미술

나라가 안정되고 경제 생활이 윤택해지며 불교가 크게 발달함에 따라 예술 활동도 매우 활발하였다. 그것은, 귀족들의 생활에 사용되었던 각종 공예품과, 불교를 배경으로 만들어진 사탑, 불상, 종 등에서 엿볼 수 있다.

건축물로는 경덕왕 때에 김대성의 발원으로 이룩된 불국사와 석굴암이 가장 대표적이다.

불국사는, 목조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지고 석조물만 남은 것을 재건한 것인데, 정문으로 올라가는 청운교, 백운교와 옆에 있는 연화교, 칠보교는 매우 아름답다. 특히, 대웅전 앞에 있는 3층 석탑(석가탑)과 다보탑은 통일 신라 시대의 탑 중에서도 최고 걸작품으로 손꼽힌다.

석굴암은 우리 나라 석굴 사원의 대표적 건물이다. 큰 돌로 벽을 두르고 사방에 아아치 형으로 돌을 쌓아 천장을 만든 석굴과 그 가운데 안치된 본존상, 그리고 그 안벽에 새긴 여러 보살상은 서로 아름답게 조화되어 예술의 극치를 이루고 있다.

확대보기
석굴암 본존상
석굴암 본존상
팝업창 닫기

이 밖에, 석조 건물로는 감은사지 3층 석탑과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이 걸작품이며, 석조물로 된 조각으로는 무열왕릉 비석의 대좌와 괘릉 및 김유신 묘의 호석에 새겨진 12지 신상이 훌륭하다.

확대보기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팝업창 닫기

또한, 상원사의 동종을 비롯하여 많은 종이 있는데, 특히 봉덕사의 성덕 대왕 신종에 새겨진 비천상문과 연화문, 당초문 등의 조각은 우수하다.

확대보기
봉덕사 성덕 대왕 신종의 비천상문
봉덕사 성덕 대왕 신종의 비천상문
팝업창 닫기

이 밖에도, 꽃무늬와 얼굴 모습이 새겨진 기와와 벽돌은 특색 있는 예술품이다. 또, 많은 장신구와 금은 세공품들은 당시의 공예 기술의 발달을 보여 주고 있다.

향가와 음악

삼국 시대부터 발달하던 향가는 통일 후에도 유행하였다. 월명사, 충담사 등 승려와 화랑이 향가의 작자들이었는데, 그 중에는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작품도 있다. 진성 여왕 때에는 각간 위홍과 대구화상이 왕명을 받들어, 당시에 전해지던 향가를 모아 삼대목이라는 향가집을 편찬하였다. 향가는 국가의 태평과 부처의 은덕을 나타내는 내용이 많은데, 통일 신라인들의 시가 문학의 솜씨를 잘 나타내고 있다.

제 망매가(祭亡妹歌)

월명사(月明師)

삶과 죽음의 길이

예 있으매 두려워,

나는 가노란 말도

못 다 이르고 갔는가.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여기저기 떨어지는 잎처럼,

한 가지에 나고서

가는 곳 모르겠구나.

아, 극락에서 만날 나는

도 닦으며 기다리련다.

한편, 향가와 함께 음악도 발전하였다. 통일 신라는 고구려, 백제의 음악과 융성하는 당의 음악을 흡수하여 여러 종류의 악기와 악곡이 성행하였는데, 특히 옥보고와 그의 제자들이 거문고에 뛰어났다. 한편, 범패라고 불려지는 불교 음악도 전래되었다.

귀족 중심의 사회 생활

삼국 통일로 하나의 사회를 이룩한 우리 나라는, 비로소 같은 사회 생활을 이룩하게 되었다. 통일 후에도 귀족, 평민, 노비로 구분된 신분 제도는 대체로 지켜졌다. 그리하여, 귀족들은 관직을 독점하고 교육의 혜택과 경제적인 특권을 누렸다. 그들은 공을 세워서 국가로부터 많은 토지를 받고 전쟁 포로를 노비로 삼아 호화스러운 생활을 할 수 있었다.

국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민과 노비들은 국가가 준 토지나 귀족들의 토지를 경작하는 생산 활동에 종사하는 한편, 조⋅용⋅조의 세를 바치는 등 여러 가지 의무를 지니고 있었다. 또, 일반 농민과는 구별되는 특수한 신분에 속하는 집단이 있었는데, 이들이 사는 곳을 향, 소, 부곡이라 불렀다.

신라 말의 사회 변동

통일 후에도 신라에는 골품제라고 하는 신분 제도가 엄격히 지켜졌다. 이러한 골품제는 골품이 낮은 사람들의 불만의 대상이 되었고, 사회의 발전을 가로막는 요소가 되었다. 그리하여, 골품제에 대한 폐단이 지적되기도 하였다.

통일 후 번영을 유지하던 신라는, 8세기 중엽의 대공의 난을 계기로 진골 귀족들 사이에 왕위 쟁탈전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헌덕왕 때에는 김헌창이 반란을 일으켰고, 흥덕왕이 죽은 후에는 왕위 다툼이 더욱 심해져 같은 핏줄끼리도 싸웠다. 이리하여, 신라 말기 150여 년 동안 20왕이 교체되는 혼란을 빚었다.

한편, 왕위 다툼으로 중앙의 정치가 혼란해지자, 지방에서는 성주 혹은 장군이라 자칭하는 호족이 나타나 한 지방을 차지하여 세력을 확대하여 갔다. 이들 중에는 마침내 중앙 정부의 지배에서 벗어나 선종과 결탁하여 새 사회 건설의 야심을 가진 자도 있었다.

이와 같이, 중앙과 지방의 국가 질서가 흐트러지자, 떠돌아다니는 유민들이 늘어 갔고, 진성 여왕 때에 이르러서는 각지의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리하여, 중앙 정부는 나라 전체를 지배할 능력을 잃어, 이제 통일 신라는 농민들을 장악한 후족 세력들에 의하여 분열의 시기를 맞게 되었다.

학습 정리

1. 통일 신라의 불교는 5교 9산으로 발전하여 고대 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2. 통일 신라의 예술은 안으로 삼국의 것을 종합하고, 당 문화를 받아들여 큰 발전을 이룩하였다.

3. 통일 신라 시대에는 민족 사회의 기틀이 마련되었다.

4. 신라 말에는 정권 쟁탈과 지방 반란이 일어나고, 호족 세력이 지방에 웅거함으로써 신라의 지배력은 약화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