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3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3차
  • Ⅵ. 조선 사회의 새 움직임
  • 4. 격동하는 조선 사회

4. 격동하는 조선 사회

〔학습 개요〕

순조 이후 60여 년 간 세도 정치가 행해진 가운데, 조선의 양반 사회는 또다시 큰 혼란을 겪었다. 삼정이 문란해져 농촌 사회는 큰 고난을 겪고, 부패한 세도 정치에 반발하는 민란이 자주 일어났다. 또한, 고달픈 현실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한 정신적 노력에서 새로운 종교를 찾는 사람이 나와, 천주교의 교세가 늘고, 동학이 농촌 사회에서 급속하게 뻗어났다.

한편, 동양으로 진출한 서양 세력은 청을 침범하는 한편, 우리 나라에까지 손을 뻗쳤다.

이와 같이, 안으로 세도 정치의 혼란과 밖에서 밀려오는 외세의 접근으로 위기를 맞게 된 양반 국가를 부흥, 수호하기 위한 노력은 흥선 대원군의 혁신과 쇄국 정치로 나타났다.

학습 문제

1. 삼정은 국민 생활과 어떠한 관계에 있었으며, 그것은 어떻게 문란해졌을까?

2. 고난에 허덕이는 농촌 사회에서 민중들은 어떠한 활동을 폈을까?

3. 천주교와 동학은 어찌하여 박해를 받았을까 ?

4. 서양 세력은 어떻게 우리 나라로 접근해 왔을까?

삼정의 문란

18세기 영⋅정조 때에는 중흥 정치로 민생이 어느 정도 안정되고 문화 활동도 활발하였으나, 19세기에 들어서 순조, 헌종, 철종 3대 60여 년 간에 걸쳐 외척 세력에 의한 세도 정치가 벌어지면서 조선 사회는 큰 혼란을 겪었다. 세도 정치란, 특정 인물이 국왕의 신임을 얻어 국정을 맡아 왕권을 대행하는 비정상적 정치를 말한다.

본래 세도 정치는 정조 때 홍국영에서 비롯되었으나, 본격적인 세도 정치는 순조 때 김조순을 중심한 안동 김씨의 세도에서 시작되었다. 헌종 때에는 안동 김씨의 세도를 꺾고 풍양 조씨가 세도권을 잡았으나, 철종 때 다시 안동 김씨 손으로 넘어갔다.

중앙 정계의 혼란과 적합하지 못한 인물의 지방관 임명으로, 관리들은 권력을 배경으로 국민을 학대하고 부정한 수단으로 재물을 모으기에 바빴다. 이리하여, 국가 재정의 근본인 전정, 군정, 환곡의 삼정이 근본적으로 크게 문란해졌다. 전정이란, 토지에서 받아들이는 전세, 삼수미, 대동미 결작 및 각종 부가세를 뜻하며, 군정은 정남이 바치는 군포를, 그리고 환곡은 관곡을 봄에 대여하고 가을에 수납하면서 이자를 붙여 받는 것을 말한다.

지방 관리들은 이와 같은 삼정을 부당하게 운영하며 사리만 좇으므로, 농민의 괴로움은 컸고 국고 수입이 크게 줄어들었다. 조정에서는 이와 같은 지방 관리들의 부정을 바로잡고자 암행 어사를 자주 파견하였으나, 근본적으로 잘못되어 있는 세도 정치를 그만두지 않는 이상 이를 막아 낼 수는 없었다.

농촌 사회의 고난

삼정 문란은, 한편으로는 국가 재정의 부족을 가져왔고, 다른 한편으로는 농촌 사회를 고난으로 이끌었다. 농민의 부담을 더욱 무겁게 만드는 일은, 세납을 내야 하는 농토가 점점 줄어들고 세납의 의무를 지니는 호구가 줄어드는 일이었다. 이 무거운 의무를 다하지 못하고 도피하는 자가 생기게 될 때, 그의 부담은 친척이나 동리 사람들에게 물리므로, 농민들의 고난은 더욱 컸다. 그 위에 헌종, 철종 때에는 흉년과 전염병이 거듭되어 농촌 생활을 더욱 어둡게 하였다.

이러한 어려운 생활 가운데 유민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민란까지 발생하였다.

홍경래의 난과 민중의 동요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된 농민들은 먼저 정치를 바로잡아 주기를 바라는 청원 운동과 벽서 사건을 일으켰다.

순조 10년 이후 흉년이 거듭되고 콜레라가 전국을 휩쓸게 되자 민심은 더욱 악화되어, 마침내 홍경래의 난이 일어났고, 이어 각지에서 민란이 일어났다. 그런데, 이러한 민란에는 농민만이 아니라, 몰락한 지방 양반도 가담하였다.

홍경래의 난은, 그릇된 세도 정치에 시달리던 농민들과 관서 지방인들에 대한 부당한 차별 대우에 불평을 품어 오던 서북 지방민을 배경으로 하여 몰락 양반인 홍경래가 평안도 땅에서 일으킨 난이었다. 홍경래 군은 한때 청천강 이북 여러 고을을 지배하였으나, 정주성에서 패하고 반 년 만에 진압되었다(1811).

농민의 동요는 철종 때 가장 심하여 전국 각지에서 민란이 자주 일어났다. 철종 13년에 일어난 진주 민란을 계기로 개령, 함평, 익산, 공주 등 남부에서는 물론, 북으로 함흥에서 남으로 제주도에까지 파급되어 국내가 몹시 어수선하였다.

확대보기
홍경래의 난과 민란
홍경래의 난과 민란
팝업창 닫기

이들 민란은 당시의 정치적 문란과 사회적 혼란에 대한 일반 민중의 자각 운동이었다. 비록 이들 민란이 정부군에 의하여 그 때마다 진압되기는 하였으나, 일부 지배층의 각성을 촉구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천주교의 유포와 박해

우리 나라의 천주교 신앙은 밖으로부터 선교사들에 의한 전교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오랜 동안에 걸친 학문적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신앙이었다.

그러기에, 초기의 신자들은 학식을 가진 양반이나 중인들이 중심이었고, 교회 활동도 서울, 내포, 전주를 중심으로 태동되었다. 초기 교인들의 노력으로 교세는 차차 농촌 사회로, 서민층으로 뻗치게 되었다.

그런데, 전통적인 입장에서 보면, 천주교의 평등과 내세 사상은 유교에 터전한 사회 질서와 예속 생활을 근본적으로 그르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므로 이를 금하고 박해하였다.

우리 나라의 천주교는 이후 근 100년간에 걸쳐 박해를 받았고, 그러한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신부인 김대건을 비롯하여 1만여 명의 순교자를 냈다. 박해는 계속되었다. 그러나, 계속된 박해에도 불구하고 그 교세는 도시와 농촌 사회로 날로 뻗어 났다.

확대보기
양화진 절두산(순교 기념관)
양화진 절두산(순교 기념관)
팝업창 닫기

동학의 성립과 성장

사회가 혼란해지고 민심이 불안한 세상이 되면 인간은 의지할 수 있는 종교를 찾게 된다. 당시 불교는 산중으로 숨어들었고, 또한 유교는 농민에게서 멀어지고 있었다. 또, 새로이 도시와 농촌 사회에 자리를 차지하게 된 천주교가 있었으나, 그것은 서양에서 자라난 종교여서 생소하기도 하거니와, 한편 서양 세력의 동양 침략에 휘말려들 염려가 있다고 경계하기도 했다.

이러한 때, 고대의 민간 신앙과 유⋅불⋅선 3교에 토대를 두고 인간의 평등을 내세우며 서학을 반대하고 나선 동학이 최제우에 의하여 창도되었다.

최제우는, 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천주교의 유포로 말미암아 우리의 것과 우리 사회가 위험에 놓이게 되었다는 자각에서, 인내천의 사상을 내세워 인간을 구하려고 동학을 창도한 것이었다. 동학은 단순한 신앙 운동이 아니라, 어지러운 정치와 어두운 사회를 바로잡고 민생을 구하려는 사회 운동이기도 했다.

확대보기
최제우
최제우
팝업창 닫기

동학 운동이 경주 지방에서 발생하여 농촌 사회로 급속히 퍼져 그 가르침을 받드는 세력이 차차 늘자, 정부는 이를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속이는 것이라는 구실로 탄압하였고, 마침내 교주 최제우를 처형하였다.

동학 교세는 교조의 순교로 한때 흩어졌으나, 제2대 교주 최시형의 노력으로 조용한 가운데 농촌 사회에서 착실하게 뿌리를 내렸으며, 각지에 접소를 설치하고 신도 조직을 갖추었다.

다가드는 서양 세력

17세기부터 서양 열강은 활발하게 동양으로 진출하였다.

그리하여, 그 세력은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중국에 침략의 손길을 폈다. 아편 전쟁과 애로우호 사건이 그것이다.

한편, 이러한 침략 세력은 우리 나라에도 뻗어 왔다. 최초로 우리 나라에 통상을 요구해 온 것은 영국의 암허스트 호였다. 이어서 프랑스도 동양 함대를 파견하여 통상을 요구해 왔으나 모두 거절당하였다. 이들 외국 배를 당시 우리 나라에서는 이양선이라 하였다.

확대보기
이양선
이양선
팝업창 닫기

17세기 이후 시베리아로 진출한 러시아는 1860년에 연해주를 차지하면서,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우리 나라와 국경을 접하게 되었고, 또한 태평양을 건너 동양 항로를 개척한 미국은, 무력 시위로 쇄국 일본의 문호를 열게 한 후, 우리 나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확대보기
서양 세력 출몰
서양 세력 출몰
팝업창 닫기

철종 때에는 이러한 이양선이 우리 해안에 더욱 자주 나타나 우리 나라를 불안과 긴장에 몰아넣었다.

청이 이들 서양 열강의 침략 세력으로 말미암아 고통을 받아, 나라가 위태로운 지경에 몰렸다는 소식이 우리 나라에 알려졌고, 또한 그 세력이 직접 우리 해안에 자주 나타나므로, 우리 나라도 차차 세계사의 흐름 속에 말려들지 않을 수 없었다.

학습 정리

1. 세도 정치는 정상적인 통치 질서를 무너뜨리는 정치였고, 세도 정치하에서 삼정이 극도로 문란해져 농촌 사회는 큰 괴로움을 겪었다.

2. 괴로움을 겪는 농촌 사회에서는 민란이 자주 발생하였고, 한편 새로운 종교를 찾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3. 일부 학자들의 학문적 노력에서 서학이 일어나고, 천주교 운동이 벌어져 민중에 파급되었다. 천주교는 양반 사회를 그르치는 것이라 하여 100여 년 간 박해를 받았다.

4. 외세의 접근과 천주교의 유포로 생겨나는 새로운 사태를 극복하려는 자주적 종교 운동으로 동학 운동이 일어났으나, 이것도 박해를 받았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