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3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3차
  • Ⅷ. 일제의 침략과 줄기찬 독립 투쟁
  • 4. 민족의 문화 운동

4. 민족의 문화 운동

〔학습 개요〕

일제는 대륙 침략을 감행하면서 우리 민족과 아울러 전통 문화까지 말살하려 하였다. 3⋅1 운동을 계기로 실시한 이른바 문화 정치는, 우리 민족을 이간시키려는 간교한 정책이었다. 그렇지만, 뜻있는 민족 지도자들은 국학, 언론, 교육, 종교, 문학, 예술 등을 통하여 주체 의식과 민족 문화의 긍지를 살리는 데 힘썼다. 즉, 민족 언론 기관은 민중을 계몽하여 독립 의식을 고취하였고, 교육가들은 민족의 장래를 위하여 민족 교육 운동에 힘썼다. 그리고, 유구한 민족사를 일깨우고 우리 말과 글을 사수하려는 노력은 국학 연구의 발전을 가져왔다. 한편,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도 민족 감정을 되살리는 운동이 전개되어 민족 의식을 앙양하였다.

이러한 민족 문화 운동은 일제의 가혹한 탄압을 받았지만, 광복의 그 날까지 줄기차게 계속되었다.

학습 문제

1. 일제 침략하에서 민족 문화를 지키기 위한 투쟁은 어떠한 성격을 띠었을까?

2. 문화 투쟁은 어떠한 모습으로 전개되었을까?

3. 문화 투쟁은 조국 광복과 어떠한 연관을 지니고 있었을까?

4. 일제는 어떤 방법으로 민족과 민족 문화를 말살하려 하였을까?

민족의 다양한 문화 운동

제국주의 일본의 식민 정책은 정치적 탄압으로만 그친 것이 아니라, 문화의 각 분야에까지 골고루 미쳤다. 학교 교육에서는 물론, 사회 교화 활동에서도 온갖 만행을 감행하였다. 언론, 문화, 예술, 체육 활동에 엄중한 통제와 검열을 가하여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억압한 것이 그것이다. 이에, 3⋅1 운동으로 민족의 역량을 과시한 우리 민족은, 독립 운동의 방향을 대내적으로는 실력 양성에 두었다.

독립 운동은 만세 시위나 학생 운동, 또는 개인적인 의거나 무장 독립 항쟁으로만 전개된 것은 아니었다. 일제의 경제 수탈에 항거하여 우리의 민족 경제를 키우기 위한 경제적인 독립 투쟁도 전개하였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우리 문화를 짓밟고 나아가 우리 민족성을 말살하려 하는 일제에 대항하여, 민족 문화의 전통을 지키고 민족 문화를 창조, 발전시키려 하는 문화 투쟁도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한말 애국 계몽 운동의 전통을 이은 문화 운동은 강한 민족 정신을 담은 독립 투쟁으로서, 농민, 학생, 지식인 사이에 폭넓은 기반을 가지고 전개되었다. 당시 한국의 지도자들은 교육 운동, 국학 연구, 신문학 운동, 그리고 민족 예술의 보급을 통하여 민족 정신을 배양함으로써 독립 사상을 앙양시켜, 뒷날 조국 광복의 문화적 토대를 쌓았다.

언론 투쟁 활동

문화 운동에 있어서 민족 독립 투쟁의 선봉에 선 것은 언론 운동이었다. 일본의 회유 정책에 따라 언론, 출판이 허용되어 조선 일보, 동아 일보 등이 창간되었다. 이들 민간 신문은 일제의 악명 높은 검열 제도와 항쟁하면서 민족 사상의 고취, 민족 의사의 대변, 민족 문화의 계승, 재난 동포의 구호 등의 운동을 폈다. 특히, 한글의 보급, 문맹 퇴치 등의 계몽 운동을 전개하여 국민을 선도하였다.

그러므로, 이들 언론 기관의 투쟁은 자연히 탄압을 받지 않을 수 없었으니, 기사의 삭제, 신문의 압수, 언론인의 구속, 정간을 거듭당해야 했다. 그러다가, 마침내 1940년경에는 거의 모든 신문, 잡지가 폐간되고 말았다.

확대보기
검열로 삭제된 신문
검열로 삭제된 신문
팝업창 닫기

국학 연구의 진전

민족의 문화 투쟁은 국학에 대한 새로운 인식에서 본격화되었다. 국학 운동은 국어와 국사 등의 민족 문화를 연구함으로써 민족 의식을 고취하려는 운동으로, 일제가 우리의 역사와 전통과 습관을 잘못 연구함에 이를 바로잡고자 일어났다. 당시 일제는 우리 나라를 철저히 지배하는 데 편의를 얻기 위하여 우리 나라에 관한 것을 조사하였으며, 고의로 우리 문화를 나쁘게 평가하거나 강조하였다.

먼저 국어 연구에서는, 주시경의 제자들이 모여서 만든 조선어 학회(1921)가 중심이 되어 한글의 연구, 국어의 보급, 한글 사전의 편찬, 맞춤법의 제정, 표준어의 사정 등에 큰 업적을 남겼다. 또한, 한글날을 제정하여 민족 문화 선양에 큰 업적을 남겼다.

확대보기
주시경
주시경
팝업창 닫기

우리말 큰사전의 머리말

말은 사람의 특징이요, 겨레의 보람이요, 문화의 표상이다. 조선 말은, 우리 겨레가 반만 년 역사적 생활에서 문화 활동의 말미암던 길이요, 연장이요, 또 그 결과이다. 그 낱낱의 말은, 다 우리의 무수한 조상들이 잇고 이어 보태고 다듬어서 우리에게 물려 준 거룩한 보배이다. 그러므로, 우리말은 곧 우리 겨레가 가진 정신적 및 물질적 재산의 총목록이라 할 수 있으니, 우리는 이 말을 떠나서는, 하루 한때라도 살 수 없는 것이다.

국사의 연구에 있어서는 민족의 전통과 긍지를 살리려는 주체적인 입장에서 민족사 연구가 진척되었다. 신채호, 박은식, 최남선, 정인보 등이 민족 사가로서 이름을 떨쳤다. 1934년에는 국사 연구 단체인 진단 학회가 조직되어 우리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그러나, 대륙 침략에 날뛰던 일제는 마침내 문화 운동에까지 가혹한 탄압을 가하여 우리의 민족 문화를 말살하려 하였다. 일제는 이른바 조선어 학회 사건을 조작하여 국어학자들을 탄압하고 진단 학보도 폐간하여, 국학 연구의 길이 막히게 되었다.

확대보기
진단 학보
진단 학보
팝업창 닫기

교육과 종교 운동

일제는 그들의 식민 정책을 보다 원활히 수행하기 위하여 우리 청년들에게 식민지 교육, 즉 일본 제국주의를 찬양하고 이에 순응하게 하는 교육을 강행하였다. 일제가 교육 방침으로 보통 교육과 실업 교육을 내세운 것은 그러한 증거였다.

이에, 뜻있는 민족 지도자들은 민족의 장래는 교육에 있다 하여 야학, 서당, 강습소를 대량 개설하여 교육 활동을 펴는 한편, 사립 학교 설립에도 힘썼다. 그리고, 한국인 자신의 손에 의한 고등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민립 대학 기성회를 조직하였으나, 일제의 방해로 끝내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하였다.

종교 활동에 있어서도 천도교, 대종교 등 민족적 종교는 물론, 불교, 크리스트 교 등도 여러 가지 면에서 민족 운동을 이끌어 갔다. 크리스트 교에서 신사 참배에 항거한 것이라든지. 청소년 운동을 전개하고 사회 정화 운동을 편 것, 그리고 천도교에서 개벽, 신여성 등의 잡지를 펴내 사회 계몽 운동에 힘쓰고, 방정환 등이 소년 운동을 주도한 것, 또 불교계에서 박한영, 박중빈 등 뜻있는 지도자들에 의해 계몽 운동이 전개된 것 등은 모두 문화 투쟁의 하나였다.

현대 문학의 개척

한말에 일어난 신문학 운동은, 신시를 발표하고 소설의 새 경지를 개척한 최남선과 이광수의 활동에 의해 근대 문학을 거쳐 현대 문학으로 발전되어 갔다. 그리고, 3⋅1 운동을 전후하여 문학 활동은 보다 활발해져 창조, 폐허, 백조 등의 동인지가 나왔다.

확대보기
계몽 잡지(소년) 표지(좌)와 문예 잡지(백조) 표지(우)
계몽 잡지(소년) 표지(좌)와 문예 잡지(백조) 표지(우)
팝업창 닫기

최남선과 이광수는 시와 소설을 발표함으로써 자유⋅평등 사상을 계몽하여 민족 의식을 앙양하였다. 또한, 문인들은 동인지나, 신문, 잡지에 작품을 실어 우리의 전통을 살리고 민족 의식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민족 문화 향상에 이바지하였을 뿐 아니라, 일제에 대한 투쟁을 간접적으로 고취하였다.

민족 예술의 성장

예술 활동에 있어서도, 한국인의 사상과 감정을 살려 가며 민족 문화의 전통을 잇고 민족 의식을 앙양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다.

예술 활동 중에서 민중과 가까운 위치에 있던 것은 종합 예술인 연극이나 영화였다. 임성구, 윤백남 등에 의해 시작된 신극 운동은, 토월회가 조직되면서 근대극의 활발한 막이 올려져, 향토색이 짙고 민족적인 소재를 지닌 작품들이 많이 공연되었다. 토월회는 전국을 자주 순회하며 민족 계몽에 이바지하였다.

영화에 있어서는 안종화, 나운규 등이 개척자 역할을 하였는데, 특히 나운규는 민족의 반항 의식과 한국적 정서를 영화에 부각시켜 많은 관객들을 감동시켰다.

확대보기
영화에 출연한 나운규
영화에 출연한 나운규
팝업창 닫기

미술에 있어서는, 일제가 조선 미술 전람회를 개최하여 거기에 참여하기를 강요하자, 우리 화가들은 따로 서화 협회전을 열어 작품 활동을 하거나, 오로지 창작에만 몰두하였다.

그리고, 음악에 있어서는 홍난파가 봉선화, 고향 생각 등을 작곡하고, 윤극영이 반달 등 민족적인 감정을 살린 작품을 만들어, 압제에 시달리던 우리 민중의 눈시울을 적시게 하였다.

고향 생각

해는 져서 어두운데,

찾아오는 사람 없어

밝은 달만 쳐다보니

외롭기 한이 없다.

내 동무 어디 두고

나 홀로 앉아서

이 일 저 일을 생각하니

눈물만 흐른다.

학습 정리

1. 민족 문화를 발달시켜 민족 정신을 배양하려던 문화 투쟁도 강한 민족 정신을 담은 독립 운동이었다.

2. 언론 문화 운동은 민족 사상의 고취, 민족 의사의 대변, 민족 문화의 계승, 재난 동포의 구호 등의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3. 우리의 국어와 국사 등의 민족 문화를 연구함으로써 민족 의식을 고취하려는 국학 운동이 전개되었다.

4. 우리 겨레는 우리의 정서를 살려 가며 민족 문화의 전통을 살리고 민중 계몽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