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4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4차(상)
  • Ⅱ. 삼국의 형성과 발전
  • 1. 삼국의 발전

1. 삼국의 발전

〔학습 개요〕

여러 나라들은 1세기경부터 차차 삼국으로 통합, 발전하여 고대 왕국을 이루었다. 고구려, 백제, 신라는 서로 대립하면서 안으로 국력을 기르고 밖으로 발전을 꾀하였다.

고구려가 먼저 일어나 낙랑을 내쫓고 만주 지역에서 이민족과 싸우고 있는 동안에, 백제는 4세기 후반 근초고왕 때 고구려의 세력을 꺾는 한편, 마한의 남은 세력을 아울렀다. 그 뒤, 고구려가 다시 삼국의 주도권을 쥐고 활약하였는데, 5세기에는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이 영토를 확장하여 동북 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하였다.

가장 늦게 발전한 신라는 6세기 중엽의 법흥왕, 진흥왕 때 한강 유역에 진출하고 가야 세력을 병합하는 한편, 화랑도를 발전시켜 뒷날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학습 문제

1. 여러 나라들이 어떻게 삼국으로 발전되었을까?

2. 고구려가 5세기에 동북 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할 수 있었던 원인은 무엇일까?

3. 백제가 가장 강성했을 때, 그 세력은 어디에까지 미쳤을까?

4. 신라의 한강 유역 확보는 어떤 의의를 지니고 있을까?

5. 6가야가 고대 왕국으로 발전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일까?

왕권의 강화

삼국은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종래의 부족장을 중앙 정부의 관료나 귀족으로 흡수하면서 왕권을 굳혀 통치권을 키워 갔다.

삼국은 왕권이 강력하였는데, 왕위는 장남에게 계승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들 삼국은, 왕권을 뒷받침하는 지배 체제가 마련되어 있었고, 엄격한 신분 제도가 확립되어 있었다. 이들 삼국은 이처럼 발전하면서 영토 확장 사업을 펴 나갔다.

삼국은 일시에 이룩된 것이 아니라, 오랜 시일을 거치면서 성장하였는데, 4~6세기에 큰 발전을 보았다. 이들 삼국은, 불교를 받아들여 국가의 정신적 바탕으로 삼는 한편, 한문과 유학을 받아들여 충효 사상을 일깨워, 불교의 호국 사상과 함께 민족 문화의 전통을 이어 갈 수 있는 바탕을 마련하였다.

확대보기
삼국 성립기의 모습
삼국 성립기의 모습
팝업창 닫기

고구려의 발전

5부족을 중심으로 하여 나라를 이루었던 고구려는, 안으로 왕권을 강화하고 밖으로 영토를 넓혀 갔다. 그리하여, 태조왕 때부터 고대 왕국의 기틀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왕권을 강화하고 영토를 넓혀 가던 고구려는 국가의 제도를 정비하였다. 고국천왕 때에는 그 이전에 부족의 표시였던 소노부 등 5부를 동부, 서부, 남부, 북부, 중부로 개편하여 행정 구역을 정비하고, 형제 상속의 왕위 계승을 부자 상속으로 고쳐서 왕권을 강화하였다.

고구려는 중국 세력과 맞서 싸우면서 성장하였다. 3세기에 위의 침략을 받아 한때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그 뒤 서안평을 점령하고, 이어 4세기 초 미천왕 때에는 낙랑군 지역을 점령하고 대방군을 백제와 함께 몰아 내어, 고조선의 옛 영토를 차지하였다.

한강 유역의 백제

고조선이 망할 무렵, 북쪽에서 많은 이주민이 한강 유역과 반도의 남쪽으로 이동하였다. 이들은 주로 부여, 고구려 계통의 이주민들로서, 우세한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한강 유역에 백제를 건국하였다.

백제는, 처음에는 마한의 작은 나라 중의 하나였지만, 차차 세력을 키워 그 중심 세력이 되었다. 이어서 여러 세력들을 통합하고 안으로 국가 제도를 정비하여, 고이왕 때에는 고대 왕국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 후, 4세기경 근초고왕 때에 마한의 남은 세력을 정복하여 호남 지방을 완전히 통합하고, 남해안까지 그 세력을 뻗쳤고, 탐라국(제주도)을 복속시켰다. 그리고, 북쪽으로 세력을 넓혀, 고구려와 충돌하면서 대동강 유역까지 뻗어 갔다.

한편, 중국이 쇠약한 틈을 타서 요서, 산뚱 지방에까지 나아가 그 지방에 커다란 세력을 형성하였으며, 일본의 여러 지방에도 나아가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경기, 충청, 전라 지방과 황해, 강원 일부를 차지한 큰 나라가 된 백제는, 중국의 남조와 문물을 교류하면서 일본에 정치적, 문화적인 영향을 끼쳤다.

경주 평야의 신라

신라는 지금의 경주를 중심으로 이룩한 나라이다. 처음에 사로라 불린 이 나라는 진한의 한 국가였다. 그 후, 1세기경에 기마 전투 기술을 받아들여 주위의 부족들을 통합하면서 큰 세력으로 등장하였다.

4세기 말 내물왕 때에는 고대 왕국의 기틀을 갖추어 지금의 경북 일대를 차지하였다. 이 때부터 왕위는 김씨족이 독차지하게 되었으며, 왕의 칭호도 마립간으로 높여 사용하였다. 또, 고구려를 통하여 중국의 전진과 교섭하고, 그 문물을 받아들였다.

5세기에 들어서서 신라는 백제와 동맹을 맺고 점차 고구려의 세력을 견제하게 되었다.

광개토 대왕과 장수왕

4세기에 이르러 고구려는, 요동 지방으로 진출하다가 선비족이 세운 전연과 싸웠으며, 남쪽으로 세력을 뻗치다가 백제와 충돌하였다. 백제와의 충돌 속에서 고국원왕이 전사하기도 하였다.

이어서 소수림왕은 중국의 전진과 평화적 외교 관계를 맺고 불교를 받아들였으며, 국립 대학인 태학을 세우고 율령을 반포하는 등 문물 제도를 정비하였다.

그 후, 광개토 대왕은 강화된 국력으로 대대적인 영토 확장 사업을 펴 나갔다. 숙신을 복속시켜 요하 동쪽의 만주 땅을 차지하였으며, 남쪽으로는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이북을 점령하였다. 또, 5만의 군사를 보내어 신라를 침범한 왜구를 물리치기도 하였다.

광개토 대왕의 뒤를 이은 장수왕은 중국의 남북조를 견제하는 한편, 서울을 평양성으로 옮기고(427), 백제를 쳐서 중부 지방에까지 미치는 큰 나라를 이룩하여 세력을 떨쳤다. 충청 북도 중원군에서 발견된 중원 고구려비는, 이 때의 고구려 세력이 중부 이남 지방에까지 미쳤음을 보여 주고 있다.

확대보기
고구려의 전성도
고구려의 전성도
팝업창 닫기

백제의 중흥

고구려의 압력을 받아 한강 유역을 빼앗긴 백제는, 문주왕 때 서울을 웅진성(공주)으로 옮겨 나라를 정비하고, 신라와 동맹하여 고구려에 대항하였다.

무녕왕은 고구려의 공격에 대항하면서 국력을 길러 백제의 부흥을 꾀하였다.

확대보기
무녕왕릉의 현실(좌)과 유물(우)(왕과 왕비의 금제 관식)
무녕왕릉의 현실(좌)과 유물(우)(왕과 왕비의 금제 관식)
팝업창 닫기

무녕왕의 뒤를 이은 성왕은, 서울을 사비성(부여)으로 옮겨, 행정 구역을 정비하고 불교를 장려하며, 중국의 남조와 문물을 교류하는 등 국력을 크게 길렀다. 성왕 때 백제는, 신라와 동맹하여 고구려를 쳐서, 잃었던 한강 하류 지역을 회복하였으나, 다시 이 지역을 신라에게 빼앗겨 약 120년간 계속되던 신라⋅백제 동맹은 깨어지고 말았다. 성왕은 신라와 싸우다가 관산성(옥천)에서 전사하였다.

진흥왕 순수비

고구려, 백제보다 뒤늦게 발전한 신라는 6세기 지증왕, 법흥왕 때에 와서 크게 발전하였다.

지증왕은 국호를 신라로 고치고, 왕호도 마립간 대신 왕이라 하였다. 그리고, 이 때 가축을 이용한 농사 기술이 보급되어 농업 생산력도 높아졌다.

법흥왕은 불교를 공인하여 국가의 지도 이념으로 삼고, 율령을 반포하는 등 여러 제도를 갖추었다.

지증왕, 법흥왕의 뒤를 이은 진흥왕은 안으로 화랑도를 개편하고, 고대 왕국의 기반을 확고히 하였다.

그리고, 이 무렵에 신라는 밖으로 영토 확장에 나섰다. 지증왕 때에는 우산국을 복속시키고, 법흥왕 때에는 금관 가야(김해)를 아울렀다.

진흥왕 때에는 대가야(고령)를 정복하여 낙동강 유역을 완전히 차지하였다. 이를 전후하여 진흥왕은 백제와 동맹하여 고구려를 쳐서 한강 상류 지역과 함경도 일대까지 점령하고, 백제가 회복한 한강 하류 지역마저 장악하여 중국과의 교통로를 확보하였다.

확대보기
진흥왕 때의 삼국 형세
진흥왕 때의 삼국 형세
팝업창 닫기

4개의 순수비와 단양 적성비는 이 때를 전후한 진흥왕의 정복 사업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확대보기
단양 적성비
단양 적성비
팝업창 닫기

신라는 한강 유역을 점령함으로써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후일 삼국 통일의 기틀을 이룩하게 되었다.

6가야

가야의 여러 국가들은 원래 변한의 땅인 낙동강 서쪽 지역에서 일어났다. 그 뒤, 김해의 금관 가야와 고령의 대가야를 중심으로 그 밖의 여러 국가들이 연맹하여 6가야를 형성하였으며, 그들은 가야 문화를 발전시켰다.

가야에는 철의 생산이 많아 일찍부터 철기 문화가 발달하였다. 생산된 많은 철은 바다를 통하여 낙랑, 대방과 일본 등지에 수출하였다.

6가야의 세력은, 초기에는 매우 강성하여 신라를 위협할 정도였으며, 일본 지역에도 진출하여 그 문화를 전파시켰다.

그러나, 6세기 이후 신라의 압력으로 가야는 그 세력이 약해지다가, 진흥왕 때에 대가야를 끝으로 멸망하였다. 가야 문화는 그 후 신라 문화에 흡수되어 신라 문화 발달에 큰 영향을 끼쳤다.

학습 정리

1. 1, 2세기 태조왕 때부터 고대 왕국의 기초를 갖추기 시작한 고구려는, 낙랑군을 멸망시키고, 5세기에는 강력한 국가를 이룩하였다.

2. 백제는 3세기 고이왕 때에 고대 왕국의 기초를 갖추었고, 4세기에 이르러는 요서, 산뚱 지방과 일본 지역에까지 그 세력이 미쳤다.

3. 신라는 4세기 내물왕 때를 전후하여 고대 왕국으로 발전하였으며, 6세기에는 한강 유역에 진출하여 삼국 통일의 기틀을 이룩하였다.

4. 가야는 철기 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일본에까지 세력권을 형성하였다. 비록 고대 왕국으로는 발전되지 못하였으나, 가야 문화는 신라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