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5차(상)
  • Ⅲ. 통일 신라와 발해
  • 4. 신라 말기의 사회 변동

4. 신라 말기의 사회 변동

〔학습 개요〕

통일 신라는 8세기 후반 이후에 귀족들의 반란과 왕위 쟁탈전이 전개되어 혼란이 계속되었다. 더구나 귀족들이 분열되고 6두품 계열의 정치적 불만이 커지면서 골품 제도가 흔들리게 되었다.

이러한 중앙 귀족의 반란과 대립으로 나라의 행정 체계가 흐트러져, 중앙의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각처에서 지방 세력이 등장하였다. 특히, 호족과 해상 세력들이 독립된 세력을 형성함으로써 신라는 분열되고 말았다.

사회 혼란이 깊어 감에 따라 종교계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선종이 널리 보급되고, 유교, 도교, 풍수 사상까지 유행되어 새로운 사회로 변화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

학습 문제

1. 신라 말기에 골품 제도가 무너진 원인은 무엇인가?

2. 신라 말기에 대두한 지방 호족 세력은 어떻게 성장하였는가?

3. 6두품 세력은 신라 말기에 어떠한 활동을 하였는가?

4. 신라 말의 사상계에서 나타난 새로운 동향은 무엇인가?

왕위 다툼

통일 신라의 정치적 안정도 혜공왕 이후에 계속된 왕위 다툼으로 흔들리게 되었으며, 귀족 세력 내부의 분열과 갈등으로 인하여 사회는 혼란에 빠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신라 말의 150년간에 20여 명의 왕이 바뀌는 큰 혼란을 빚으면서 왕권은 크게 약화되어 갔다. 특히, 헌덕왕 때에 김헌창이 반란을 일으킨 이후, 귀족 간의 싸움은 더욱 치열해졌다.

이러한 신라 말기의 사회 혼란은, 골품제의 동요, 종교계의 변화와 함께 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커다란 사회 변혁기의 모습이었다.

골품제의 동요

격심한 왕위 다툼은, 왕권의 약화와 사회의 혼란을 가져왔을 뿐 아니라, 신라의 전통적 신분 질서인 골품제를 무너뜨려 갔다.

진골 위주의 사회 체제에 특히 반발을 보인 계층은 6두품이었다. 6두품은 관직 승진에 제한을 받았기 때문에 큰 불만을 품고 있었다. 이들은 당에 유학을 갔다 오거나 승려가 되어 새로운 활로를 찾던 사람들이었으므로, 골품제의 모순을 앞장 서서 지적하였다.

6두품 세력과 함께 하층 귀족이나 평민층도 일부 지방 세력과 결탁하여 진골 귀족에 대항하였을 뿐 아니라, 신라 정부의 권위를 부인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골품제가 동요하면서 신분 위주의 신라 사회는 큰 타격을 받게 되었으며, 개인의 능력과 실력을 우선하는 풍조가 나타나게 되었다.

지방 세력의 대두

신라 사회가 혼란에 빠지면서 지방에 대한 중앙 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되자, 각 지방에서는 독자적인 세력을 가지고 독립하는 무리가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 중에서도 성주 또는 장군이라 불리는 호족이 가장 큰 세력이었다. 이들은 많은 사병과 큰 농장을 가지고 농민을 지배하면서 중앙 정부의 통제를 벗어나고 있었다. 이들 호족 세력은 자신의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선종이라는 새로운 불교와 결탁하면서 지배 세력으로서의 지위를 강화시켜 나갔다.

확대보기
호족의 성터(광주 무진 고성)
호족의 성터(광주 무진 고성)
팝업창 닫기

또, 해상 세력과 군인 세력도 독립된 세력을 형성하였다. 장보고와 같은 해상 세력은 해적의 소탕과 해외 무역으로 세력을 길러 왕위 다툼에까지 관여하였고, 일부의 군인 세력도 독립된 지위를 유지하였다.

사회의 동요

신라 말기에 이르러, 중앙 정부의 세력이 지방에 거의 미치지 못하게 되면서 나라는 더욱 어지러워져 갔다. 특히, 9세기 후반에 이르러 세금의 독촉이 더욱 심해지자, 각처의 농민들은 반란을 일으키거나, 도둑의 떼가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농민층의 반란과 농촌의 파탄은, 국가 재정을 어렵게 하여 신라의 기본 바탕을 무너뜨려 갔다. 이리하여 신라 정부의 지배력은 경주 일대밖에 미치지 못했으며, 대부분의 지역은 호족의 수중에 들어가게 되었다.

사상계의 동향

신라 말기의 혼란은 왕실의 권위를 약화시켜, 그와 연결된 교종의 위세를 크게 떨어뜨렸다. 교리와 권위에 얽매인 교종보다는 정신 수양을 강조하는 선종이 유행하여 각지에 호족 세력과 연결된 선종 9산이 성립되었다.

확대보기
5교 9산의 위치
5교 9산의 위치
팝업창 닫기

또, 이 시기에는 도선에 의해서 풍수 지리설이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유학자들도 선종과 풍수 지리설에 관심을 보였다.

그리하여 신라 말의 사상계는 선종, 유교, 풍수 사상이 복합되는 동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사상계의 동향은 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정신 세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학습의 도움 글〕

신라 말의 도당 유학생

신라는 통일 이후 사회가 안정되면서 발달된 당의 문물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당에 많은 유학생을 파견하게 되었다.

신라의 숙위 학생들은 관비 유학생으로서, 당의 국자감에 입학, 10년간 공부한 후 외국인을 위한 과거인 빈공과에 응시하기도 하였다. 헌덕왕 때에 김운경이 처음으로 합격한 이래, 김가기, 최치원, 최승우, 최신지 등 주로 6두품 출신의 많은 학자들이 합격하였다.

이들은 당에서 문장으로 이름을 날렸으나, 귀국한 후에는 신분적 제약 때문에 정치적 진출이 어렵게 되자, 불교, 도교 등에 관심을 두기도 하였다. 특히, 최치원은 진성 여왕에게 개혁안 10조를 올렸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끝내는 은둔하여 불교, 풍수 사상, 도교에 빠지기도 하였다. 최승우는 후백제의 견훤에 귀의하였고, 최신지(언위)는 왕건의 스승이 되어 고려 건국에 큰 도움을 주었다. 이와 같은 도당 유학생 출신들의 반골품적인 움직임과 사상의 변질은 신라 말, 고려 초기의 사상적 변화를 대변하는 것이었다.

◇ 학습 정리 ◇

1. 신라 말기에는 왕위 쟁탈전과 지방 반란, 그리고 6두품 계층의 반발로 사회가 혼란해졌고, 그로 인하여 골품 제도도 무너져 갔다.

2. 중앙 정부의 지방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지방 호족 세력이 대두하여 점차 독립된 세력으로 성장하였다.

3. 6두품 세력은 학계와 종교계에서 큰 활동을 하였고, 지방 호족 세력과 함께 진골 중심의 지배 체제에 항거하였다.

4. 신라 말에는 선종 9산이 유행하였고, 선종과 유교 및 풍수 사상이 서로 결합되어 새로운 사회를 건설하는 데 이바지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