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5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5차(상)
  • Ⅳ. 고려 사회의 발전
  • 1. 고려의 성립

1. 고려의 성립

〔학습 개요〕

고려는 건국 직후, 먼저 농민의 무거운 부담을 가볍게 하여 민생의 안정을 꾀하였다. 그리고 후삼국을 통일한 뒤에는, 지방의 호족 세력과 신라 및 후백제 출신의 인재를 포섭하고, 발해의 유민까지 흡수함으로써 민족 융합에 힘썼다. 한편, 북진 정책을 추진하여 북쪽으로 영토를 크게 넓히기도 하였다.

고려 초기의 왕권은 강대한 호족 세력으로 인해 한때 불안하였으나, 광종 때의 과감한 호족 억압 정책으로 왕권은 강화되었다.

학습 문제

1. 후삼국 시대의 혼란은 왜 일어났으며, 어떻게 전개되었는가?

2.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3. 고려 태조는 민족의 재통일을 위하여 어떠한 정책을 추진하였는가?

4. 고려 초기에 왕권의 강화는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이룩되었는가?

후삼국 시대

신라 말에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자, 지방 세력이 일어나게 되었다. 이들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호족 세력이었다. 이들은 중앙의 통제에서 벗어나, 지방의 행정을 가로맡아 함부로 세를 거두거나 노동력을 징발하였다.

호족들을 규합하여 나라를 세우는 데 성공한 사람은 견훤과 궁예였다. 견훤은 원래 상주 지방 농민의 아들로서, 신라군에 들어가 서남해 방면에서 활약하다가, 각지에서 농민들이 봉기하자 무진주를 점령하고, 북으로 올라와 완산주를 근거로 후백제를 세웠다(900). 그는 전라도와 충청도의 대부분을 차지함으로써 비옥한 곡창 지대를 확보하게 되었다.

신라 왕족 출신으로 알려져 있는 궁예는 양길의 부하가 되었다가, 힘을 길러 오히려 그를 넘어뜨린 다음, 송악을 근거로 후고구려를 세웠다(901). 뒤에 국호를 태봉으로 고치고, 서울을 철원으로 옮겼다. 태봉은 강원, 경기, 황해도 일대를 공략하여 옛 고구려의 남쪽을 확보하였다.

확대보기
후삼국의 형세
후삼국의 형세
팝업창 닫기

그리하여 통일 신라는 후삼국으로 분열되었으며, 수많은 호족들이 난립하는 가운데 반 세기 동안 나라의 정세는 혼란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혼란 속에서 진골 귀족이 지배하던 고대 사회는 무너지고, 새로운 중세 사회로의 전환이 이룩되어 갔다.

고려의 건국

송악의 호족인 왕건은, 일찍부터 궁예 밑에서 장군, 정치가로서 활약하였다. 그 후, 왕건은 민심을 잃은 궁예를 몰아 내고 왕위에 올랐다(918). 태조 왕건은 국호를 고려라 하고, 연호를 천수라 하였으며, 서울을 철원으로부터 송악으로 옮겼다.

확대보기
개경도
개경도
팝업창 닫기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고자 후백제를 공격하는 한편, 신라와는 화친 정책을 썼다. 처음에는 전세가 고려에 불리하였으나, 점차 세력을 만회하면서 후백제군을 크게 격파하여 승리를 굳혔다.

고려의 군대는 군율을 엄격히 지킬 뿐 아니라, 민폐를 끼치지 않아 곳곳에서 환영을 받았다. 이를 바탕으로 많은 호족들을 포섭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형세 속에서, 후백제의 공격에 시달리던 신라도 마침내 나라를 고려에 넘기고 말았다(935).

이 무렵, 후백제에서는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크게 내분이 일어났다. 고려는 이 틈을 타서 후백제를 쳐 무너뜨렸다(936). 그리하여 반 세기에 걸친 분열이 수습되고, 민족의 재통일이 이룩되었다.

태조의 정책

태조는 왕조의 기반을 굳히고자 몇 가지의 정책을 실시하였다.

첫째, 민생을 안정시키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당시의 무질서한 토지 제도를 바로잡고, 농민의 조세 부담을 가볍게 하였다.

둘째, 북진 정책을 추진하였다. 즉, 고려는 고구려를 계승한다는 이념 아래,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려 하였다. 태조는 평양을 중시하여 서경이라 하고, 이를 북방 개척의 기지로 삼았다. 그리하여 태조 말년에는 청천강과 영흥 지방까지 영토를 넓힐 수 있었다.

셋째, 민족 융합 정책을 폈다. 태조는 이미 신라와 후백제를 통합하였으나, 각 지방에는 여전히 호족들이 독자적으로 세력을 펴고 있었다. 이에 태조는, 여러 호족들과 혼인 관계를 맺어 이들을 회유하고, 발해의 유민도 받아들여 민족 화합에 힘썼다.

넷째, 불교를 숭상하였다. 신라 이래 불교를 널리 믿어 왔으나, 태조는 특히 부처의 도움으로 후삼국을 통일한 것이라 하여 정책적으로 불교를 믿도록 널리 장려하였다.

왕권의 강화

태조의 뒤를 이어 혜종이 즉위하자, 여러 외척들 간에 왕위 계승을 둘러싼 권력 싸움이 벌어졌다. 이를 수습한 이는 정종이었으나, 왕권을 강화한 것은 광종이었다.

광종 때에는 먼저 노비 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들이 불법으로 차지하고 있던 많은 노비를 해방시켜 그들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또, 과거 제도를 실시하여 유교의 학식과 능력에 따라 관리를 등용하였다. 이에 대한 공신, 호족들의 불만이 커지자, 이들을 단호하게 숙청하였다. 그리하여 호족들의 세력이 꺾이고 왕권이 안정되었다.

◇ 학습 정리 ◇

1. 신라 말의 사회 혼란과 호족 세력의 대두로 후삼국 시대가 시작되었고, 골품 제도의 붕괴로 고대 사회는 해체되어 갔다.

2. 태조 왕건은 애민 정책으로 민심을 수습하고, 호족 세력을 널리 포섭하여 후삼국을 통일하였다.

3. 태조는 민족 융합 정책과 북진 정책을 추진하고, 발해의 유민까지 포섭하여 민족의 재통일을 이룩하였다.

4. 고려 초기에는 호족 세력이 강대하여 왕권이 미약하였으나, 광종 때의 노비 안검법과 과거 제도의 실시로 왕권이 강화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