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6차(상)
  • Ⅰ. 우리 나라 역사와 우리의 생활
  • 2. 우리 나라 역사의 특성

2. 우리 나라 역사의 특성

학습 개요

같은 일을 처리할 때에도 사람마다 생각과 방법이 다른 것은 개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즉, 사람들은 개성의 차이 때문에 각기 특성 있게 살아가고 있다. 세계 모든 민족의 역사도 오랜 기간을 거치는 동안에 역사적 경험과 주변 환경의 차이로 말미암아 제각기 다른 역사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민족사의 특성은, 그 민족의 생활 무대가 되는 자연 환경과 생활 방식, 그리고 삶을 개척하려는 민족의 의지에 따라 결정된다.

세계 여러 민족 가운데서도 우리 민족은 유구한 역사를 전개해 왔고, 그러한 속에서 우리의 민족사는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 민족사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국사 학습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

학습 문제

1. 우리 역사의 특성은 무엇인가?

2. 우리 민족은 주변 국가와 어떠한 관계를 맺어 왔는가?

3. 민족 문화의 발전에서 전통 문화와 외래 문화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유구한 역사

우리 민족은 아득한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오랜 역사를 이어 왔다.

유구한 역사를 거치는 동안에 우리 겨레는 활동 무대에 변화를 겪었으며, 때로는 이민족의 침략으로 인하여 고난을 겪어야 했던 적도 있었다. 그러나 우리 조상들은 많은 역경을 극복하고 삶의 터전을 지금까지 지켜 왔으며, 다른 민족의 문화와 구별되는 독특한 민족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유구한 역사의 전통이란, 다만 반만 년 이상이나 되는 오랜 기간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그 삶이 현재에 이어지고 미래로 이어질 만큼 가치 있는 역사를 전개해 왔다는 데에 그 참뜻이 있는 것이다.

예부터 많은 민족들이 각기 특색 있는 역사를 이끌어 왔다. 그 가운데는 이미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민족도 있고, 존재는 하고 있으나 소멸 과정에 놓여 있는 민족도 있다. 또, 국가 생활을 시작한 지 수백 년에 불과한 나라도 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반만 년 이상의 빛나는 역사적 삶을 살아 왔고, 오늘날까지 삶의 터전을 굳건히 지켜 왔으며, 그 무대에서 특색 있는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그리고 그 역사적 전통이 우리에게 이어진 것이다.

단일 민족의 역사

배달 민족이라고도 불리는 우리 민족은 오랜 옛날부터 만주와 한반도에 흩어져 살아 왔다. 단군 이후 국가 생활을 시작하여 마침내 통일된 민족 국가를 이루었으며, 오늘날까지도 단일 민족 국가로서의 전통이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그러나 세계에는 여러 민족이 하나의 국가를 이룬 경우도 많다. 이러한 나라들 가운데는 민족적 갈등으로 말미암아 국가적 분쟁과 내전이 자주 벌어지는 경우도 있었다.

우리 민족은 세계사에서 보기 드문 단일 민족으로 국가 생활을 유지해 왔다. 때로는 정치적 분열과 항쟁이 없지 않았고, 이민족의 지배하에 놓인 때도 있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민족 문화의 수호를 위한 힘찬 노력으로 그 시련을 극복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민족 자존의 역사

우리 역사를 돌이켜보면, 이민족의 내정 간섭이나 식민 지배를 겪은 적도 있었다. 우리 선조들은 민족적 위기를 맞게 되었을 때에 이해 관계를 떠나 단결된 힘으로 그 시련을 극복해 왔다. 때로는 여러 나라로 분열되어 상호간에 대립하여 항쟁을 벌이기도 하였고, 사회 신분 간의 이해 관계가 얽혀 대립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일단 민족이 위기에 직면하였을 때에는 각계 각층이 일치 단결하여 나라와 민족을 지켜 왔던 것이다.

한반도 주변에서 여러 세력이 각축하는 역사의 회오리바람 속에서도 민족적 자존을 지켜 온 이러한 전통은 조상들의 불굴의 투지와 슬기로 이룩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통을 계승하려는 우리들의 노력이 하나로 묶여질 때 우리 민족의 자존은 계속 지켜질 것이며, 우리 역사의 밝은 앞날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평화 추구의 역사

오랜 역사를 거치는 동안에 우리 민족은 주변 민족의 침략으로 많은 고난을 겪어 왔다. 그러면서도 우리 민족은 주변의 다른 민족에게 부당한 전쟁을 도발하거나 그들을 수탈하거나 고통을 강요한 일은 없었다. 즉, 우리 민족은 평화 추구의 국제 관계와 평화 애호의 전통을 유지해 왔다.

이는 비굴해서도 아니었고 국력이 약해서도 아니었다. 근본적으로 평화를 사랑한 민족이었기 때문이다. 침략을 당했을 때는 거세게 항전하여 민족사의 자존을 지켜 왔으나, 그보다 앞서 평화적 협력 관계에 힘써 왔고, 문화적 교류에 노력해 왔다.

정치적 필요에서 때에 따라 문호를 닫기도 하였으나, 중국, 일본 등 이웃 민족과의 교류는 꾸준히 지속해 왔다. 즉, 조선 왕조의 통상 수교 거부는 제국주의 침략 세력에 대한 거부였지 중국이나 일본과의 외교적 문호마저 폐쇄했던 것은 아니었다. 이웃 민족과 평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우리 민족의 기본 입장은 언제나 변하지 않았던 것이다.

문화 창달의 역사

오랜 역사를 이어 오면서 민족의 슬기와 노력으로 발전시켜 온 전통 문화를 민족 문화라고 한다.

우리 선조들은 일찍이 만주와 한반도에 흩어져 살면서 이 곳의 자연 환경을 이용하여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문화 활동을 해 왔다. 그러한 가운데 우리 민족의 고유 문화를 자생적으로 키워 왔다.

민족의 정치적 통합이 진전되어 삼국을 이루었고, 삼국은 상호간의 경쟁 속에서 각기 특색 있는 문화를 발전시켰다. 또, 삼국은 대륙의 선진 문화를 받아들여 이를 소화하고 전통 문화와 융합시켜 보다 발달된 문화를 이룩하였다. 삼국 문화는 바다 건너 일본에까지 그 영향을 주었다.

통일 신라는 삼국 문화를 하나로 통합하고, 당의 문화를 수용하여 폭넓은 문화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 발해는 고구려의 문화를 바탕으로 하고 당의 문화를 받아들여 독자적인 문화를 이룩하였다.

고려 시대에는 통일 신라의 문화 바탕 위에 불교와 귀족 생활을 배경으로 한 문화 활동이 활발하였다. 대륙으로부터 송⋅원의 문화를 받아들이는 한편, 아라비아 문화와 접촉하면서 특색이 있으면서도 수준 높은 문화를 창조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이러한 고려 문화의 바탕 위에 유교 문화를 정착시킴으로써 민족 문화를 크게 발전시켰다. 조선 후기에는 유교적인 것에 너무 치우쳐 문화 활동이 다소 폐쇄적인 성향을 나타내기도 하였으나, 문화 혜택이 서민 사회로 확대되면서 민족 문화의 새로운 모습이 나타났다.

이처럼 우리 민족은 전통 문화의 바탕 위에 외래 문화를 탄력적으로 받아들여 이것을 소화하고 새로운 민족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그리하여 오늘날 세계 어느 문화와도 구별되는 훌륭한 민족 문화를 이룩하였다.

확대보기
한국사 학술 회의
한국사 학술 회의
팝업창 닫기

학습 정리

1. 우리 민족은 유구한 단일 민족의 역사를 이룩하였고, 오늘날까지 삶의 터전을 굳게 지켜 왔다.

2. 평화를 애호하는 우리 민족은 이웃 나라와의 친선을 중시하고 이를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3. 우리 민족은 전통 문화를 유지하면서도 외래 문화를 탄력적으로 수용하여 창조적인 민족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