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6차(상)
  • Ⅱ. 고조선의 성장
  • 1.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1. 한민족의 기원과 선사 문화

학습 개요

우리 민족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터를 잡고 일찍부터 문화를 발전시켜 왔다. 이 지역에서는 약 70만 년 전부터 구석기 문화가 시작되었고, 기원전 6000년경부터는 신석기 문화가 시작되었다.

구석기 시대인들은 뗀석기를 사용하여 사냥과 어로 활동을 하였다. 신석기 시대부터는 간석기와 골각기를 사용하여 고기잡이와 사냥으로 생활하다가 차츰 농사도 짓고 가축도 기르게 되었다. 또, 이 때부터는 토기를 만들어 사용하고 움집을 지어 살면서 마을을 형성하였다.

학습 문제

1. 우리 나라의 구석기, 신석기 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2. 구석기, 신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은 무엇인가?

3. 구석기 시대의 생활에 비하여 신석기 시대의 생활이 크게 달라진 점은 무엇인가?

한민족의 기원

우리 나라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구석기 시대부터였다. 구석기 문화가 진행되는 동안, 지구에는 추운 빙기와 따뜻한 간빙기가 여러 차례 번갈아 나타났다. 이러한 자연 환경의 변화는 인간 생활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빙기에는 지구 북반구의 일부가 빙하로 덮여 있었기 때문에, 동아시아 지역의 해수면 높이는 지금보다 훨씬 낮았다. 그러므로 당시에는 중국 대륙과 한반도, 일본 열도, 타이완 등이 모두 육지로 연결되어 있었다.

빙하기가 끝난 후, 해수면이 상승하고 지각이 변동되어 해안선이 변화됨으로써, 한반도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여러 지역은 오늘날과 비슷한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이로써 오늘날 한국인의 주된 생활 무대가 된 한반도는, 북쪽으로는 대륙과 연결되고, 동쪽과 서쪽으로는 바다와 접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남쪽으로는 대한 해협을 건너 일본과 마주하게 되었다.

확대보기
구석기 시대의 동아시아
구석기 시대의 동아시아
팝업창 닫기

우리 민족은 한반도와 만주 지역을 생활 터전으로 삼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워 왔다. 이 지역에서 일찍부터 살기 시작한 우리 민족은 몽고 인종에 속하는 한민족으로, 알타이어계의 언어를 사용하며 오늘에 이르렀다.

구석기 시대의 생활

인류가 뗀석기와 뼈 연모 등의 간단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한 시대를 구석기 시대라고 한다. 우리 나라의 구석기 시대는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그 유적은 우리 나라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대표적인 유적은 함경 북도 웅기군 굴포리, 평안 남도 상원군 검은모루 동굴,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 충청 남도 공주시 석장리 등지에서 발견되었다.

구석기인들은 처음에는 돌을 깨어 이를 연모로 사용하다가, 차츰 쓰임새에 따라 여러 가지 편리한 연모들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사냥을 위하여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등을 만들어 쓰고, 음식을 만들기 위해서는 자르개, 밀개, 긁개 등을 사용하였다. 또, 돌마치, 새기개 등의 석기를 이용하여 나무 연모나 뼈 연모를 만들기도 하였다.

확대보기
주먹도끼
주먹도끼
팝업창 닫기

구석기인들은 짐승과 물고기를 잡아먹었으며, 또한 식물의 열매나 알뿌리도 채집하여 먹고 살았다.

구석기인들은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 또, 이들은 짐승이 많이 잡히기를 바라는 뜻에서 뼈나 돌에 짐승의 그림을 그려 놓고 빌기도 하였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과 유적

우리 나라에서는 기원전 6000년경부터 간석기와 토기를 사용한 신석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신석기 시대의 유물로는 돌도끼, 돌창, 돌화살촉 등의 간석기와 낚시 등의 뼈 연모가 있다. 신석기 시대 초기에는 이른 민무늬 토기와 덧무늬 토기를 만들어 사용하다가 뒤에는 빗살무늬 토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확대보기
덧무늬 토기(좌)와 빗살무늬 토기(우)
덧무늬 토기(좌)와 빗살무늬 토기(우)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신석기 시대의 간석기
신석기 시대의 간석기
팝업창 닫기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 토기인 빗살무늬 토기는 그릇 표면에 직선 또는 곡선을 평행으로 배열하여 아름다운 무늬를 새긴 그릇이다. 그 형태는 아가리가 넓고 밑이 뾰족하여 달걀을 잘라 놓은 모양이었다. 빗살무늬는 단순한 무늬에서 차츰 복잡하고 화려한 무늬로 변하였다.

신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로는 평안 북도 의주군 미송리,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 서울 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강원도 양양군 오산리, 부산 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신석기 시대 유적은 한반도 전 지역에 고루 퍼져 있으며, 주로 큰 강 유역이나 해안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확대보기
선사 시대의 유적
선사 시대의 유적
팝업창 닫기

신석기 시대의 생활

신석기인들은, 강가나 바닷가에 살면서 뼈낚시, 그물 등을 가지고 물고기를 잡거나, 창, 화살 등으로 사냥을 하였다. 한편, 나무 열매나 알뿌리를 캐어 먹으며 생활하다가, 뒤에는 농사도 짓고 가축도 기르게 되었다.

농경 생활을 시작한 신석기인들은 돌괭이로 땅을 일구어 조, 피 등을 재배하여, 돌낫, 뼈낫 등으로 추수를 하였으며, 돌갈판에 곡식을 갈아서 음식을 만들어 먹었다. 또, 가락바퀴로 실을 뽑아 옷감을 만들고, 뼈바늘로 옷을 만들어 입기도 하였다.

신석기인들은, 땅을 파고 그 위에 지붕을 씌운 움집에서 살면서 같은 핏줄의 씨족들이 모여 마을을 형성하고, 나아가 몇 개의 씨족들이 모여 부족을 이루었다. 이들 사회에서는 경험이 많은 부족장이 농사 등 생산 활동을 지휘하였다.

확대보기
신석기 시대 움집의 복원 모습(서울 암사동)
신석기 시대 움집의 복원 모습(서울 암사동)
팝업창 닫기

신석기인들은 인간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는 해, 달, 산, 강, 동물, 큰 나무 등에 영혼이 깃들여 있다고 믿었으며, 또 이들은 특정 동물을 자기 부족의 수호신으로 생각하여 숭배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예술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학습 정리

1. 우리 나라의 구석기 문화는 약 70만 년 전부터 시작되었고, 신석기 문화는 기원전 6000년경부터 시작되었다.

2. 구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은 주먹도끼 등의 뗀석기이고, 신석기 문화를 대표하는 유물은 간석기와 빗살무늬 토기이다.

3. 구석기인들은 사냥과 채집 활동으로 식량을 얻었으나, 신석기인들은 점차 농경 등의 생산 활동으로 식량을 마련하였고, 정착 생활을 하게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