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6차(상)
  • Ⅵ. 북방 민족과의 전쟁
  • 3. 자주성의 회복

3. 자주성의 회복

학습 개요

고려는 원과 강화한 뒤, 원의 여러 가지 압력과 간섭을 받게 되었다. 이 시기의 고려 사회는 이른바 권문 세족들이 새로운 지배층으로서 권력을 잡고 있었으며, 이에 대하여 유학을 익힌 신진 사대부층이 성장하여 개혁 정치를 추구하였다.

공민왕은 원과 명의 교체기를 틈타 반원 자주 정책을 추진하여, 밖으로는 원의 간섭에서 벗어났고, 철령 이북의 땅을 회복하였다. 한편, 안으로는 신진 사대부들과 손을 잡고 정치, 경제, 사회 등 전반에 걸친 개혁 정치를 단행하였다. 그러나 권문 세족의 반발과 홍건적, 왜구의 침입 등으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학습 문제

1. 고려 후기의 권문 세족과 신진 사대부 계층은 서로 어떻게 다른가?

2. 고려 말 권문 세족의 농장 확대로 인하여 어떠한 문제가 생기게 되었는가?

3. 공민왕의 개혁 정치는 어떻게 추진되었으며, 성공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권문 세족과 신진 사대부

무신 정변 이후, 고려 사회의 지배층에는 변동이 일어났다. 즉, 고려 초기 이래 지배 세력으로 등장한 문벌 귀족들은 무신 정변을 계기로 대부분 몰락하고, 고려 후기에는 새로운 지배 세력으로 권문 세족이 대두하였다. 권문 세족들은 높은 관직을 차지하고 넓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친원적인 성격을 띤 보수 세력이었다.

한편으로, 신진 사대부 계층이 권문 세족에 대항하여 새로운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이들 신진 사대부 계층은 대체로 하급 관리와 지방의 중소 지주 출신들로서, 유교의 학문적 교양을 바탕으로 과거를 통하여 중앙 정계에 등장하고 있었다. 이들은 당시 보수적 세력 기반을 구축하고 있던 권문 세족과 대립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하여 신진 사대부 계층은 당시의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혁 정치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그러나 신진 사대부의 힘은 아직 미약하여, 그들의 개혁 운동은 성공하기 어려웠다.

농장의 확대

12세기에 접어들면서, 고려 시대 토지 제도의 기본을 이루고 있던 전시과 제도가 무너지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문벌 귀족들이 함부로 많은 토지를 차지하였기 때문이다. 무신들이 정권을 잡으면서 대토지 소유 현상은 더욱 심해져 전시과 제도는 사실상 무너지게 되었다. 몽고와의 전쟁이 끝나고 원의 정치적 간섭을 받은 시기는 물론, 고려 말에 이르기까지 대토지의 집중은 계속되었다. 권문 세족들은 토지를 국가로부터 합법적으로 급여받거나 개간에 의해 확대하기도 하였으나, 대부분 불법적인 방법으로 차지하였다. 농장은 전국적으로 분포되고, 산과 내를 경계로 하거나 주, 군에 걸쳐 있을 정도로 광대한 것이었다.

농민들은 권문 세족의 가혹한 수탈에 견딜 수 없어, 가족을 거느리고 그들에게 의탁하기도 하였다. 이들 농장에서는 각종 조세와 역을 부담하지 않았으므로 국가 재정은 더욱 궁핍하게 되었다.

공민왕의 개혁

14세기 중엽에 이르러, 원은 새로 일어난 명에 의하여 북방으로 쫓겨나게 되었는데, 공민왕은 이 틈을 타서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과감한 개혁 정치를 단행하였다. 공민왕은 먼저 정동행성의 기능을 폐하여 원의 간섭을 물리치고, 쌍성 총관부를 무력으로 쳐서 철령 이북의 영토를 회복하였다. 또, 관제를 복구하고, 몽고식 생활 풍습을 금하였다. 이어서 친원파를 숙청하고, 정방을 폐지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확대보기
공민왕의 영토 수복
공민왕의 영토 수복
팝업창 닫기

한편, 공민왕은 신돈을 등용하여, 권문 세족들이 불법으로 차지하고 있던 많은 토지를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 주고, 양민으로서 억울하게 노비가 된 자를 해방시켜 주었다.

공민왕의 이러한 개혁은 일반 백성들에게 크게 환영을 받았으나, 아직도 강력한 세력을 가지고 있던 권문 세족의 반발에 부딪히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공민왕이 시해되어 개혁 운동은 실패하고 말았다.

홍건적과 왜구의 격퇴

공민왕이 개혁 정치를 추진하고 있을 때, 밖으로는 홍건적과 왜구가 침입해 왔으며, 중국에서는 원과 명이 바뀌면서 대외 관계에 큰 변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먼저, 대륙으로부터 홍건적의 침입을 받았다. 원이 쇠퇴하자, 중국의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있었는데, 홍건적은 그러한 반란군의 한 무리였다. 중국 북쪽 지방에서 일어난 홍건적은 두 차례나 고려에 침입해 왔다. 고려에서는 최영, 정세운, 이방실, 이성계 등이 나아가 이를 격퇴하였다.

한편, 왜구는 쓰시마 섬 등에 근거를 둔 일본의 해적들로서, 일찍부터 해안 지방에 침입하여 노략질을 하였다. 공민왕 때에는 왜구에게 강화도까지 약탈당하고, 개경이 위협을 받을 정도였다. 이리하여 조세의 해상 운송이 어렵게 되어 국가 재정이 궁핍하게 되었고,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에까지 왜구가 침입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고려는 왜구를 막기 위하여 일본과 외교적 교섭도 벌였으나,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결국 무력으로 토벌하였다. 최무선은 화포를 만들어 진포 싸움에서 왜선을 불태웠고, 최영과 이성계는 각기 홍산과 황산 등지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렀다. 이어서 박위는 전함 100척을 이끌고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 섬을 정벌하여 그 기세를 크게 꺾었다.

확대보기
홍건적과 왜구의 격퇴
홍건적과 왜구의 격퇴
팝업창 닫기

도움글

* 최무선과 화약

화약은, 중국에서는 이미 12세기 북송 때에 만들어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군사상의 비밀로 다른 나라에 전파되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우리 나라에 화약의 폭발력이 알려져 중요한 무기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말로 추측된다.

화약의 제조에 가장 기본적인 원료인 염초는 바닷가나 냇가의 뻘흙에서 뽑아 내는데, 그 제조법이 비밀로 다루어졌기 때문에 화약의 제조와 기술의 개발이 어려웠다. 최무선은 왜구를 무찌르는 데 화약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중국에서 온 상인 이원으로부터 염초를 흙에서 추출하는 방법을 배웠다.

화약 제조에 성공한 최무선은 먼저 화약을 이용한 불화살 등을 만들어 시험하였다. 최무선은 시험에 성공하자, 우왕에게 건의하여 화통도감을 설치하고 거기에서 20여 종의 화기를 제조하였다. 우왕 6년에 왜구가 500여 척의 배를 이끌고 금강 하류의 진포에 쳐들어오자, 최무선은 화약을 이용한 화포 등 각종 무기로 무장한 전함을 이끌고 나아가 싸워 큰 공을 세웠다.

학습 정리

1. 권문 세족은 권력과 농장을 소유한 보수적 집권층이었고, 신진 사대부들은 지방의 중소 지주 출신으로서 개혁을 주장한 신진 세력이었다.

2. 권문 세족의 경제적 기반은 농장이었고, 이들의 농장 확대로 국가 재정은 궁핍해지고, 농민들의 생활은 더욱 어려워졌다.

3. 공민왕은 반원 자주 정책을 추진하면서 권문 세족의 세력을 누르고 왕권을 강화하려 했으나, 개혁 추진 세력이 미약하여 결국 실패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