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6차(하)
  • Ⅲ. 서민 문화의 발달
  • 1. 신분제의 변화

1. 신분제의 변화

학습 개요

17세기 후반 이후 산업의 발달로 경제적 변동이 일어나면서, 조선의 전통적인 신분 질서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양반 중에서도 관직에서 밀려나 실제로는 양반 행세를 할 수 없는 사람들이 많이 생겼다. 또, 재산을 모은 상민이나 노비들 중에서는 재산을 이용하거나 신분을 속여 양반이나 상민으로 상승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조선 후기에는 신분 간의 상하 이동이 활발해져 양반의 수가 크게 늘어난 반면에 상민과 노비의 수는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19세기에 들어와서는 국가 소유의 노비를 해방시켜 주지 않을 수 없게 될 정도로 신분제가 흔들리고 있었다.

학습 문제

1. 조선 후기 신분제 변화의 방향은 어떠하였는가?

2. 중인, 상민, 노비의 신분 상승이 가능했던 요인은 무엇인가?

3. 국가가 공노비를 해방시킨 까닭은 무엇이었는가?

양반의 분화

조선 전기에는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네 신분이 형성되어 있었다. 양반의 사회적 지위와 특권이 강화되면서, 조선 사회는 양반 중심의 사회로 굳어져 가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는 신분의 변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이러한 신분 구조에 변화가 일어났다.

신분의 변동은 양반층 내부에서 심각하게 일어났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 노론이 장기간 집권하면서 이들은 정치의 실권을 독점하고 부정한 수단으로 자제들을 과거에 합격시켜 그 지위를 세습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세도 정치가 시작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반면에, 정권에서 소외된 많은 양반들은 경제적으로도 몰락하여 잔반이 되었다. 잔반은 스스로 농사를 지어 상민과 다를 바 없는 처지에 놓여 있었다. 심하면 소작농이 되기도 하였으며, 상업이나 수공업에 종사하여 생계를 꾸려 나가기도 하였다. 이러한 잔반의 수가 점점 늘어나 양반의 위신은 크게 떨어졌다.

확대보기
자리를 짜는 양반(김홍도)
자리를 짜는 양반(김홍도)
팝업창 닫기

중인층의 성장

신분 변동은 서얼과 중인층에서도 나타났다. 서얼은 양반 사회에서 크게 차별을 받고 있었다. 이들은 18세기 이후 신분제의 동요 속에서 자신들의 지위를 높이려는 노력을 하였다. 그리하여 벼슬에도 나아갈 수 있는 길이 열렸다.

한편, 중인들도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향상시켜 갔다. 역관들은 청에 왕래하는 동안에 새로운 문물을 접하여 견문을 넓혔을 뿐 아니라 사무역으로 재산을 모으기도 하였다. 그리고 의관, 관상감원 및 화원들은 전문적 식견으로, 서리들은 행정 능력이나 문학적 소양으로 그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러한 움직임도 양반 사회의 신분 질서를 붕괴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상민의 신분 상승

상민의 신분 상승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상민들은 군역의 부담에서 벗어나기 위해 신분 상승을 꾀하였다. 납속책의 확대로 웬만큼 재력이 있는 상민은 쉽게 신분을 높일 수 있었다. 상민 가운데 새로운 경제 환경에 잘 대처하여 재산을 모은 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신분 상승을 꾀하였다.

확대보기
공명첩
공명첩
팝업창 닫기

그러나 신분 상승은 이러한 합법적인 방법보다는 주로 비합법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호적을 위조하거나 족보를 사들임으로써 양반 신분을 얻었고, 때로는 고향을 떠나 신분을 감추고 양반으로 행세하는 사람들이 늘어 갔다. 이리하여 시간이 흐를수록 상민의 수가 줄어들고 양반의 수가 크게 늘어났다.

노비 해방

노비는 16세기 말 전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군공 등을 통하여 신분을 상승시키기도 하였으나, 주로 도망하여 노비 신분에서 벗어났다. 또, 노비 가운데 수공업자가 된 자나 농사를 잘 지어 재산을 모은 자들은 이를 이용하여 양인으로 상승해 갔다. 이에 따라 시대가 흐를수록 노비 인구는 감소되어 갔다.

노비는 상민과 경제적 처지가 같다 하더라도 노비라는 이유만으로 사회에서 냉대를 받았다. 이에 따라 노비들은 노비 신분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여러 가지로 노력하였으며, 노비의 도망이 수시로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하여 이 시기에는 상민과 노비의 인구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재정상 어려움을 주었고, 국방상으로도 지장을 주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공노비를 해방시키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1801). 이로써 공노비 제도는 사실상 무너지고 말았다. 노비 해방은 신분제의 붕괴를 정부 스스로가 인정한 것이었고, 장기간에 걸친 노비들의 신분 해방 운동의 성과이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18세기 이후의 조선 사회에서는 양반 중심의 신분제가 크게 동요되어 신분 간의 상하 이동이 활발해졌다. 그리하여 종래의 신분적 예속 관계는 크게 힘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학습 정리

1. 조선 후기에는 양반 중심의 신분제가 동요되어 종래의 신분적 예속 관계는 크게 힘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2. 조선 후기에 신분 상승이 가능하였던 것은 경제력이나 전문적 능력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3. 상민의 감소는 국가 재정을 어렵게 하였기 때문에 국가는 공노비를 해방시켜 부족한 상민의 수를 보충하려 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