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6차(하)
  • Ⅵ. 민족의 독립 운동
  • 4. 국내의 독립 운동

4. 국내의 독립 운동

학습 개요

3⋅1 운동으로 일제는 식민 통치 정책을 바꾸지 않을 수 없었다. 일제는 무단적인 지배로써는 한국인을 복종시킬 수 없다고 판단하자, 이른바 문화 통치를 내걸고 보다 악랄한 민족 분열 정책과 함께 경제적 착취를 강화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한민족의 독립 운동은 경제적, 사회적 투쟁으로 전개되었다. 그리하여 민족 실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운동과 경제 자립 운동이 추진되었다. 또, 학생들이 주도한 6⋅10 만세 운동과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신간회가 조직되어 민족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학습 문제

1. 3⋅1 운동 이후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은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2.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의 변화에 대응하여, 민족 운동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갔는가?

3. 6⋅10 만세 운동과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식민 통치 정책의 변화

3⋅1 운동 이후 일제는 한민족의 문화와 관습을 존중한다고 하는 이른바 문화 통치를 내세웠다. 그리하여 헌병 경찰 제도를 보통 경찰 제도로 바꾸고, 한국인의 신문 간행을 허가하기도 하였으며, 관리나 교원이 칼을 차는 것도 없앴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한국인을 회유하여 그들의 지배에 잘 따르도록 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일제의 새로운 식민지 정책은 민족을 이간시키고 분열시키기 위한 교활한 정책으로서, 한민족의 단결을 억제하고 독립 운동을 막으려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그들이 내세운 정책은 그대로 실시되지도 않았으며, 여러 가지 방법의 간섭과 탄압은 더욱 심해졌다.

특히, 일제는 그들의 부족한 식량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으로부터 쌀을 약탈하는 데 주력하였다. 이에 한국 농민들은 그들이 생산한 많은 쌀을 일본에 빼앗겨 굶주림을 면하기가 어려웠다.

확대보기
일본으로 실어 가기 위하여 항구에 쌓아 놓은 쌀
일본으로 실어 가기 위하여 항구에 쌓아 놓은 쌀
팝업창 닫기

그리하여 많은 농민들이 살 길을 찾아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 연해주, 일본 등지로 이주하게 되었다. 일본으로 건너간 우리 동포들은 1923년 관동 대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일본 당국이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켜 일본인을 죽이고 있다.”라는 유언 비어를 퍼뜨려 6000여 명이 학살당하는 대참사를 겪었다.

또, 일제는 그들의 경제적 침투가 보다 편리하도록 회사령을 허가제에서 신고제로 바꾸었다. 그리하여 일본 대재벌의 자본이 침투하고 일본인이 경영하는 각종 회사가 설립됨으로써 한국의 산업과 한국인의 경제 생활은 일본인에 의하여 지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민족 실력 양성 운동

3⋅1 운동 이후 우리 민족은 독립에 대한 희망을 보다 강하게 가지게 되었다. 우리 민족은 일제의 식민 통치 정책이 바뀌게 된 것을 계기로 새로운 방향으로 민족 독립 운동을 전개시켜 나갔다. 즉, 일제의 식민지 정책이 민족을 이간시키고 경제적 착취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자, 이에 대항하여 민족 독립 운동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인 투쟁을 통하여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물산 장려 운동은 민족의 산업을 발전시키고 민족 자본을 육성하여 경제적 자립을 꾀하려는 것이었다. 자급 자족, 국산품 애용, 소비 절약 등을 내세웠던 물산 장려 운동은 자작회, 물산 장려회, 토산 애용 부인회 등의 단체들이 앞장 서서 이끌었으며, 전국적인 규모의 경제적 민족 운동으로 발전하였다.

확대보기
국산품 애용 선전문과 물산 장려가
국산품 애용 선전문과 물산 장려가
팝업창 닫기

또, 민족 교육을 통한 실력 양성 운동이 전개되었다. 일제의 한국인에 대한 차별 교육에 대항하여 한국인의 힘으로 대학을 설립하려는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이 일어나, 전국적으로 모금 운동을 벌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청년 학생들이 앞장 서서 농촌 계몽에 나서거나 야학을 세워 문맹 퇴치 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족 신문인 조선 일보와 동아 일보는 민족 실력 양성 운동에 앞장섰다. 물산 장려 운동을 홍보하고 모금 운동에 앞장 섰으며, 여러 가지 행사를 주관하여 사회⋅문화 발전에 큰 공헌을 하였다. 이들 언론의 활동에 대하여 일제는 기사의 검열과 삭제, 휴간 및 정간 등의 갖은 탄압을 가하였다.

확대보기
조선 일보의 문맹 퇴치 운동 기사
조선 일보의 문맹 퇴치 운동 기사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동아 일보의 브나로드 운동 기사
동아 일보의 브나로드 운동 기사
팝업창 닫기

6⋅10 만세 운동과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0년대에 일제의 감시와 탄압으로 민족 지도자들의 독립 운동이 크게 제약을 받는 가운데 학생들은 강연, 연극, 야학, 농촌 계몽 활동 등을 통하여 민중 계몽에 앞장 섰다.

한편으로, 학생들은 학교에서 독서회 등 비밀 조직 활동을 하면서 민족의 당면 문제를 인식하고 독립 운동의 역량을 스스로 키워 가고 있었다. 또, 학생들은 일제의 민족 차별 교육에 반대하고, 일본인 교사의 한국인 멸시에 항거하는 동맹 휴학을 하기도 하였다.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항일 민족 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한 것이 6⋅10 만세 운동과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었다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던 순종의 장례일인 1926년 6월 10일에 장례 행렬이 지나가는 가운데 학생들이 독립 만세 시위를 벌였다. 이에 거리에 나온 시민들이 합세하였으나, 일제의 무장 경찰에 의하여 무자비하게 제지당하였다. 학생들이 추진한 6⋅10 만세 운동은 3⋅1 운동 이후 침체되었던 국내의 민족 운동에 커다란 활력을 불러일으켰다.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한⋅일 학생 사이에 일어난 충돌을 계기로, 평소의 민족 차별에 대한 분노와 반일 감정이 폭발하여 대규모의 반일 학생 시위가 일어났다. 이 학생 운동은 순식간에 전국으로 퍼져, 각지에서 많은 학교의 학생들이 항일 시위를 전개하였고, 일반 국민들까지 여기에 가담하였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단순한 학생 운동이 아니라, 일제의 민족 차별에 대한 반대 투쟁이었으며, 나아가서는 민족 독립 투쟁의 일환으로 전개된, 3⋅1 운동 이후 가장 큰 규모의 민족 운동이었다.

확대보기
광주 학생 항일 운동 기념탑(광주)
광주 학생 항일 운동 기념탑(광주)
팝업창 닫기

신간회의 활동

3⋅1 운동 이후 여러 갈래의 민족 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그 방법과 주장이 다르게 나타났다. 더욱이 일제의 교활한 민족 이간책으로 민족 내부에 분열이 생겨났고, 이는 그만큼 민족의 역량을 약화시키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국내의 지식층 인사를 중심으로 항일 운동 단체를 통합하자는 주장이 대두되어 조직된 단체가 신간회였다(1927). 신간회는 당시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민족 운동가들이 참여한 최대 규모의 정치⋅사회 단체로서, 지방에 지회를 설치하여 그 조직을 넓혔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이 일어나자, 신간회는 이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일본 경찰이 한국인 학생들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는 것을 항의하는 한편, 이 운동이 전국적인 독립 운동으로 확대되도록 지원하기도 하였다.

확대보기
신간회의 활동을 보도한 당시의 신문 기사
신간회의 활동을 보도한 당시의 신문 기사
팝업창 닫기

신간회의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민족 운동으로 확산되려 하자, 일제는 갖가지 방법으로 그 활동을 방해하였고, 내부에서도 분열이 일어나 신간회는 해체되고 말았다.

한편, 여성들도 근우회를 조직하여 여성의 지위 향상과 새생활 운동을 전개하는 등 신간회와 함께 활동하였다.

도움글

* 민립 대학 설립 운동

3⋅1 운동 후 일제가 이른바 문화 통치를 표방하자, 민족 지도자들은 우리의 손으로 대학을 설립하여 민족의 실력을 기르자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이미 대한 제국 시기에 윤치호, 남궁억 등이 600만 원을 모금하여 민립 대학을 설립하려 하였으나, 그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920년 6월 한규설, 이상재 등 100명이 우리 나라에 대학이 없음을 개탄하고 빠른 시일 내에 민립 대학을 설립할 것을 결의하였다. 이어서 민립 대학 기성 준비회를 결성하고(1922), 대학 설립 계획서를 마련하였다.

계획서에 따르면, 자본금 1천만 원을 모금하되, 이를 3개년으로 나누어 1차년도에 400만 원, 2차년도에 300만 원, 3차년도에 300만 원을 모아 대학을 세우기로 하였다.

“한민족 1천만이 한 사람 1원씩!”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모금에 나섰는데, 전라도에서만 15만 원을 모금하였다.

이 같은 민립 대학 설립 운동에 대한 우리 민족의 열기에 놀란 일제는, 이 운동을 단순한 교육 운동이 아니라 정치 운동이라고 판단하고 간교한 탄압과 방해 공작을 하였다. 거기에다가 1923년에서 1924년에 걸친 전국적인 홍수와 가뭄으로 농촌 경제가 파탄되어 농민의 생활이 어려워지면서 이 운동은 실패하고 말았다.

이 운동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3⋅1 운동 이후 전 민족이 실력 양성의 기치 아래 단결을 과시함으로써 그 뒤 민족 독립 운동의 지표가 되었다. 이 후에도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은 계속 시도되었지만, 그 때마다 일제의 탄압으로 좌절되어 1945년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일제가 세운 경성 제국 대학 외에는 한 개의 대학도 설립되지 못하였다.

학습 정리

1. 3⋅1 운동 이후 일제는 이른바 문화 통치를 내걸고 교활하게 민족 분열을 꾀하고, 경제적 수탈을 강화하였다.

2. 3⋅1 운동 이후 민족 운동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인 면에서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3. 6⋅10 만세 운동과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3⋅1 운동 이후 학생들이 추진한 대규모의 항일 민족 운동이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