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6차 교육과정
  • 중학교 국사 6차(하)
  • Ⅶ. 대한 민국의 발전
  • 1. 광복과 분단

1. 광복과 분단

학습 개요

우리 민족은 온갖 고난과 시련에도 굴하지 않고 국내외에서 줄기차게 펼쳐 왔던 독립 운동과 연합국의 승리로, 일제의 압제에서 벗어나 광복을 맞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정부를 수립할 때까지 또다른 시련을 겪지 않으면 안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세계 여러 나라는 자유 진영과 공산 진영으로 갈라졌고, 이는 우리 나라에 큰 영향을 끼쳤다. 그리하여 한반도에 미군과 소련군이 38도선을 경계로 진주하여, 국토가 분단되는 비극을 겪어야만 하였다.

학습 문제

1. 우리 민족이 광복을 맞이할 수 있었던 바탕은 무엇인가?

2. 38도선은 왜 생겼으며, 우리 민족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3.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에 대하여 우리 민족은 어떻게 대처하였는가?

8⋅15 광복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연합국의 승리로 끝나자, 우리 민족은 일제의 가혹한 식민 통치로부터 벗어나 마침내 감격스러운 광복을 맞게 되었다. 우리가 광복을 맞이할 수 있었던 것은, 연합국의 승리가 가져다 준 결과이기도 하지만, 그 동안 우리 민족이 일제에 항거하여 꾸준히 전개해 왔던 독립 운동의 결실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에서의 끈질긴 독립 운동, 만주와 연해주, 중국 대륙 등에서의 줄기찬 항일 무장 투쟁,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외교 활동과 한국 광복군의 대일 항전, 그리고 민족의 잇단 의거 활동 등이 광복의 밑거름이 되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우리 민족의 줄기찬 독립 운동과 투철한 독립 의지가 있었기에 우리 민족은 중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의 후원을 받을 수 있었고, 연합국의 지도자들도 카이로 회담과 포츠담 선언에서 우리 민족의 독립을 약속하였던 것이다.

8⋅15 광복으로, 망명했던 애국 지사들과 일본 등지로 징용당했던 동포들이 돌아올 수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우리 민족은 우리의 손으로 나라를 세울 수 있다는 희망과 기쁨에 가득 차 있었다.

확대보기
광복의 기쁨
광복의 기쁨
팝업창 닫기

국토의 분단

우리 민족의 감격적인 광복은 곧바로 독립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그것은 미국과 소련의 정치적, 군사적 이해 관계에 얽혀 북위 38도선이 군사 분계선으로 설정되고, 미⋅소 양국의 군대가 우리 나라의 남과 북에 각각 진주하였기 때문이다. 소련군은 1945년 8월에 북한에 진주하였고, 미군은 9월 초에 남한에 진주하여 한반도에 남아 있던 일본군의 무장을 해제시켰다.

38도선은 이처럼 처음에는 미⋅소 양국에 의해 그어진 군사적 경계선이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을 중심으로 한 자유 진영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공산 진영의 대립이 심해지면서 양 진영 사이의 관계가 악화되자 38도선은 정치적 분할선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로 인해 우리 민족은 광복의 기쁨이 채 끝나기도 전에 국토의 분단이라는 뜻밖의 시련을 맞게 되었다.

확대보기
38도선 안내 표지
38도선 안내 표지
팝업창 닫기

미 군정하의 남한

광복과 더불어 국내의 일부 지도자들은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결성하여 치안을 유지하고, 독립 국가의 건설을 준비하였다. 이와 동시에 전국 각지에 수감되어 있던 많은 애국 지사들이 석방되어, 오랫동안 금지되었던 정치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들 애국 지사들은 서로의 이념에 따라 정당과 사회 단체를 조직하였다.

남한에 진주한 미군은 3년간 군정을 실시하였다. 미 군정하에서 남한은 정국이 안정되지 못하고 혼란이 거듭되었다. 그것은 미군이 한반도의 실정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한데다가 수많은 정당과 사회 단체들이 난립하였고, 민족주의 계열과 공산주의 계열이 날카롭게 대립하였기 때문이었다. 또, 많은 해외 동포들과 독립 투사들이 귀국하여 서로의 주장이 통일되기가 어려웠고, 생활 필수품을 비롯한 물자의 부족으로 생활이 극도로 어려웠기 때문이었다.

남한의 정국이 정당의 난립과 좌우 정파의 대립으로 어지러울 무렵, 1945년 10월에는 미국에서 독립 운동을 하고 있던 이승만이 귀국하고, 이어서 다음 달에는 김구 등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지도자들이 중국에서 귀국하였다. 오랜 망명 생활 끝에 귀국한 이들 지도자들도 군정이 끝난 후 정부를 수립할 것에 대비하여 정당과 사회 단체를 만들었지만, 서로의 의견이 엇갈리고 국민들의 정치적 경험이 성숙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정국의 혼란은 계속되었다.

확대보기
이승만
이승만
팝업창 닫기
확대보기
김구
김구
팝업창 닫기

북한의 공산화

북한에서는 광복 직후에 민족주의자들이 중심이 되어 평안 남도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그리고 평안 남도 이외의 각 도에서도 지역 자치 기구들이 결성되었다. 그러나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은 건국 준비 위원회 등의 각종 기구들을 공산주의자들이 주도하는 인민 위원회나 인민 정치 위원회로 개편시켰다. 소련군 사령부는 이 인민 위원회에 치안 업무와 행정 업무를 이양하고 소련 군정의 대행 기관으로 내세웠다.

북한에서도 여러 정치 세력들이 등장하였다. 그 가운데에서도 조만식 등의 민족주의 세력과 중국이나 소련에서 귀국한 공산주의자들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그런데 소련군 사령부는 민족주의 세력을 제거하고, 김일성을 비롯한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하였다. 이로 인하여 북한에는 공산주의 제도가 도입되고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었으나, 이 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이 적지 않았다. 즉, 신의주를 비롯한 각지에서 반공 의거가 일어났으며, 민족주의 계열의 많은 지도자들이 남한으로 내려왔다.

확대보기
조만식
조만식
팝업창 닫기

신탁 통치 문제

1945년 12월에 모스크바에서 미국, 영국, 소련의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한반도에 미군과 소련군의 대표로 구성되는 미⋅소 공동 위원회를 설치하고, 또 한국에 대하여 최고 5년간 미국, 영국, 중국, 소련의 4개국이 신탁 통치를 실시한다고 결정하였다. 신탁 통치란, 강대국이 독립할 능력이 없는 나라를 일정 기간 동안 통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신탁 통치안은 우리의 역사와 민족의 역량을 무시하고, 또 우리 민족이 염원하는 독립을 지연시키는 것이었다. 이에 우리 민족은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맹렬히 전개하였다.

광복 후, 독립 정부의 수립을 고대하던 국민들은, 신탁 통치의 결정을 민족에 대한 모욕으로 받아들였다. 그리하여 민족 지도자들이 중심이 되어 신탁 통치 반대 국민 총동원 위원회를 결성하였고, 이를 계기로 반탁 운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확대보기
신탁 통치 반대 운동
신탁 통치 반대 운동
팝업창 닫기

처음에는 공산주의자들까지 반탁 운동에 참가하여 민족적 단합의 계기가 마련되는 듯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소련의 지령에 따라 곧 태도를 바꾸어 신탁 통치안을 지지하였다.

이처럼 신탁 통치 문제를 놓고 남한에서는 민족주의 진영이 반탁 운동을, 공산주의 진영이 찬탁 운동을 전개함으로써 좌우 대립이 치열해졌고, 의견의 일치를 볼 수 없었다. 한편, 북한에서는 반탁을 주장한 조만식이 소련군 당국에 의해 연금되었으며, 민족 진영의 반탁 운동은 금지되었다.

신탁 통치안에 대한 우리 민족의 격렬한 반대 운동에도 불구하고, 신탁 통치 문제와 한국 임시 정부의 수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미⋅소 공동 위원회가 서울에서 개최되었다. 이 때 소련측은 찬탁을 주장하는 단체들만으로 임시 정부를 수립할 것을 고집하였고, 미국측은 모든 정치 단체들을 참여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이리하여 두 차례에 걸쳐 개최되었던 미⋅소 공동 위원회는 양측의 주장이 대립하여 아무런 성과도 거두지 못한 채 결렬되고 말았다.

확대보기
미⋅소 공동 위원회
미⋅소 공동 위원회
팝업창 닫기

미⋅소 공동 위원회가 결렬되면서 독립 정부를 수립하려는 우리 민족 앞에는 많은 어려움이 가로놓이게 되었다. 미⋅소의 대립과 냉전 체제, 민족 지도자들의 분열, 민족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의 대립 등은 민족의 통일된 독립 정부 수립을 어렵게 만들었다.

학습 정리

1. 우리 민족은 줄기찬 독립 운동과 연합국의 승리로 일제의 식민 통치에서 벗어나 8⋅15 광복을 맞이하였다.

2. 미국과 소련은 일본군의 무장 해제를 위해 38도선을 경계로 각기 남북에 군대를 보내 군정을 실시하였고, 이로써 국토가 분단되었다.

3. 신탁 통치안은 민족의 오랜 독립 염원을 외면한 것이었으므로 우리 민족은 격렬한 반탁 운동을 전개하였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