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일제강점기
  • 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 교수참고서 - 2
  • 4. 조선의 문화
  • 비고(備考)
  • 중앙관제(中央官制)
  • 의정부

의정부

정종 2년에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議政府)를 두었다. 이것이 의정부의 시작이다. 이어서 태종 원년에 문하부를 폐지하여 의정부에 합병함으로써 의정부는 명실공히 최고의 중앙 관부가 되었으며, 그 직권(職權)은 백관(百官)을 통솔하고, 모든 정치를 조율하며, 음양(陰陽)을 다스리고, 나라를 경영하는 것이었다. 그 우두머리를 영부사(領府事)라고 불렀지만 이어서 영의정(領議政)으로 고쳤으며, 그 밑에 좌의정(左議政)과 우의정(右議政) 각 한 명씩을 두어 세 명이 회의하였다. 보통 그들을 삼공(三公)이라고 불렀다. 삼공 밑에는 좌·우찬정(左·右贊政) 및 좌·우참찬(左·右參贊)을 합쳐 네 명이 있었다. 사인(舍人) 이하 여러 직원들이 다시 그 밑에 예속되었다. 의정부는 최고의 행정 관청으로서 오랫동안 존속하였지만, 명종(明宗) 【제13대】 10년에 처음으로 비변사(備邊司) 【비국(備局) 또는 주사(籌司)라고 불렀다.】 가 설치되자, 그 직원들은 의정(議政)을 비롯하여 문무 중신(重臣)을 겸직하였으며, 국가의 정무는 크고 작은 것을 불문하고 여기에서 결정되었으므로, 의정부는 완전히 그 실권을 상실하였으며, 비변사는 사실상 중앙 정부의 가장 중요한 기관이 되었다. 【아래 제9과 비고 3 「인재의 등용」 참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