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일제강점기
  • 심상소학국사보충교재 교수참고서 - 2
  • 7. 병자(丙子)의 난
  • 비고(備考)
  • 청(淸)나라의 침입
  • 제1차 침입

제1차 침입

천명 11년 【조선 인조 4년, 명나라 천계 6년】 에 금나라의 태조가 세상을 떠나고 넷째 아들 태종이 즉위하였다. 이보다 앞서, 조선에서는 이괄의 난이 일어나 평정되었지만, 그 무리인 한명련(韓明璉)의 아들 한윤(韓潤)이 달아나 금나라에 항복하고, 항장(降將)인 강홍립(姜弘立) 등과 교류하여, 태종에게 조선을 정벌하도록 권하였다. 이때 명나라의 총병(總兵) 모문룡(毛文龍)은 가도(椵島)에 진을 설치하고 의주(義州), 철산(鐵山), 신미도(身彌島) 【이상은 모두 평안북도】 등에 왕래하여, 항상 조선과 의각(猗角)의 형세를 취하고, 금나라 군대의 활동을 방해한 바가 적지 않았으므로, 태종은 그를 정벌하여 후환을 없애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이에 항장(降將)들의 말을 듣고, 천총(天聰) 원년(정묘년) 【조선 인조 5년, 명나라 천계 6년】 에 패륵(貝勒) 【금나라 종실의 존칭】 아민(阿敏) 등을 파견하고, 강홍립, 한윤을 향도(嚮導)로 삼아 압록강을 건너서 곧바로 의주·용천(龍川)을 함락시키고, 따로 장수를 파견하여 가도를 공격하여 모문룡을 신미도로 쫓아냈다. 이 군대는 멀리 행군하여 곽산(郭山)을 접수하고, 정주(定州)를 함락시켰으며, 마침내 청천강(淸川江)을 건너 안주(安州) 【평안남도】 로 들어갔다. 평양에서는 안주성이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자, 평안도 감사(監司) 윤훤(尹暄)은 먼저 성을 버리고 도망쳤으며, 금나라 군대는 대동강을 건너 중화(中和) 【평안남도】 에 주둔하고, 편지를 보내 조선의 일곱 가지 죄목을 일일이 들어 꾸짖었다. 이어서 금나라 군대는 황주성(黃州城) 【황해도】 을 함락시키고 나아가 평산(平山) 【황해도】 에 이르렀으므로, 경기(京畿)에서는 깜짝 놀라 왕과 그의 일족과 대신(大臣)들은 급히 난을 피해 강화도로 갔다. 이때 아민은 진격하여 도성으로 들어가 국왕의 궁전 성곽을 보려고 하였지만 그의 패륵들은 따르지 않았다. 이 때문에 부장(副將) 유해(劉海)를 강화에 보내 화의를 청하도록 권고하게 하였다. 이때 강화의 수비는 취약하여 도저히 우환을 감당해낼 수 없었으므로, 왕은 종실인 원창령(原昌令) 각(覺)을 왕의 아우라고 일컫고 군(君)에 봉하여, 유해와 함께 평산에 가서 화의를 요청하게 하였다. 아민은 아직 화약(和約)을 맺고 싶지 않았지만 그의 패륵들이 좋다고 허락하여, 조선 왕으로 하여금 맹서(盟誓)하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므로, 화의는 마침내 이루어졌다. 3월 3일에 강화부(江華府) 문 밖에 단(壇)을 쌓고 양국의 대표자들이 거기에 와서 이후 양국은 형제의 나라가 되어 서로 영토를 지키고 침범하지 않을 것을 서약하였다. 이때 일본의 쇼군(將軍) 도쿠가와 이에미츠(德川家光)는 금나라가 조선을 침범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쓰시마 도주(島主) 소 요시나리(宗義成)에게 명하여 조선을 위해 금나라를 물리치도록 알렸으므로, 왕은 그를 금나라에 몰래 들여보내 공손히 예의를 갖추게 하려 하였지만, 그것이 불가하다고 간언하는 사람이 있어 결국 그만두었다. 【『조야첨재(朝野僉載)』·『일월록(日月錄)』·『청삼조실록(淸三朝實錄)』·『호우쵸로우조선물어(方長老朝鮮物語)』·『도쿠가와실기(德川實記)』·『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