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1편 상고(태고-삼국시대)
  • 상고의 후기(삼국 시대)
  • 제3장 삼국의 통일과 문화
  • 1. 신라의 고구려·백제 합병

1. 신라의 고구려·백제 합병

『삼국의 정세』 진흥왕 이후로 신라의 세력이 강성해지자 고구려와 백제는 크게 위협을 받아 서로 동맹을 맺게 되었다. 고립 상태에 빠져 있던 신라는 제27대 선덕여왕 때에 적극적으로 당나라와 연합 정책을 쓰고 김춘추는 외교에, 김유신은 군정에 힘을 들여 국력을 튼튼히 하고 있었다.

『백제 평정』 백제의 제30대 무왕과 그 다음 의자왕은 향락과 사치를 극히 하여 백성을 괴롭히고 정치를 어지럽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부질없이 신라를 자주 침공하여 국력을 소모하였다. 그때 신라는 당나라와 연합 정책을 쓰던 김춘추가 제29대 태종 무열왕으로 왕위에 오르게 되었고 당나라와의 관계는 더욱 친밀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무열왕 7년에(국기 2393년, 서기 660년) 신라는 마침내 당을 움직여 연합군으로써 백제를 치기에 성공하였다. 【당의 백제에 대한 적극책은 백제의 동맹국인 고구려 정벌의 전제임】

신라는 김유신이 5만의 정병을 거느리고 동북쪽으로 쳐서 내려오고, 당나라는 소정방이 13만 군사로 바다를 건너 금강 어구로 들어왔다. 뜻하지 않게 협공을 받게 된 백제는 매우 낭패하였다. 계백은 결사대 5천으로써 황산벌에 나아가 김유신과 싸웠으나 많은 군사를 대적하지 못하고 패망하고 금강 어구에서 당나라 군사를 막던 백제군도 무너지고 말았다. 이에 신라와 당나라 군사들은 서로 호응하며 백제의 수도 사비성(부여)을 공격하여 차지하고 의자왕을 항복시켜 백제를 멸하였다. (백제는 31대 678년을 지내었음)

『고구려 평정』 고구려는 국위를 빛내고 있던 연개소문이 보장왕 25년(국기 2998년, 서기 665년)에 죽자 그의 일족 사이에서 정권을 다투는 내홍이 일어나 그의 장자 남생은 당나라로 도망가서 항복하고, 그의 아우 연정토는 12성을 가지고 신라와 붙었다. 고구려의 내부가 이같이 무너지자 백제를 멸한 다음에 고구려를 엿보던 신라는 다시 당나라와 맺어 출병하기에 이르렀으니, 이는 제20대 문무왕 7년의 일이다.(국기 3000년, 서기 667년)

당나라는 고구려가 그들의 숙적인지라 당 고종(태종의 아들)은 신라와 호응하여 남생에게 길을 인도하게 하고 이적을 총지휘자로 하여 수륙 대군을 움직여 고구려에 침입하였다. 그 때에 고구려는 내부가 어수선할 뿐만 아니라 흉년이 거듭 들어 나라의 기초가 흔들렸다. 그러나 오히려 2년 동안이나 적군과 싸우다가 보장왕 27년(국기 3001년, 서기 668년)에 평양성이 신라와 당나라 군사들에게 함락되어 마침내 망하고 말았다. (고구려는 28대 705년을 지내었음)

『반도 통일의 완성』 신라가 당나라를 끌어들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한 것은 그 목적이 본래 당나라의 세력을 이용하여 삼국을 통일함에 있었다. 그러나 당나라는 백제와 고구려가 거꾸러진 뒤에 그 중요한 각 지역을 군사적으로 점거하고 있었다. 이것은 원래 신라가 용인할 바 아니었으나 백제의 유민과 고구려의 유민이 당나라에 저항하는 기치를 내세우고 부흥 운동을 일으켰다.

백제 사람으로는 왕족 복신과 승려 도침 등이 왕자 풍을 세우고 주류성과 임존성 등을 근거로 하여 당나라 군사를 크게 괴롭혔다. 고구려 사람으로는 검모잠 등이 보장왕의 외손 안순을 세우고 한참동안 당나라 군사와 항전하였다. 이 양국 유민의 항당 부흥운동은 대세에 끌려 모두 실패로 돌아갔으나 당나라 군사에게는 또한 적지 않은 타격이었다.

이때에 신라에서는 실력으로 당나라의 세력을 몰아내기로 하고, 먼저 백제 땅에 주둔하고 있는 당나라 군사를 내몰고 고구려의 옛 강토는 고구려 유민의 협력을 얻어 마침내 대동강 유역까지 회수하였다. 이로부터 신라의 북쪽 경계는 대동강 유역으로부터 원산만에 이르게 되었다. 신라의 이러한 강경책으로 말미암아 당나라와의 관계가 한때는 매우 험악하였으나 세력이 차차 약해지고 있던 당나라로서는 어찌 할 수가 없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