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1편 상고(태고-삼국시대)
  • 상고의 후기(삼국 시대)
  • 제3장 삼국의 통일과 문화
  • 3. 삼국과 외국의 관계

3. 삼국과 외국의 관계

(가) 『대륙 여러 나라와의 관계』 삼국의 융성기는 대개 중국의 대분열기 곧 5호 16국, 남북조 시대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삼국의 외교책은 매우 미묘하고 복잡하였다. 그러나 대개 정치적으로는 원교 근공책(遠交近攻策), 문화적으로는 선린책을 써서 세력의 균형과 문물의 유입을 겸행하였다. 특히 중국과의 외교는 조공 【조공은 곧 공적 무역의 한 형태임】 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무역을 행한 것은 경제와 문화의 발전에 있어 큰 의의가 있는 것이다. 고구려는 중국과 이웃할 만큼 그의 남북 각 왕조는 물론이요, 흉노·돌궐과도 수교를 하였으며 백제와 신라는 황해를 통하여 대륙의 여러 나라와 통교를 하였다. 특히 신라는 지리적 관계로 중국과 직접 통교가 비교적 늦었다.

(나) 『대륙 문물의 유입과 불교의 전파와 보급』 한학과 기예를 비롯하여 대륙의 문물제도가 삼국 문화에 적지 아니한 영향을 끼쳤다. 특히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 때에 (국기 2703년, 서기 372년) 전진으로부터 들어와 뒤에 신라에까지 유통되었으며, 백제의 불교는 침류왕 때에(국기 2717년, 서기 384년) 바다를 건너 동진으로부터 들어왔다. 이로부터 불교는 우리의 종교와 사상과 학예 등 여러 방면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다) 『일본과의 관계』 일본은 본래 많은 섬으로 나뉘어 있어 우리의 남북 여러 나라가 열립해 있을 시기(삼한 시대)에는 일본에도 역시 수많은 부락 국가가 서 있었으며, 그 가운데에 사마도(邪馬臺) (야마도)국이 있어 차차 여러 부락 국가에 세력을 떨쳤던 듯하다. 그리고 산업으로는 약간의 농업도 행하였으나 주로 고기잡이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일찍부터 변한의 구야(김해) 등지에 건너와 우리의 문물을 받아가기 시작하였으며, 삼국 시대에 이르러서는 여러 가지 문물제도가 백제를 주로 하여 일본(사마대국을 중심으로)에 흘러가 소위 일본 문화의 기초가 되었다. 신라, 고구려와 일본 사이에는 문물이 흘러간 것이 적지 아니하나 정치적 관계는 거의 볼만한 것이 없었고 백제와의 관계는 일본이 신라와 관계가 원활하지 못하였으므로 (일본 변민의 침구로 인하여) 백제에 친화를 구하였다. 그리하여 한학, 불교와 백공, 기예가 거의 백제로부터 흘러 들어갔다. 일본은 이와 같이 문화적으로 백제에 의존한 만큼 군사를 간혹 원조한 일도 있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