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2편 중고(신라 통일기-고려)
  • 중고의 후기(고려조)
  • 제2장 고려 중기의 융성
  • 1. 고려 중기의 내치와 문화

1. 고려 중기의 내치와 문화

고려 중기는 제8대 현종으로부터 제16대 예종 때까지 약 110여 년 동안이니(국기 3343-3455년, 서기 1010-1122년) 이 시기에 이르러 제도 문물이 찬연히 빛났으며 국위도 또한 떨쳤다.

(가) 『현종 시대의 내치와 문물』 지방의 관제를 다시 고쳐 4도호(안동도호부(경주), 안남도호부(전주), 안서도호부(해주), 안북도호부(안주)), 8목(광주, 충주, 청주, 진주, 상주, 전주, 나주, 황주의 8주)의 제도를 정하였다. 도성의 구획 정리와 방비 시설을 마련하여 수도를 5부 35방 344개리로 나누었으며 나성을 쌓아 방비를 튼튼히 하였다.

(나) 『문종 시대의 내치와 문물』 문종 시대는 (국기 3380-3416년, 서기 1047-1083년) 정치가 간명하고 국가가 부유하며 백성은 생활이 안락하여 당시에도 『태평시절』이라는 말을 들을 만큼 실로 고려의 전성 시기였다. 법률을 개정하여 형벌을 삼갔으니 사형수에 대해서는 세 번 복심을 한 뒤라야 그것을 결재하기로 하였으며, 보통 죄수들의 신문에 있어서도 3인 이상의 법관을 두어 배심제와 같은 규정을 세웠다.

전제(양전보수법), 전세, 녹봉 등의 제도를 다시금 작정하고 공음전시법(공신의 자손에게 물러주는 전토)을 세웠으며 동·서대비원을 열어 굶주림과 추위 및 질병에 걸려서 돌아갈 곳이 없는 자를 구제하였다. 【기인】 기인법을 정하여 향리의 자제를 뽑아 서울에 주재하게 하고 그들의 향리에 관한 사무 연락을 맡게 하였으니 이것이 뒷날 경주인의 기원이다.

【문헌공도】 그리고 이 시대에 유학과 불교가 크게 진흥하였다. 유학은 최충(시호는 문헌)이 사학(9재)을 열어 많은 총명한 인재들을 길러내어서 유학의 풍이 이른바 문헌공도(최충의 문인)로 말미암아 널리 행하게 되었다. 불교는 국초 이래로 성행하던 것으로써 유명한 대장경의 초판도 현종 시대부터 문종 시대에 걸쳐 약 60년 동안의 적공으로 완성되었다. 특히 문종 시대에는 유명한 흥왕사(2천 8백 칸의 거찰이니 개풍리 흥왕리에 있었음)의 창건을 보게 되었다. 【대각국사】 명승 대각국사 의천은 문종의 네 번째 아들로 출가한 사람이니, (고려시대에는 왕자로서 출가한 사람이 많았으니 특히 이들을 소군(小君)이라 불렀음) 그는 총명하고 배움을 좋아하여 불교와 유학에 통하지 아니한 것이 없었으며 수도에 정진한 나머지 송나라에 건너가 명산대찰을 찾아다니며 불법을 연구하였다. 【중국 항주의 서호 연안에 있는 고려사는 의천의 희사로 중창된 것이다.】 돌아올 때에 불서(교소(敎疏)) 3000여 권을 가져왔고 다시 요(거란)와 일본에 불서를 널리 구하여 4700여 권을 조판하여 발간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의천의 속장(속대장경)이니 이 같은 불서의 조판은 세계 문명 역사상에 큰 광채를 발하는 것이다.

【고려의 남경】 고려의 남경(지금의 경성)도 문종 때에 비로소 설치한 것이니 이는 풍수지리의 3경 사상과도 관련이 있겠지만 국내의 통치에도 필요한 것이다.

(다) 『대륙과 문물 교류』 【예성항】 예성항(벽란도)은 고려시대의 국제적 무역항이었다. 이곳을 중심으로 송나라의 상선들은 고려의 중기·말기 무렵까지 빈번히 넘나들면서 대륙 문물과 남방 물화로써 고려와 교역하였으며, 때로는 대식(아라비아) 상인도 건너와 교역을 행하였다. 그 밖에 흑수(만주), 일본 등 여러 나라 상인도 적지 않게 출입하였다. 그리고 고려와 송의 양국 정부 사이에는 이른바 조공이라는 형식으로써 대규모의 공적 무역이 성행하여 주단, 잡화는 물론 서적, 약품, 악기(신악기)와 대성악 등 여러 가지 문물이 고려 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