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2편 중고(신라 통일기-고려)
  • 중고의 후기(고려조)
  • 제3장 고려 후기의 동란
  • 1. 내부의 동란

1. 내부의 동란

고려 후기는 제17대 인종 때부터 멸망에 이르기까지 약 260여 년 동안이니(국기 3456-3725년, 서기 1123-1392년) 밖으로는 몽고의 침략을 받고 안으로는 권신 무인의 전횡과 내란의 빈발로 말미암아 마침내 쇠망하게 되었다.

(가) 『이자겸의 변란』 예종 다음에 인종이 어려서 왕위에 오르자 외척 이자겸이 더욱 위세를 떨치기 시작하였다. 이자겸의 가문은 전부터 왕실의 외척으로서 세력을 누리어 왔다. 이자겸의 할아버지 이자연의 장녀가 문종의 비가 되어 순종, 선종, 숙종 등을 낳았으며, 그 뒤 역대의 왕후도 많이 그의 가문에서 나오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자겸의 제2녀가 예종의 비가 되어 인종을 낳았을 뿐 아니라, 그의 제3녀와 제4녀 또한 앞뒤로 인종의 비가 되었다.

이에서 외척 전권의 화가 일어나게 되었으니 이자겸은 상서령으로서 정권을 거머쥐고 조정을 흔들었다. 왕족 중신을 비롯하여 조정 백관 가운데에 자기에게 아첨하고 붙지 아니한 자는 여러 가지 수단으로 제거하고 그의 족당과 부하를 국가의 요직에 배치하였다. 그의 일족들은 사치를 마음껏 하며 약한 사람의 전토를 강탈하고 노복을 놓아 노상에서 백성의 거마를 약탈하는 등 포학이 심하였다. 그리하여 뇌물은 공공연하게 행하고 정치가 어지러워 인심이 자못 소란하였다.

이자겸의 행동이 갈수록 난폭하고 참담한 뜻까지 품게 되자 인종도 크게 그를 꺼려 비밀히 제거하려고 꾀하였다. 그러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도리어 이자겸이 군사를 끌고 궁성에 들어와 궁궐을 불태운 다음에 인종을 사제로 옮겨놓고 독살까지 하려 하였다. 이윽고 장군 척준경이 왕의 밀지를 받고 일어나 병력으로써 이자겸과 그의 당류를 붙들어서 먼 곳으로 귀양 보내버렸다. 이 변란으로 말미암아 왕권은 더욱 떨치지 못하였으며 궁궐도 불에 타 황량하게 되었다.

(나) 『묘청과 대위국』 인종 때에 승 묘청이 서경(평양)을 근거로 반란을 일으켰는데, 여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었다. 평양은 본래 정치적 도시로 또는 문화적 도시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곳으로서 풍수지리설에서도 가장 유명한 곳이다. 그러므로 고려 태조는 평양을 가리켜 『우리나라 지맥의 근본이요. 대업 만대의 땅이라』하고 서경이라 이름하고 늘 평양에 순주한 이래로 고려의 역대 제왕은 그 예를 따라 자주 순주하였다.

그런데 당시의 수도인 개성은 이자겸의 변란으로 말미암아 도성이 황량하게 되고 인심이 해이하였으며 기강이 또한 어지러워졌다. 그리고 대외적으로는 어제까지 우리나라를 『부모의 나라』라고 우러러 보던 여진족이 금나라를 세워 도리어 우리에게 압력을 가하고 있었고 사상적으로는 풍수지리설이 성행하여 크게 인심을 현혹하였다. 그러므로 국론 가운데에는 정치를 새롭게 하여 칭제 건원 즉 왕호를 버리고 황제라 일컬으며 연호를 쓰자는 의견이 있었고 풍수가 사이에는 상경 즉 개성은 지덕이 쇠하여졌다는 설이 성행하였다.

이에 평양 승 묘청과 일자(천문 역수 등을 맡은 벼슬아치) 백수한이 근신인 정지상, 김안 등과 자주 『칭제 건원』을 인종께 건의하는 한편에 『상경은 이미 지덕이 쇠하여 궁궐도 불타고 말았으니 도읍을 지덕이 왕성한 서경으로 옮기면 왕업이 연장되고 금나라는 물론이요 36국이 조공하리라』는 말로 인종을 움직여 천도 운동을 하였다. 그리하여 인종도 어느 정도까지 이 말에 귀를 기울였으나 이에 대하여 유신인 김부식, 임원애, 이지저 등은 묘청 일파의 설이 황당하고 국제 정세가 불리하다는 이유로 맹렬히 반대 운동을 일으켰다.

묘청 등은 드디어 인종 곁에 있는 유신들을 거저 두고는 서경 천도가 불가능하다 생각하고 인종 13년(국기 3468년, 서기 1135년) 정월에 반란을 일으켜 서경을 근거로 국호를 『대위』라 하고 연호를 『천개』라 하며 그의 군대를 『천견충의군』이라 일컬었다. 이에 김부식 등이 관군을 이끌고 나아가 서경을 에워쌌으나 성을 지키는 군사들의 저항이 또한 완강하였다. 그리하여 서로 싸우기 1년 만에 관군은 겨우 서경 즉 평양성을 뺏어 그 난을 평정하였다.

(다) 『정중부의 난과 무인정치』 인종 때에 변란이 두 번이나 일어나 국세가 자못 기울어지고 기강이 크게 무너지고 의종 때에 이르러 마침내 문무의 충돌이 일어났다. 원래 고려는 초기부터 문무에 차별을 두어 문신을 우대하고 무신을 천시하는 경향이 있어 무인의 불평을 사던 터에 특히 의종은 사치와 놀기를 좋아하여 총신과 문인과 더불어 시 짓고 놀기를 일삼으니 국정은 더욱 황폐하였다.

당시 의종의 총애를 받고 있던 문신 무리는 심히 무인을 멸시하고 갖은 모욕을 가하였으며 그 위에 문신들은 의종과 같이 승지와 명찰로 몰려다니며 시를 읊조리고 술 마시는 일로 날을 보내었다. 그러나 그들을 호위하고 다니던 무신들은 기한을 이기지 못하였으며 그리고 일반 사졸의 생활은 극도로 군색하여 호구를 못할 형편이었다. 이에 격분한 무인 가운데에 장군 정중부, 이의방 등은 의종이 보현원에 거둥함을 기회로 병졸을 이끌고 엄습하여 왕의 총신과 문신을 모조리 무찌르고 도성에 사는 문인들까지 일망타진을 시킨 뒤에 의종을 거제도로 내쳤다. 그 뒤 의종은 장군 이의민에게 경주에서 시해되었다. 이는 의종 24년(국기 3503년, 서기 1170년)의 일이다.

정중부 등은 의종의 아우 명종을 세우고 정권을 거머쥐었으니 이로부터 무인의 무단정치가 시작되었다. 이 난은 그 원인이 다만 의종의 실정과 당시 문신들의 실태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고려의 초기부터 흘러 내려온 문무 차별의 일대 반동으로서 현종 때에도 무인들이 단결하여 조정에 항거한 일이 있었다.

이에 정부 무인의 독무대가 되어 중방 【중방은 고급 장관의 회의소로서 전부터 있었음】 을 중심으로 무단정치를 행하였다. 그러나 정중부 일파의 횡포는 날로 심하여 각지에서는 백성의 동란이 뒤를 이어 일어났다. 이에 같은 무사 가운데에서 경대승이 분개하여 명종 9년에 정중부 일당을 무찔러 얼마동안 화란을 막더니 경대승이 죽자 정중부의 당류인 이의민이 또 들어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여 그의 포학함이 정중부와 다르지 않았다. 명종 26년에 이르러 장군 최충헌이 마침내 이의민을 죽이고 정권을 거머쥐니 이로부터 최씨 가문의 전권 시대가 열렸다.

정중부 이후로 정권 쟁탈이 무인과 무인 사이에 되풀이되다가 최충헌에 이르러 비로소 무인 정치의 기초가 안정되었다. 최충헌은 무인이나 자못 지략이 있어 법을 밝혀 위엄을 세우며 조정의 옛 신하와 숙장(宿將)을 차례로 몰아내고 그의 당류로써 채우며 정중부 이래로 구석참을 대고 있던 문인들을 차차 한직에 등용하여 인심을 거두었다.

【도방(都房)】 그리고 최충헌은 도방이라는 것을 두어 사병을 양성하여 자기를 번갈아 호위하게 하였으니 당시 최씨의 사병은 잔약한 관군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이와 같이 최충헌은 실력을 배경으로 하여 국가의 대권을 수중에 넣으니 왕실은 더욱 쇠미하여 국왕의 폐위도 충헌의 마음대로 행하였다. (최충헌은 그의 일생에 4왕을 세우고 2왕을 폐척하였음) 그리고 정치에는 무단이 많고 뇌물과 매관을 공공연히 행하여 백성에게 끼친 그의 해독이 자못 컸었다.

그의 세력과 지위는 다시 최우(최충헌의 아들이니 뒤에 이름을 최이로 고쳤음), 최항(최충헌의 손자), 최의(최충헌의 증손자) 등에게 세습적으로 전수되어 국정을 천단하였다. 특히 최우가 정권을 잡을 때에 몽고의 침구가 시작되었으므로 최우는 도읍을 강화로 옮기고 굳세게 항전하여 최의에 이르기까지 30여 년 동안 계속하였다.

제23대 고종 45년에 최의는 마침내 유경, 김준, 임연 등에게 피살되어 최씨 가문의 60여 년(국기 3529-3591년, 서기 1196-1258년)에 걸친 무단정치는 이로써 끝을 맺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