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2편 중고(신라 통일기-고려)
  • 중고의 후기(고려조)
  • 제4장 고려의 쇠퇴
  • 2. 홍두적과 왜구

2. 홍두적과 왜구

(가) 『홍두적』이웃 원나라의 동란의 여파는 고려에까지 넘쳐들게 되었다. 북부 중국에서 횡행하던 홍두적은 원나라 군사에게 몰려 공민왕 8년 경에 수만 명이 떼를 지어 고려로 넘어와 의주, 정주, 인주 등을 공략하고 다시 평양을 공격하여 함락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안우, 이방실 등의 공격을 견디지 못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숨어서 살게 되었다. 그 뒤 공민왕 10년에 이르러 십여 만의 홍두적이 압록강의 결빙을 타 대거 쳐들어왔다. 안우, 정세운이 안주와 악령(자비령) 등지에서 요격하다가 실패하자 적은 송경을 향하여 들어왔다. 왕은 복주(안동)로 가서 난을 피하고 도성은 마침내 적의 손에 들어가고 말았다. 그때에 적은 몇 달 동안 개성을 근거로 잔학과 약탈을 자행하였다. 우리 측에서는 정세운, 안우, 이방실 등이 적을 크게 쳐부수어 도성을 회복하였으나 궁궐과 여염이 병화에 걸려 매우 쓸쓸한 광경을 이루었다.

(나) 『왜구』 일본의 문물은 고대로부터 우리나라에서 흘러 들어갔으나 일본 사람이 대륙 문물을 가져가는 데에는 대개 두 가지 방법이 있었다. 하나는 외교수단 또는 무역수단에 의한 것이며 다른 한 가지는 약탈수단에 의한 것이다. 그리하여 약탈 행동을 하는 일본의 해적을 왜구라고 부르는 것이다.

왜구는 원래 삼국시대부터 나타난 것으로서 신라의 변경을 항시 침노하였다. 고려조에 들어와서는 고종 10년경부터(국기 3556년, 서기 1223년) 왜구의 근심이 차차 늘어갔다. 고려와 몽고 연합군이 일본 정벌을 행한 다음에 일본의 대륙 교통이 전혀 봉쇄되었으므로 이로부터 왜구의 설쳐댐이 더욱 심하게 되었다. 특히 공민왕 때부터 제32대 우왕 때에 걸쳐 한층 피해를 입었으니 대개 왜구는 근해에 출몰하다가 방비가 소홀한 틈을 엿보아 불의에 상륙하여 약탈을 감행하므로 그를 방어하기가 여간 곤란하지 아니 하였다.

그리하여 경상, 전라, 충청, 경기의 연안 지방은 물론이요, 강화·교동·승천부와 같이 송경과 가까운 지방에까지 자주 침해를 입었다. 그들은 지나는 곳마다 재화, 곡물을 쓸어갈 뿐만 아니라 부녀자와 어린 아이를 도륙하는 잔인한 짓을 감행하였으므로 연안 일대에는 인가가 끊어져 황량하게 되었다.

이에 대하여 최영, 이성계 등이 용감하게 싸워 많은 전투를 거듭하여 차차 제압하더니 우왕 6년(국기 3714년, 서기 1381년)에 양광(경기)·전라·경상 3도의 도순찰사 이성계가 당시 함양·운봉 등지에 근거지를 둔 왜구의 대부대를 황산(운봉) 서북편에서 섬멸하였으며 【왜구 격파에 화포를 썼음】 우왕 9년에 정지가 전선 47척을 인솔하고 왜구의 주력 선단(120척)을 관음포(남해)에서 포착하여 화포를 써 크게 격멸한 뒤로는 왜구의 세력이 쇠퇴하게 되었다. 고려에서는 다시 한걸음 나아가 수군을 확장해서 왜구의 소굴을 엎어버리자는 의견이 일어나 제33대 창왕 원년(국기 3722년, 서기 1389년)에 박위가 백 여 척의 병선을 이끌고 대마도까지 진격하여 공격한 일이 있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