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2편 중고(신라 통일기-고려)
  • 중고의 후기(고려조)
  • 제7장 고려의 사회와 문화
  • 2. 종교와 사상

2. 종교와 사상

(가) 『무풍과 불교』【무당】 무당은 고유한 민간신앙에서 그의 원류(무당, 불교, 소군)를 받은 것으로서 무풍은 민중 사이에 널리 행하여졌다. 【불교】 불교는 신라의 뒤를 이어받아 국초부터 왕성하였다. 【소군】 그리하여 위로는 왕족으로부터(왕자로서 출가한 자를 소군이라 함) 아래로는 서민에 이르기까지 출가하는 자가 많았으며 사우, 당탑(堂塔)의 건축과 불상, 범종의 주조 등에 의해 불교 예술이 발전되었고 불교의 호국 사상과 교리의 전파·보급을 꾀하는 데에서 대장경의 조판도 여러 번 있었다. 그리고 사원은 교육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승적에 몸을 숨겨 놀고 먹는 무리가 해마다 늘어가고 사원은 토지와 노예를 소유하여 큰 세력을 누리고 있었다. 기타 불사와 부처 공양에 많은 재력을 허비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국력 피폐의 큰 원인이었다.

불교가 이같이 성행하자 신에 대한 관념에도 변화가 생겼다. 【서경 임원궁성의 팔성당(八聖堂)에 호국 백두악(護國白頭嶽), 태백선인(太白仙人), 실덕(實德), 문수사(文殊師), 이보살구려평양선인실덕연등불(利菩薩駒麗平壤仙人實德燃燈佛) 등 8성이 봉사되었음】 재래신과 불교 신은 원래 표리가 상응하는 것이라는 사상에서 재래신에 불교식 이름을 붙이기도 하였다. 고려의 두 가지 큰 국가적 성전인 연등회와 팔관회도 불교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이다. 【연등회】 연등은 본래 음귀를 물리치고 복과 광명을 기원하는 재래 종교적 습속에서 흘러나온 것으로서 대개 2월 15일에(처음에는 정월 15일에 행하였으나) 왕궁과 국도로부터 시골 고을에 이르기까지 성행하였다. 【팔관회】 팔관회는 천신과 산천 신령을 제사하는 것으로서 중동 즉 12월 15일에 궁중을 중심으로 행하는 대성전이었다. 팔관회는 연등회와 같이 모두 신라의 유풍이었으며 의식과 명칭 및 관념은 불교적 색채가 가미된 것이다. 특히 팔관회는 10월 제천의 옛 원류를 받은 것이니 서경(평양)에서는 맹동 즉 10월에 행한 것으로도 알 수 있는 바이다.

(나) 『풍수 사상』 신라 말의 승 도선으로부터 퍼지기 시작한 풍수지리설은 초기부터 인심을 크게 지배하여 국도, 택지, 묘지 등에 명당설이 성행하였다. 고려의 남경(지금의 경성) 설치와 묘청의 반란이 가장 두드러진 예이며 또 산천을 비보함으로써 나라의 운명을 연장하게 한다는 사상에서 산천 비보 도감이라는 기관도 생겼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