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2편 중고(신라 통일기-고려)
  • 중고의 후기(고려조)
  • 제7장 고려의 사회와 문화
  • 5. 조판·활자와 기타 창안

5. 조판·활자와 기타 창안

(가) 『조판과 활자』 고려의 문화 가운데에서도 출판문화는 실로 번창하였다. 두 세 차례에 걸쳐 대장경판을 새겼고 인쇄술의 극치인 금속활자를 최초로 창안하여 실제로 사용하였다. 불경의 조판은 이미 부분적으로 행하였으나 대장경판은 현종 때에 거란의 침입을 계기로 불력의 가호를 얻으려는 염원 아래에서 【대장경의 초각(初刻)】 현종 12년부터 60여 년의 공을 쌓아 약 6천권의 대장경판이 완성되었다. 이것이 고려 대장경판의 초각이다. 【의천의 속장경】 그 뒤에 대각국사가 다시 송나라와 요나라 그리고 일본에까지 손을 뻗쳐 불전의 주석서를 모아들여 속대장경 4천 7백여 권을 조판 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한역대장경의 집대성이 이루어졌으며 세계문화사에서 큰 광휘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이 경판의 대부분은 고종 때에 이르러 몽고의 병화에 걸려 소실되고 말았다. 【대장경의 재각(再刻)】 이에 다시 외적 항복과 국가 안태를 기원하는 정신에서 고종 23년부터 다시 조판을 시작하여 16년의 공을 쌓아 6천 5백여 권 17만여 면의 대장경판을 완성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고려판 대장경으로서 세계의 가장 오래되었으면서도 최대 최선의 경판이다. 지금까지 해인사에 보관되어 있다. 그밖에 고려시대를 중심으로 의서(신집어의촬요방), 사적(십이국사), 문집(동파문집) 등의 조판이 각지에서 자못 성행하였다.

【주자(금속활자)】 고려의 인쇄문화는 마침내 금속활자를 창안하여 실용하기에 이르렀다. 고종 21년에(국기 3567년, 서기 1234년) 주자로써(금속활자) 상정예문 50권을 반포하였다. 이것이 세계 역사상 금속활자 사용의 시초이다. 이로부터 고려의 활자 인쇄가 점점 성하여 말기에는 주자 인서를 맡은 기관으로 서적원까지 두었다. 그것이 다시 조선조에 내려와 더욱 정미하게 발달되었다.

(나) 『화기와 목면』 고려 말에 왜구의 침학이 심하여지자 여러 가지로 그 복멸책을 강구하게 되었다. 그때에 최무선이 왜구를 소탕하는 데에는 화약과 같은 무기가 필요하다 생각하여 원나라의 염초장을 달래어 화약의 제조법을 대강 물어본 다음에 연구를 거듭하여 마침내 화약 제조를 완성하게 되었다. 그는 우왕 3년에(국기 3710년, 서기 1377년) 조정에 건의하여 화통도감을 세워 화포, 화통, 화전, 유화, 주화, 촉천화 등 참신한 화기를 많이 만들어서 왜구 소탕에 큰 효과를 거두었다.

목면은 공민왕 때에 문익점이 사신으로서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올 때에 목면실 10여 개를 가지고와 그의 장인인 정천익에게 주어 재배하게 하였더니 얼마 되지 않아 목면의 재배는 마침내 전국에 퍼지게 되었다. 정천익은 다시 『씨아씨』와『물레』를 창안하여 비로소 면화로써 무명을 짜내게 되었다. 이로부터 우리 의류 방면과 경제계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