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3편 근세 (이씨 조선)
  • 근세의 전기(국기 3725-3900년, 태조-명종 말)
  • 제1장 초기의 정치와 문화
  • 3. 세종대왕과 그 위업

3. 세종대왕과 그 위업

태종의 아들로 그 왕위를 전수한 분이 곧 제4대 세종대왕이다. 대왕은 우리 역사상에서 뿐만 아니라 온 세계인류사상에 드물게 보는 위인이었다.

【대왕의 성품과 행실】 천성이 어질고 부지런하고 학문을 좋아하고 취미와 재예가 다방면에 걸쳐 뛰어났다. 그리하여 그의 일상생활은 -정사를 보살피는 여가에 독서와 사색에 잠겨 머리 쓰기를 쉬지 않았으나 쓸데없는 일은 생각하지 않았다. 또 대왕은 의지가 굳어서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일은 어떠한 반대가 있더라도 기어코 실행하였다. 대왕은 널리 민족을 사랑하고 특히 국민의 힘든 생활에 깊은 동정을 가져 백성을 본위로 한 왕도의 다스림, 사랑하고 긍휼이 여기는 다스림을 하였지만 자신이 항상 깊은 궁궐에 처하여 백성들의 간고를 잘 알지 못함을 탄식하였다. 그리하여 일생 동안에 여러 가지 유익하고 빛난 사업을 이루어 길이 후세에까지 그 복음을 내려주셨다.

【대왕의 사업】 훈민정음이란 우리의 문자를 제정하였는데 (25년에 제정하여 28년에 반포함) 약간의 완고한 신하들의 반대를 물리치고 실행에 힘쓰심과 같은 것은 참으로 놀랍고 고마운 일이었다. 【훈민정음】 더욱이 그 동기가 이때껏 우리의 글이 없음과 지식 계급에서 쓰는 한문은 일반 민중에게 널리 쓰이지 아니하는 까닭에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글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나온 것이다. 그 얼마나 거룩하고 어진 생각이었는가, 문자의 발명 그것보다도 그 민족을 사랑하고 민중을 애달프게 여기신 그 마음이 거룩한 것이었다. 이 국문 제작에는 물론 대왕의 창의가 많이 가해졌지만 또한 대왕의 수족이라 할 만한 집현전 학사 특히 성삼문, 최항, 신숙주 등의 도움도 많았다.

【집현전과 편찬】 집현전은 궁궐 안에 둔 일종의 학문 연구소로서 국내의 우수한 학자들을 모아 날마다 함께 학문을 토론하며 또 여러 가지 유익한 서적을 편찬하였다. 그 중에서 고려사·농사직설·오례의·팔도지리지·삼강행실·치평요람·용비어천가·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 및 의방유취와 같은 책들은 더욱 저명한 것이었다. 대왕은 신하를 부릴 때 그 재주와 바탕에 따라 적당한 자리에 적당한 사람을 써서 일을 맡겼다. 예를 들면 정총 등은 천문을 연구하게 하고, 장영실은 크고 작은 시계를 만들게 하고, 박연은 음악을 정리하게 하고, 성삼문·신숙주 등은 어학과 음운 등을 연구하게 하였다. 박연이 정리한 음악은 즉 동양의 가장 오래된 음악인 아악으로서 오늘날까지 그 연주가 창덕궁 아악부에 의하여 전하고 있다.

【측우기】 대왕의 업적 중에 또 한 가지 독창적 발명품은 즉 24년(국기 3775년, 서기 1442년)에 동으로 측우기를 만들어 중앙과 각 지방의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게 한 것이다. 측우기의 발명은 서양보다 2백여 년 앞서 있다.

불교에 대하여는 초년에 역시 억압책을 써서 여러 종파를 선·교 양종으로 통합하고 사찰을 많이 줄이더니 【내불당과 불서 번역】 만년에는 호불의 군주로 화하여 모든 유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궐 안에 내불당을 만들고 혹은 불서를 번역하여 그 방면의 문화에도 큰 업적을 남기었다. 각종 서적을 만드는 한편 활자와 인쇄술도 여러 차례 개량하여 전날보다 한층 진보하였다.

대왕은 내치뿐만 아니라 외치도 빛나는 공적을 남기었지만 이에 관하여는 뒤에서 말하겠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