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3편 근세 (이씨 조선)
  • 근세의 전기(국기 3725-3900년, 태조-명종 말)
  • 제3장 사화와 사상계의 동향

제3장 사화와 사상계의 동향

【어용학파, 사림파, 절의파, 청담파】 국초 이래 역대의 임금이 문치에 힘을 쓰고 유학을 장려한 까닭에 유자와 문인들이 무리로 쏟아져 나왔다. 세조, 성종 때에 그들 중 실학을 주로 한 어용학자파와 문장 경학을 주로 한 사림파(김종직 등)와 절의를 주로 한 절의파(김시습 등)와 시와 술로 벗하여 세상을 흘겨보는 청담파(남효온 등)가 있었다. 이 네 파 가운데 가장 반목이 심한 것은 어용학자파와 사림파이다. 어용학자파는 대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세족이 많이 있고, 사림파는 대개 영남의 유학자 김종직을 중심으로 하여 문인들이 많이 모였다. 이 사림파가 서울에 와서 벼슬하기는 성종 때부터인데 그 파의 중심 인물인 김종직은 성종의 비상한 사랑을 받아 그 문인들까지도 벼슬자리에 많이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 사림파 중에는 날카로운 신진이 많아 매양 어용학자파를 깨끗한 사람으로 보지 않았고 이와 반대로 어용학자파는 그들을 경박한 무리라 하여 귀엽게 보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사림파의 사관으로서 즉 김종직 문인의 김일손 등은 세조의 불의한 짓과 어용학자 중의 아름답지 못한 행실을 국사에 올린 일이 있었다. 【무오사화】 10대 연산군 때에 이르러 이것이 발각되자 어용학자파 중에 가장 사림파의 미움을 받은 이극돈·유자광 등은 이를 좋은 기회로 여겨 본래 문인을 싫어하는 연산군을 격분시켜 김일손 등 사림파의 거의 전부를 죄인으로 몰거나 혹은 죽이고 혹은 귀양을 보냈다. 이 사건이 있기 전에 이미 죽은 김종직 같은 이는 그 무덤을 파고 시체를 베는 등 천양(泉壤)의 화를 당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무오사화라 하는 것이니, 무오는 곧 연산군 4년에 해당한다. 사필(史筆)로 말미암은 사림의 화인 까닭에 역사가는 이를 특히 사화(史禍)라 이른다.

【갑자사화】 연산군 10년(갑자년)에도 큰 사화가 있었으니 그 원인은 연산군이 어머니인 윤씨가 연산이 어릴 때에 투기를 하다가 궁을 쫓겨나 억울하게 죽은 것을 이때에 알고 그 일에 관계한 사람은 물론이요, 앞서 사화에 관계된 사람까지도 함께 몰아 죽이니 이를 갑자사화라 한다.

【연산군의 실정】 연산군은 원래 방탕하여 학문을 싫어하고 놀이를 좋아하며 자기가 하고 싶은 대로 하려 하였다. 심지어 성균관(지금의 경학원)을 연회와 오락의 장소로 또는 장의사(세검정의 북쪽)와 대원각사(탑골공원)를 기생들과 노는 장소로 하는 등 대담한 짓을 하였다.

【중종반정】 이렇게 모든 정치를 어지러이 하다가 그는 마침내 신하들에게 쫓겨나게 되고 대신 그 아우가 들어서서 임금이 되니, 이 분이 곧 중종이다. 중종은 연산의 나쁜 정치를 바로잡는 한편 조광조와 같은 젊은 유학자들을 등용했다. 【조광조 등의 이상 정치】 조광조 등은 처음에는 중종의 사랑을 받아 그들이 마음먹은 순연한 유자의 정치를 실현하고자 하여 종래의 제도와 법속 중에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을 차례로 개혁하려 하였다. 그들의 변법주의적 이론과 시설에는 자못 볼만한 점도 있었다. 특히 좋은 풍습과 아름다운 풍속을 기르기 위하여 미신 타파와 향약(권선징악과 상호 부조의 정신을 주로 한 향촌의 규약) 실시를 주장하고 혹은 민중의 정신생활과 물질생활에 유익한 여러 가지 서적을 번역하고 인쇄하여 널리 보급하는 등-여러 가지 사회 교화 운동 같은 것이 그것이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더러 현실을 무시하는 일도 있고 그 수단이 너무 과격하고 급진적인 것도 있었으며 또 자기들과 뜻이 서로 맞지 않는 다른 문신을 소인이라 지목하여 그들과의 사이에 알력과 반목이 일어났었다. 이것은 장차 그들의 치명상을 받게 될 근원이었다. 【기묘사화】 중종 14년(기묘년)에 조광조 일파는 마침내 반대파인 남곤, 심정 등에게 몰리어 억울한 죽음과 찬출을 당하고 말았다. 역사가는 이를 기묘사화라 이르고 그 사화에 걸린 일파를 기묘명현이라 한다.

중종의 뒤는 인종이 이어 서고 인종의 뒤는 그 이복동생인 명종이 이어 섰다. 명종의 나이가 어리므로 그 생모인 문정왕후 윤씨가 후견 정치를 하게 되었는데 이때에 왕의 외척들 사이에 반목과 암투가 생겼다. 즉 명종의 외숙인 윤원형과 인종의 외숙인 윤임과의 싸움이었다. 즉 전자를 소윤, 후자를 대윤이라 지칭하였는데 소윤을 중심으로 한 일파는 권세를 빌어 대윤을 비롯하여 그들이 미워하는 사류를 죄로 몰아 역시 참혹한 화에 빠뜨렸다. 【을사사화】 이때는 명종 즉위 초인 을사이므로 역사가는 또한 이를 을사사화라 한다.

【사화 후 사상계의 동향】 여러 차례의 사화로 인해 특히 기묘사화 이후로 사류들의 기운이 매우 떨어져 그들은 정계를 등지고 산림(전원)을 유일한 낙원으로 삼아 오로지 학문에만 힘쓰는 ─ 말하자면 정치와 학문을 둘로 나누는 경향이 생기게 되었다. 선유가 살았던 옛 터전에 서원이란 것을 세워 그들의 강학과 집회소로 삼는 풍습이 일어나기 시작하였고 그들의 학문 경향도 사색과 이론에 기울어져 고상한 철리 연구(성리 연구)를 주안으로 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이 방면의 대가를 많이 배출하였으니 화담 서경덕,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 남명 조식, 하서 김인후, 고봉 기대승, 율곡 이이와 같은 명유들이 그들이다. 【이황과 이이】 이 중에도 이황과 이이는 그 학문과 인격으로 보아 동방의 전형적 유학자였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편벽되어 주자학을 철칙으로 삼아 이와 반대되는 다른 학문에 대하여는 관용성을 가지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반도의 학계를 주자학으로 단일화하여 다채롭고 다양한 빛을 발하지 못하게 하였으니, 이는 매우 유감된 점이었다.

【불교계】 이때 불교계는 성종·연산·중종의 배척과 압박에 퇴축되어 인간 사회와 격리된 느낌이 있었으나, 사원은 원래 기도와 신앙의 대본산인 만큼 궁정 및 민중 특히 부녀자들과 항상 관계를 맺고 있었다. 명종의 모후 문정왕후가 섭정하였을 때에 불교를 숭상하여 보우라는 승려를 우대하자 불교계는 갑자기 활기를 띠어 확장의 형세를 보였다. 즉 광주에 있는 봉은사를 선종, 양주에 있는 봉선사를 교종으로 하고 승과의 시험제도를 다시 설치하고 8도의 절을 일시 혁신하였다. 그러나 이때 유신과 태학생들 사이에서 불교 반대, 보우 배척의 맹렬한 운동이 일어나 문정왕후의 죽음과 동시에 보우는 제주로 귀양 가 죽고 승과도 폐지하여 불교는 다시 일어날듯 하다가 주저앉고 말았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