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국사교본
  • 제3편 근세 (이씨 조선)
  • 근세의 후기(국기 4058-4243년, 영조 원년-순종 말)
  • 제1장 영조·정조 시대의 문운(文運)
  • 3. 영조·정조 시대의 학예

3. 영조·정조 시대의 학예

【학풍(學風)】 영조·정조 시대의 학계를 개관하면 아직도 순연히 공리공담의 편파한 이학을 되풀이하는 파가 있었지만 일부 학자 간에는 안으로 이익 일파의 학풍과 밖으로 청나라의 고증학의 영향을 입어 실용실사를 주로 하고 박학 다문을 기치로 하는 학풍이 일어나 단조로운 반도 학계의 적막을 깨친 일이 있었다.

여암 신경준·보만재 서명응·이계 홍양호·담헌 홍대용·연암 박지원·아정 이덕무·혜풍 유득공·초정 박제가·연경재 성해응·석전 신작·다산 정약용 등은 이때 새로운 학풍의 거장이었다. 그 중 서명응·홍양호·홍대용·박지원·박제가·이덕무·유득공 등은 북경에 봉사 혹은 수행원으로 가서 청조의 문물을 구경하고 당시 청조의 명사들과 교유하여 그 견문을 넓히고 청조 문화의 극성(極盛)을 흠모하였다.

【북학론파(北學論派)】 그리하여 박제가는 북으로 청조의 물질문화를 배워야 하겠다는 취지 아래 「북학의」란 책을 저술하기까지 하였다. 박지원도 역시 이 북학파의 거두로 「연행일기」란 책을 지었는데 특히 그의 문장은 고금 문체를 융합하여 스스로 독특한 새로운 경계를 개척하였다. 이덕무·박제가·유득공은 시인으로도 유명하여 강산 이서구와 함께 4가로 일컬어졌으며 그들의 시문은 당시 청나라 사람의 격찬을 받기까지 하였다. 성해응·신작·정약용 세 사람은 북경에 발을 디딘 일은 없었지만 항상 새로 전래된 서적을 보아 깊이 청조 고증학의 영향을 입어 훌륭한 저서를 남겼다. 성해응·정약용의 저술은 방대하고 다방면적인데 그 중에서도 정약용의 것이 더욱 그러하다.

【김정희(金正喜)】 이상 여러 대가보다는 후배이지만 청조 고증학의 영향을 가장 농후하게 또 가장 직접적으로 받은 사람은 김정희(추사 혹은 완당)이었다. 그는 24세(순조 9년)에 사행을 따라 북경에 가서 청조의 대가인 옹방강·완원 등과 교유하여 일찍부터 시야를 넓혔고 비범한 재질로 그 후 꾸준히 연마하여 경학과 금석학에 새 권위를 세워 더욱 서가로 이름을 높이 날렸다. 그의 글씨는 고금 서법의 진수를 얻어가지고 스스로 독특한 서체를 빚어내었으니 반도의 서도 역사상 굉장한 기관을 이루었다. 나는 이 김정희의 글자를 위에 말한 연암 박지원의 문장과 동시대의 화가로 독보적인 칭호로 불리는 단원 김홍도의 그림과 아울러 후기 예원의 세 봉우리라 하고 싶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