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우리나라의 생활
  • 넷째 가름 삼국의 흥망과 그 사회생활은 어떠하였는가?
  • 셋째 조각 삼국의 사회생활은 어떠하였는가?
  • ⑥ 미술과 공예는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⑥ 미술과 공예는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삼국은 유교와 불교를 통하여 중국, 인도의 미술 공예를 배워 여기에 우리 정신을 가하여 찬란한 민족 문화를 형성하였다.

먼저 그림을 보면 고구려 고분 벽화 중 강서 삼묘의 청룡·백호·주작·현무를 그린 사신도, 용강 쌍영총의 우차·무사 부인을 그린 풍속도, 집안현 무용총의 남녀가 춤추는 그림, 각저총의 역사가 씨름하는 그림은 모두 세계에 이름난 명화로서 고구려 사람의 정신과 풍속을 짐작할 수 있다. 공주와 부여에 있는 백제 왕릉의 벽화도 또한 이름난 것이다. 화가로는 고구려 영양왕 때의 중 담징, 백제 위덕왕의 아들 아좌 태자, 신라 진흥왕 때의 솔거가 가장 유명하다. 담징의 그림으로 법륭사 벽화, 아좌 태자의 그림으로 성덕 태자의 상이 지금도 일본에 남아 있어 일본의 국보로 되어 있다.

다음 건축으로는 백제의 임류각, 왕흥사, 신라의 황룡사와 그 9층탑이 가장 유명하나 지금 하나도 남아 있지 않고 오직 고구려 고분의 건축 양식과 부여의 백제탑, 경주의 첨성대·분황사탑 등이 남아 있어, 그 아담하고 치밀한 모양으로서 당시 건축술의 일단을 짐작할 수 있다.

조각은 불교가 성행함에 따라, 금부처·구리부처·돌부처 등 불상의 조각이 발달하여 그 아담하고 아름다운 모양과 곡선미는 지금도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오직 감탄하게 할 따름이다.

공예품으로는 평양, 부여, 경주 등지에서 발견된 여러 가지 무늬가 있는 기와와 벽돌 신라 고분 중에서 출토한 금관·금대·금귀거리·금은옥 목걸이·금은 팔고리·금반지·환도·안장 등 정교한 것이 많이 있어 당시의 귀족이 얼마나 호화로운 생활을 하였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음악은 고대로부터 가무를 좋아하고, 북·피리·퉁소·징·꽹과리·벅구[소고] 같은 대중적 악기도 있었다. 고구려의 왕산악은 현금[거문고]을, 가야국[고령]의 우륵은 가야금을 만들고, 신라의 백결선생은 대악이라 하는 방아 소리의 곡조를 지어 음악사상 불후의 공적을 남겼다. 가야금은 지금도 우리나라 악기의 왕좌를 차지하고 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