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우리나라의 생활
  • 일곱째 가름 근세조선과 그 사회생활은 어떠하였는가?
  • 둘째 조각 유교가 진흥한 까닭은 무엇이며 사화는 어떻게 일어났는가?
  • ① 유교와 불교에 대한 국가의 정책은 어떠하였는가?

① 유교와 불교에 대한 국가의 정책은 어떠하였는가?

태조는 오랫동안 고려조에서 벼슬하였으므로 불교의 부패상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 즉위 처음부터 이의 혁신에 착수하는 반면에 그 사상의 전환을 유교에서 구하기로 하였다.

태조는 도첩의 제도를 정하여 승려가 되려는 자는 먼저 관청의 허가를 필요로 하고 그 허가를 받을 때 일정한 세를 바치게 하여 되도록 승려의 수를 제한하였다. 또 새로 사찰의 조성을 금하였고 이미 승려가 된 자일지라도 그 자격이 없는 자는 환속시켰다.

태종은 한걸음 더 나아가서 중앙과 지방의 사찰을 크게 정리하여 종(宗)은 12, 절은 232에 제한하는 동시에 사찰 소속의 토지와 노비는 대부분 관에 몰수하였다. 다음 세종대왕은 이 방침을 한층 더 철저히 하여 12종을 선종·교종 둘로 줄이고 절은 겨우 36사의 본산에 감축시켰다.

유교는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가 오래였으나 그렇게 떨치지 못하였다가 고려 중기 이후부터 차차로 발전하여 오게 되었으며 유학의 일파인 주자학은 그 학설 안에 많이 배불사상이 포함되어 있었으므로 불교가 부패한 기회를 이용하여 주자학이 국가 사회에 보급되는 데는 좋은 구실과 조건을 얻게 되었다.

국초에 활약하고 또 중요 지휘를 차지하고 있는 사람들은 대개 유학자들이었다. 그들은 여러 번 벽불론을 올리고 유교의 장점을 칭찬하였고 또한 정책상으로도 필요하였기 때문에 배불 숭유로 전환한 것이었다.

배불 정책을 쓴 뒤에 불교가 곧 여지없이 쇠퇴한 것은 아니다. 오랫동안 침투되었던 신앙이 이로 인하여 쉽사리 식어질 리는 만무하였다. 그리하여 태조·세종·세조 등 역대 임금도 개인적으로는 깊이 불교를 믿어 사원의 창건, 불경의 간행 등 불교사상에 허다한 공적을 남겼던 것이었다.

그러나 국가의 방침이 한번 정하여진 이상 이 뒤에 비록 다소의 신축은 있을지언정 전일과 같은 융성은 보지 못하였으므로 명종 때에 승려 보우가 나서서 이의 부흥을 도모하려 하다가 실패하였다. 선조 때에 휴정과 유정 등의 활동으로 한동안 적잖이 떨치기는 하였으나 이 역시 길이 계속되지 못하였다. 이 뒤에는 완전히 정치적으로 혜택을 입지 못하고 오직 일반 민중의 시사를 상대로 겨우 명맥을 보전하여 왔다.

 [익힘]

1. 역대 임금은 무슨 까닭으로 배불 숭유 정책을 쓰게 되었는가?

2. 배불 숭유 정책이 국가 사회에 미친 이해관계를 살펴보라.

3. 배불 정책 후의 불교의 추이는 어떠하였는가?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