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미군정기 및 교수요목기
  • 우리나라의 생활
  • 여덟째 가름 최근세의 나라 사정과 그 사회생활은 어떠하였는가?
  • 여섯째 조각 최근세의 사회생활은 어떠하였는가?
  • ① 새 문명은 어떻게 수입하였으며 그 영향은 어떠하였는가?

① 새 문명은 어떻게 수입하였으며 그 영향은 어떠하였는가?

근세조선 중기 이후 청조의 문화와 함께 청조를 통하여 서양의 문물이 차차로 들어오고 다음으로 천주교의 전파에 따라 서양 문물의 수입이 적이 활발하였으므로 국민은 어느 정도 새 문명에 대한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뒤 천주교의 압박과 대원군의 쇄국정책 등으로 말미암아 표면적으로는 한동안 중단된 느낌을 준 때도 있었다.

역사의 조류는 쉬지 않고 흐르며 세계는 연방 조선을 불러내었으나 조선은 의연히 묵은 꿈을 깨지 못하였으므로 국민 가운데에 식견이 있는 몇몇 선비들은 이를 매우 근심하고 또 깊이 주의하여 그 포부와 경륜을 그들의 저술에 나타냈다. 최한기의 『명남루전집』, 이규경의 『오주연문』,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등이 대표적이다. 오경석·박규수·유대치·강위 등도 또한 국제 정세에 눈이 밝아 개국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그러다가 고종 12년 세계의 대세에 어찌 할 수 없어 일본과 강화도조약을 맺고 그 뒤 신사유람단으로 박정양 등 10여 명이 일본의 새 문물을 시찰하고 돌아왔다. 유대치의 제자 박영효·김옥균·홍영식·서광범 등은 일본을 본뜬 개화를 주장하고 개화당의 중요 간부가 되어 일본의 새 문물을 여러 방면으로 실어 왔다. 영선사 김윤식도 많은 청년을 데리고 청국에 가서 서양 기계에 관한 지식을 배워 왔다. 조선은 그 뒤 미국을 비롯하여 구미 각국과 수호 통상 조약을 맺었고, 이로부터 조선은 완전히 국제무대 위에 올라서게 되었다. 따라서 온갖 문물을 수입하여 국가 사회 전반에 걸쳐 크나 큰 영향을 주었다.

 [익힘]

1. 새 문물을 수입한 경로를 살펴보라.

2. 일찍부터 개국에 뜻을 가진 사람은 누구이며 그들은 무슨 일을 하였는가?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