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개화기 및 대한제국기
  • 동국사략 상
  • 동국사략 권2
  • 동국사략 권2 목록

동국사략 권2 목록

중고사(中古史)

 고려(高麗) 태조(太祖)의 창업과 성종(成宗)의 정치

    왕건(王建)이 즉위하여 국호(國號)를 고려라 하고 연호(年號)를 천수(天授)라 하다

    수도를 송악에 세우다

    건국의 기초가 대략 정해지다

    신라(新羅)가 항복하다

    후백제(後百濟)를 평정하다

    정계(政誡)와 백료계(百僚誡)

    훈요(訓要)

    혜종(惠宗) 이후 4대가 겨우 성업(成業)을 보존하다

    성종(成宗)의 여러 업적

    최승로(崔承老)의 상소

    서희(徐熙)가 할지론(割地論)을 배척하다

 강조(康兆)의 난과 거란[契丹] 관계

    모후의 섭정

   강조를 부르다

    강조가 목종(穆宗)을 시해하다

    거란이 낙타를 보내다

    거란 소손녕(蕭遜寧)이 쳐들어오다

    서경(西京) 이북을 거란에게 떼어주고자 하다

    거란이 강조에게 죄를 묻다

    현종(顯宗)이 남쪽으로 달아나다

    거란이 다시 쳐들어오다

    사신을 보내 화친을 청하다

    북쪽 경계에 관방을 설치하다

    문종(文宗)이 정치에 마음을 두다

    송(宋)나라와 50년간 단절하다

    거란이 국호를 요(遼)라 고치다

 여진(女眞)의 역(役)

    동여진(東女眞)과 서여진(西女眞)

    영가(盈歌)와 오아속(烏雅束)

    윤관(尹瓘)과 오연총(吳延寵)이 여진을 토벌하다

    북계(北界) 9성

    9성을 여진에게 돌려주다

    여진 아골타(阿骨打)가 즉위하다

    여진이 국호를 고쳐 금(金)이라 하다

    예종(睿宗)이 무를 그만두고 문을 정비하다

    송과 금이 함께 요를 멸하다

    예종이 송의 요구를 따르지 않다

 이자겸(李資謙)과 묘청(妙淸)의 변

    이자겸이 인종(仁宗)을 세우다

    김찬(金粲) 등이 이자겸을 제거하고자 하다

    이자겸이 왕을 자기 집으로 옮기다

    이자겸을 영광으로 유배하다

    척준경(拓俊京)을 유배하다

    음양 화복설(陰陽禍福說)

    묘청과 백수한(白壽翰)이 사람들을 현혹하다

    대화궁(大華宮)

    묘청이 서경을 거점으로 반란을 일으키다

    김부식(金富軾)이 서경을 정벌하다

    서경을 평정하다

    음양 화복설이 오히려 없어지지 않다

 정(鄭), 이(李)의 흉역(兇逆)

    정습명(鄭襲明)이 약을 먹고 죽다

    환관이 조정의 관리가 되는 것이 이때부터 시작되다

    정중부(鄭仲夫)가 난을 일으키다

    문신(文臣)의 관(冠)을 쓴 자는 모두 죽다

    김보당(金甫當)이 군사를 일으키다

    이의민(李義旼)이 의종(毅宗)을 죽이다

    경계(庚癸)의 난

    조위총(趙位寵)이 군사를 일으키다

    윤인첨(尹鱗瞻)이 조위총을 죽이다

    무신(武臣)을 동수국사(同修國史)로 삼다

    최충헌(崔忠獻)이 이의민을 죽이다

 최씨(崔氏)의 전권(專權)

    최충헌이 명종(明宗)을 유폐하다

    도방(都房)

   최충헌이 네 왕을 세우고 두 왕을 폐위하다

    몽고(蒙古)가 쳐들어오다

    최의(崔竩)를 죽이다

    몽고와 사이좋게 지내다

    김인준(金仁俊)을 임용하다

    김인준을 죽이다

    임연(林衍)이 폐립하다

    삼별초(三別抄)

 몽고의 침략과 일본(日本)의 역

    칭기즈 칸[成吉思汗]이 황제에 즉위하다

    금산(金山), 금시(金始) 두 왕자가 대요(大遼)라 칭하다

    두 왕자가 쳐들어오다

    몽고가 와서 돕다

    몽고와 강화하다

   몽고 사신이 금나라 사람에게 해를 당하다

    살리타[撒禮塔]가 쳐들어오다

    쌍성총관(雙城摠管)

    몽고 쿠빌라이[忽必烈]가 즉위하다

    몽고가 일본에 사신을 보냈으나 도착하지 못하고 돌아오다

    반부(潘阜)가 일본에 사신으로 가다

    몽고 국호를 원(元)으로 고치다

    흔도(忻都)와 홍다구(洪茶丘)가 일본을 공격하다

    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흔도와 홍다구 등이 일본을 다시 정벌하다

 원 황실의 전제(專制)

    동녕부(東寧府)

    고려 북부가 원의 소유가 되다

    합단(哈丹)이 쳐들어오다

    충렬왕(忠烈王)이 강화도로 피하다

    활리길사(闊里吉思)가 옛 풍속을 바꾸다

    충선왕(忠宣王)이 토번(吐蕃)에 유배되다

    충혜왕(忠惠王)이 게양현(揭陽縣)에 유배되어 죽다

    원의 정치가 어지러워 호걸이 사방에서 일어나다

    파사부(婆娑府)를 공격하다

    쌍성 총관부를 함락하다

    함주(咸州) 이북을 수복하다

    홍두군(紅頭軍)이 쳐들어오다

    공민왕(恭愍王)이 남행하다

    정세운(鄭世雲) 등이 홍적을 평정하다

    김용(金鏞)이 정세운을 죽이다

    김용을 죽이다

    원나라가 날로 쇠퇴하고 관계가 점차 멀어지다

 신씨(辛氏)의 흉역과 계위(繼位)

    편조(遍照)가 사부(師傅)가 되어 국정을 맡다

    편조가 이름을 고쳐 신돈(辛旽)이라 하다

    신돈을 죽이다

    공민왕이 시해되다

    이인임(李仁任)이 우왕(禑王)을 세우다

    우왕이 음란하고 방종한 행동을 멋대로 자행하다

    명(明)나라가 철령위(鐵嶺衛)를 세우다

    최영(崔瑩)을 유배하다

    우왕을 추방하다

   우왕을 옮기고 창왕(昌王)을 추방하다

 북원(北元)과 명(明)의 관계

    원 순종(順宗)이 북으로 도망하다

    명나라 태조가 황제로 즉위하다

    북원과 단절하다

    김의(金義)를 시켜 명 사신을 죽이다

    명나라가 세송(歲送)을 요구하다

    철령 이북의 강역 경계에 대해 분분하게 논의하다

    요동(遼東)을 공격하다

    우리 태조께서 회군하시다

    명나라가 철령위를 파하다

 왜구(倭寇)

    일본 무뢰배가 고려와 원의 해안을 침략하다

    김일(金逸) 등을 일본에 보내다

    후지 쓰네미쓰[藤經光]가 순천(順天)에 머물다

    정몽주를 일본에 보내다

    박위(朴葳)가 쓰시마 섬을 토벌하다

 고려의 멸망

    사직이 장차 없어지려 하다

    아홉 신하가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우다

    당파가 나뉘고 탄핵이 행해지다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세우다

    조영규(趙英珪)가 정몽주를 죽이다

    고려가 망하다

 제도(制度)

    관제(官制)

    6부

    원과 유사한 관제를 모두 고치다

    지방 정치(地方政治)

    향직(鄕職)

    병제(兵制)

    6위(六衛)

    중방(重房)

    도방(都房)

    6위는 인원이 줄고 도방은 더욱 성하다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

    주현군(主縣軍)

    수군(水軍)

    둔전(屯田)

    무학(武學)

    병기(兵器)

    석포(石砲)

    화포(火砲)

    목마(牧馬)

    형법(刑法)

    정몽주가 새로운 율을 편찬하다

    민사 소송

    전지(田地)의 종류

    공전(公田)

    사전(私田)

    전지(田地)의 등급

    미속(米粟, 쌀과 벼)의 계산법

    저울[衡]

    조세(租稅)

    일반 백성에게 거두는 조세

    공부(貢賦)

    요역(徭役)

    염세(鹽稅)

    임시 조세

    조세 감면

    녹봉(祿俸)

    전시과(田柴科)

    공음전시(公蔭田柴)

    녹봉

    국초 토지 결수

    공양왕 초 6도의 간전(墾田, 개간전) 수

    학제(學制)

    학교를 여러 주에 세우다

    섬학전(贍學錢)

    과거(科擧)

    흑책(黑冊)과 분홍(粉紅)

    관직의 제한

 종교[敎法]

    유학(儒學)

    12도(徒)

    노장학(老莊學)을 금하다

    성리학(性理學)이 처음으로 행해지다

    유학 저서

    석전(釋奠)

    불교(佛敎)

    선종(禪宗)의 시작

    천태종(天台宗)을 창시하다

    불교가 교종(敎宗)과 선종으로 나뉘다

    정주학(程朱學) 융성의 영향

    도교(道敎)

 문학(文學)과 기예(技藝)

    문학

    문학이 부쩍 일어나다

    문운(文運)의 일대 재앙

    역사(歷史)

    시문(詩文)

    서적의 인쇄 간행

    『대장경(大藏經)』 고려본

    활자 인쇄판

    천문 역상(天文曆象)

    역법(曆法)

    의술(醫術)

    의술이 송에서 전래하다

    음악(音樂)

    아악(雅樂)

    당악(唐樂)

    속악(俗樂)

    악기(樂器)

    서법(書法)

    도화(圖畫)

    건축(建築)

 산업(産業)

    농업(農業)

    간전제(墾田制)

    수차(水車)

    잠상(蠶桑)

    목면(木綿)

    상업(商業)

    화폐 연혁

    철전(鐵錢)을 사용하기 시작하다

    전화(錢貨)와 은병(銀甁)을 주조하다

    물가는 쌀을 기준으로 삼다

    외국 무역

 풍속(風俗)

    환관이 처음으로 권세를 누리다

    노비(奴婢)

    노예의 벼슬 참여가 시작되다

    노예의 가치

    노인을 존경하고 질병을 구휼하다

    계사법(繼嗣法)

    국왕의 배우자

    고모, 손아래 누이 등 근친이 왕후가 되다

    동성(同姓)의 혼인을 금하다

    국왕 외에 축첩하는 자가 적다

    관기(官妓)

    혼인 예폐

   제사가 대, 중, 소로 나뉘다

    천지와 사직에 제사하다

    왕의 상례

    상복(喪服)

    장례의 사치

    의복제

    변발(辮髮)로 원나라 풍속을 따르다

    조복(朝服)

    공복(公服)

    부인의 두발과 복식

       음식

    소와 말의 도살을 금하다

    가옥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