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개화기 및 대한제국기
  • 동국사략 상
  • 동국사략 권2
  • 중고사(中古史)
  • 여진(女眞)의 역(役)
  • 예종(睿宗)이 무를 그만두고 문을 정비하다

예종(睿宗)이 무를 그만두고 문을 정비하다

왕이 초기에는 영토를 개척하려고 하였으나 점차 군사를 쓰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무비(武備)를 그치고 문사(文事)를 닦았다. 고아와 노인을 구제하고 학교를 세우고 유신들과 육예(六藝)1)예(禮)⋅악(樂)⋅사(射)⋅어(御)⋅서(書)⋅수(數) 등 여섯 종류의 기술이다. 예는 예용(禮容), 악은 음악, 사는 궁술(弓術), 어는 마술(馬術), 서는 서도(書道), 수는 수학(數學)이다. 육예는 또한 육경(六經)을 가리키기도 한다. 육경, 즉 『시경』, 『서경』, 『예기』, 『악기』, 『역경』, 『춘추』는 유학자의 기초적 교양에 필요하였으므로 육예와 공통점이 있다 하여 역시 육예로 불렀던 것 같다.를 강론하여 깨끗하고 태평한 정치를 하였다. 이때에 송(宋)나라 휘종(徽宗) 조길(趙佶)이 왕에게 대성악(大晟樂)을 보내 왔으므로 왕이 이자량(李資諒)을 보내 사례하였다. 당시 금(金)나라의 영토가 고려(高麗)와 접하므로 휘종 조길이 이자량을 타일러 금나라 사람을 불러오라 하였다. 이자량이 금나라의 강성함과 교활함을 말하고 돌아갔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