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국사 교과서
  • 개화기 및 대한제국기
  • 동국사략 하
  • 동국사략 권4
  • 근세사(近世史) - 조선기(朝鮮記) 하
  • 문화(文化)와 당쟁(黨爭)
  • 노론(老論), 소론(少論)

노론(老論), 소론(少論)

서인(西人)이 남인(南人)을 대신한 후에 송시열(宋時烈)을 유배지에서 불러들이니 그 명망이 일세를 풍미하여 실로 국가의 큰 원로였다. 그 의논이 뭇사람에게 친근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으니, 젊은 무리 중에는 점점 다른 마음을 가지는 자가 있었다. 처음에 김익훈(金益勳)이 우의정(右議政) 김석주(金錫胄)의 뜻에 따라 김환(金煥)을 시켜 허새(許璽), 허영(許瑛)의 변을 고하게 하였는데, 그 일이 자못 의아하였다. 조지겸(趙持謙), 한태동(韓泰東) 등이 김익훈의 죄를 청하고 송시열은 김익훈을 변명하여 구원하니 조지겸, 한태동 등과 각을 세워 대립하였다. 이에 김석주가 조지겸과 한태동의 관직을 파하고, 또 오도일(吳道一)과 박태유(朴泰維)를 먼 곳으로 옮겼다. 이때 송시열은 벼슬에서 물러나 봉조하(奉朝賀)가 되고 태조(太祖)께 시호를 올릴 뜻을 왕께 말하니 박세채(朴世采)가 먼저 반대하였다. 무릇 박세채와 윤증(尹拯)은 처음에 송시열의 문하에 있었는데 윤증의 부친 윤선거(尹宣擧)가 예(禮)를 논할 때 송시열이 따르지 않았던 까닭에 윤증이 박세채와 합하여 송시열을 반대했던 것이다. 이에 송시열이 다시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로부터 조정의 논의가 나뉘어 송시열을 주(主)로 하는 자는 노론이 되고 윤증, 박세채를 주로 하는 자는 소론이 되었다.


개요
팝업창 닫기
책목차 글자확대 글자축소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페이지상단이동 오류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