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 사이트 소개
소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우리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수많은 주제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대부분 시대별로 간략히 서술되어 그 개념과 변천 과정, 성격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영상 문화·예술이야기>는 한국사 속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주제별로 그 흐름과 변천 과정, 특징과 성격 등을 전문가의 해설을 기반으로 동영상 자료로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DB 구축 참여자
주제명 기획 자료해설 자문 연출 시나리오 구성 기획 제작 구축연도
석탑 김소남
박남수
박경식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안현진 (주)아리랑TV미디어 2016
무덤 김재홍
토우와 토용 김현희
토기 권오영
기와 이병호
조선시대 회화 조규희
한국의 성 서정석
불사 이기선
음악 송지원
도성과 왕궁 박순발
고려청자 전미희
김소남
조은정 윤종원 김미현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7
분청사기 박경자
백자 박정민
복식 이은주
사찰건축 이종수 최광석 배수영
고려불화 김정희
서예 손환일
지도 양보경
동종 김소남
임천환
원보현 윤종원 배수영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8
서원 조재모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정성희
제지술과 인쇄술 이재정
통신사행렬도 정은주 최광석 김미현
한글소설 유춘동
화폐 정수환
석빙고 임천환
서일수
김지영 김기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19
최형국
화약무기 김해인 문현성 한정옥
김병륜
김치 김혜숙 윤종원 나누리
인삼 김성수
담배 임성수 신정화 윤옥희
구황작물 구열회
온돌 임천환
이홍구
경석현 윤종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20
농기구 염정섭
바둑 남치형 김기원 김자경
문방사우 김지나
화장 이민주 신정화 한정옥
관례 김지영
목간 이경섭 문현성 이나경
봉수 김경태
판소리 신재호
이홍구
최혜진 문현성 곽기연 스토리라인 2021
궁중음식 박은혜
의궤 신병주 김기원 나누리
갓과 모자 장경희 김기원, 윤종원
종묘 조재모 윤종원 정은주
종묘제례악 송지원
감염병과 방역 김호 신정화 한정옥
풍속화 유재빈
궁궐 신재호
이홍구
조재모 김기원 한정옥 스토리라인 2022
전통정원 소현수
조선왕조실록 강문식
칠공예 최영숙 신정화 김자경
염직 백영미
탈놀이 허용호 윤종원, 유환수 임승연
궁중무용 손선숙 문현성
민화 유미나 문현성 나누리
어보 성인근
읍성 신재호
이주호
이일갑 지해
김성진
하원기 스튜디오바카 2023
혼례 김연수
질그릇 한혜선 지해
손희창
홍종화
탱화 유경희
농악 양옥경
해녀 오상학 지해
김정동
사이트소개 창 닫기
시나리오

죽은 자의 신앙과 신분, 생활을 전해주는 무덤
그래서 왕은 살아서도 왕이요, 죽어서도 왕이었다.

사자(死者)의 서신, 무덤

시대별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 변모했던 무덤!!
무덤은 죽은 자의 신앙과 신분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교과서 속 문화 예술 이야기!
오늘의 주제는 고대의 무덤입니다.

청동기 시대부터 두드러진 정치권력과 사회의 신분구조
장례의식을 통한 권력 세습의 합리화
이는 죽은 이를 위함이 아니라 산자를 위함이었다.

무덤은 만든 재료에 따라 흙무덤, 나무로 만든 무덤, 돌로 만든 무덤이 있었습니다.

흙무덤 / 움무덤, 독널무덤
나무 / 나무널무덤, 나무덧널무덤, 귀틀무덤
돌 / 고인돌, 돌무지무덤

신석기 말 : 중국
(우리나라는 청동기~철기시대에 발달함)
독널무덤
청동기 시대 고인돌, 돌널무덤
초기철기시대 및 삼한시대 나무널무덤, 나무덧널무덤
고구려 돌무지무덤, 봉토무덤, 벽화무덤
백제 돌무지무덤, 벽돌무덤, 돌방무덤
가야 나무덧널무덤, 돌덧널무덤
신라 돌무지덧널무덤, 굴식 돌방무덤
통일신라 굴식 돌방무덤, 뼈항아리
발해 벽돌무덤, 돌덧널무덤, 돌방무덤
고려 시대 돌방무덤, 공민왕릉에서는 벽화발견
조선 시대 회격묘

이렇듯, 시대별로 수많은 무덤 형태가 있었는데요.
여기서 주목할 무덤! 첫 번째!
모두들 잘 알고 있는 무덤! 고인돌입니다.

중국 동북지방 및 북방지역문화의 영향을 받은 청동기 시대!
청동기 시대 대표적 무덤 고인돌
형태에 따라 탁자식, 개석식, 기반식

탁자식 고인돌 : 땅위에 넓적한 판돌을 세워 긴 네모꼴의 무덤 칸을 만들고 그 안에 주검을 넣은 뒤 그 위에 크고 넓은 덮개돌을 덮는 형식
중국 동북지방, 평안남도와 황해도 지방에 주로 분포

삼국 중 가장 먼저 고대 국가 체제를 갖추고,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를 좌우했던 강국! 고구렵니다.

고구려 무덤

다양한 무덤이 발견됐던 고구려
그중에서도 주목할 무덤은?

우리가 주목해야 할 무덤은 바로 벽화무덤입니다.

제1기

- 3~5세기 초
- 평양, 안악 부근의 안악3호분, 덕흥리 벽화고분
- 집안 지역의 각저총, 무용총
- 불교적인 색체가 짙은 연꽃 등을 묘사

제2기

- 5세기 중엽~6세기 초
- 장천 1호분 : 수문위사, 가무진찬, 백희기악, 수렵도, 보살 및 여래좌상, 예불공양도, 비천상, 기악천, 연꽃무늬, 일월상, 북두칠성, 사신도
- 쌍영총 : 수문위사, 묘주도, 공양행렬도
- 덕화리 1호분 : 상상적 사실성이 담겨진 것이 특징

제3기

- 6세기 중엽~7세기
- 진파리 4호분 : 연지도는 불교적 색체가 짙음
- 강서대묘, 강서중묘 : 남조미술의 영향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사신도의 백미로 꼽힘

부여계 이주민들이 한강 유역에 세운 백제국은 한성기와 웅진기, 사비기로 나뉩니다.
이들 각 시기의 고분군은 서울 석촌동 돌무지 무덤(적석총), 웅진 송산리 고분군, 그리고 부여 능산리 고분군으로 바뀌었습니다.

석촌동 고분

백제 초기의 왕이나 지배계층의 무덤인 석촌동 고분
고구려 초기의 무덤양식인 돌무지무덤의 형태

무령왕릉

백자등잔을 두어 무덤방을 환하게 비추었고, 무덤방에 왕과 왕비의 널이 안치
악귀를 몰아내고 무령왕과 왕비를 보호하려 둔 돌짐승
중국 남조의 문화를 보여주는 무령왕릉

백제금동대향로

부여 고분군의 묘제는 돌방무덤으로 통일
웅진 도읍기 이후에 변화·발전된 묘제 양상이 그대로 반영
돌방무덤이 터널식에서 고임식으로 변천

자~ 신라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나요?
경주, 수학여행, 선덕여왕, 전 이것이 떠오릅니다. 황금의 나라~

신라

6세기 율령을 반포
불교를 받아들이고 고대국가 체제를 완성한 신라
무덤에서 출토된 금관, 귀걸이 등의 금제품
>황금의 나라, 신라의 무덤을 상징한다.

신라의 고분은 주인을 알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유물에 따라 주인을 추정했는데요.
황금의 나라라는 명칭에 걸맞게 유물은 대부분 금관이나 금으로 만든 장식품이었습니다.
신라 금 관련 유물은 금관총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금관총은 최근 화제가 되고 있죠.

최초의 피장자의 명칭을 추정할 수 있는 고분
2013년 7월 금관총 환두대도에서 ‘尒斯智王’ 명문을 발견

“이사지왕에 대해서는 소지왕설과 눌지왕설, 그리고 이사부설 등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신라 돌무지덧널무덤이 언제 만들어졌는가 하는 문제와 더불어 논쟁 중에 있습니다.”
- 5, 6세기 축조된 어느 왕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천마총
- 신라의 대표적인 돌무지 덧널무덤
- 여기서 주목해야 할 유물!
- 금관, 금제허리띠 등과 함께 출토된 - 자작나무 껍질에 하늘을 나는 말을 그린
- 천마도장니

신라는 결국 삼국을 통일하고 통일신라시대를 엽니다.
신라의 정신세계를 지배했던 불교는 통일신라시대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오는데요.
무덤에서도 불교의 영향을 엿볼 수 있습니다.

통일신라 무덤

신라의 대표적인 무덤인 돌방무덤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무덤도 성행
당시 왕릉 조성에서 가장 완성된 단계에 도달한 통일신라시대의 무덤

괘릉

당대(唐代)의 석물(石物), 신도(神道)가 완비된 형식의 무덤
괘릉의 형식은 봉투 주위에 둘레돌을 돌리고, 무덤의 앞길에 십이지상, 문인상, 무인상, 돌사자를 세우기도 했다.
이는 고려, 조선의 왕릉에도 영향, 통일신라시대의 왕릉이 한국식 왕릉의 시작이라는 의의가 있다.

경주 괘릉 - 십이지상, 무덤의 앞길에 문인상 무인상 돌사자
통일신라시대의 왕릉이 한국식 왕릉의 시작이라는 의의
왕릉급의 무덤에는 십이지상과 토용
십이지상을 무덤 둘레에 배치

중국에선 해동성국으로 칭송됐던 나라~
수준 높은 문화를 이룩했던 발해는 우리 역사상 가장 넓게 영토를 차지했던 나랍니다.
그래서일까요? 최고 권력층의 무덤은 정교하고 웅장합니다.

삼각고임식 대표적인 무덤

정혜공주묘

천장의 모양에 따라 고임식과 평천장으로 구분
정교하게 가공한 판석 또는 할석을 쌓고 돌방에는 널받침대, 최고 지배층의 무덤

신분, 종교, 문화
이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조형물, 무덤

-------------------------------------

원고 자문 : 김재홍
시나리오 구성 : 안현진, 김민상
성우 : 오수경
MC : 주혜빈, 황바울
삽화 : 이광일
자료 협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문화재청, 한성백제박물관, E-뮤지엄
연출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기획 제작 : 아리랑TV미디어

참고자료

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1985, 『국립중앙박물관 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1996, 『국립중앙박물관 도록』
  • 국립중앙박물관, 2007, 『국립중앙박물관 도록』
  •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청, 2007, 『발굴에서 전시까지』
  • 국립중앙박물관, 1993, 『한국 선·원사 토기』
  • 국립중앙박물관, 2015, 『신석기인,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다』
  • 국립중앙박물관·범우사, 1990, 『한국 청동기문화』
  • 국립중앙박물관, 2010, 『청동기시대 마을풍경』
  • 국립전주박물관, 2010, 『금강의 새로운 힘, 2100년 전 완주 사람들』
  • 국립광주박물관, 1992, 『한국의 옹관묘』
  • 국립중앙박물관, 1998, 『고고자료로 본 한국 고대국가의 형성』
  • 국립중앙박물관, 2001, 『낙랑』
  • 국립중앙박물관, 2008, 『갈대밭 속의 나라 다호리』
  • 국립전주박물관, 2009, 『마한 숨쉬는 기록』
  • 국립중앙박물관, 1997, 『한국 고대의 토기』
  • 서울대박물관, 2000, 『고구려』
  • 국립중앙박물관, 2008, 『고구려 무덤벽화』
  • 복천박물관, 2012, 『고구려 한반도를 품다』
  • 국립광주박물관, 1998, 『영산강의 고대문화』
  • 국립중앙박물관, 1999, 『백제』
  • 국립공주박물관, 2006, 『한성에서 웅진으로』
  • 경기도박물관, 2006, 『한성백제』
  • 국립부여박물관, 2007, 『그리운 것들은 땅 속에 있다』
  • 국립청주박물관, 2012, 『신봉동, 백제의 전사를 만나다』
  • 국립나주박물관·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15, 『마한의 수장, 용신을 신다』
  • 국립경주박물관, 1996, 『신라인의 무덤』
  • 국립경주박물관, 2000, 『신라 황금』
  • 국립중앙박물관, 2010, 『황남대총』
  • 국립춘천박물관, 2013, 『흙에서 깨어난 강원의 신라문화』
  • 국립경주박물관, 2014, 『천마, 다시 날다』
  • 국립중앙박물관·부산시립박물관, 1991, 『가야』
  • 부산대박물관, 1998, 『김해의 고분문화』
  • 경상북도, 1999, 『가야문화도록』
  • 대가야박물관, 2004,『대가야의 유물과 유적』
  • 복천박물관, 2004, 『금관가야와 신라』
  • 군사대박물관, 2005, 『전북 동부지역 가야유물』
  • 국립김해박물관, 2012, 『양동리, 가야를 보다』
  • 국립전주박물관, 2012, 『운봉고원에 묻힌 가야무사』
  • 국립대구박물관, 2015, 『고령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
  • 국립중앙박물관, 2003, 『통일신라』
  • 서울대박물관, 2003, 『해동성국 발해』
  • 부산박물관, 2014, 『러시아연해주문물전 프리모리예』
  • 장경희, 2008, 『고려왕릉』, 예맥
  • 국립중앙박물관, 2009, 『고려』
  • 국립중앙박물관, 2010, 『조선』
  • 국립중앙박물관, 2011, 『조선묘지명』
  • 국립전주박물관, 2001, 『한·일 고대인의 흙과 삶』
  • 국립중앙박물관, 2005, 『일본미술』
  •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고분편』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5, 『한국고고학전문사전; 고분유물편』

문헌

  • 강인구, 1977, 『백제고분연구』, 일지사
  • 강인욱외, 2008, 『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 동북아역사재단
  • 강현숙, 2013, 『고구려 고분 연구』, 강현숙, 진인진
  • 高久健二, 1995, 『낙랑고분문화연구』, 학연문화사
  • 곽장근, 1999,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09, 『한국의 고대 옹관』
  •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009, 『한국의 고대 옹관』,
  • 국사편찬위원회 편, 2005,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 김낙중, 2009, 『영산강유역 고분 연구』, 학연문화사
  • 김세기, 2003, 『고분자료로 본 대가야 연구』, 학연문화사
  • 김용성, 1998, 『신라의 고총과 지역집단』, 춘추각
  • 김원룡, 1974, 『한국의 고분』, 교양국사총서 2,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 東潮, 1997, 『高句麗考古學硏究』, 吉川弘文館
  • 박순발, 2001, 『한성백제의 탄생』, 박순발, 서경
  • 박천수, 2007, 『새로 쓰는 고대한일교섭사』, 사회평론
  • 배진성, 2009, 『무문토기문화의 성립과 계층사회』, 서경문화사
  • 서현주, 2006, 『영산강 유역 고분 토기 연구』, 학연문화사
  • 오강원, 2006, 『비파형동검문화와 요령지역의 청동기문화』, 청계
  • 이남규외, 2006, 『낙랑문화연구』, 동북아역사재단
  • 이남석, 2002, 『백제 묘제의 연구』, 서경문화사
  • 이성주, 1998, 『신라·가야사회의 기원과 성장』, 학연문화사
  • 이성주, 1998, 『신라·가야사회의 기원과 전개』, 이성주, 학연문화사
  • 이영문, 2002, 『한국지석묘사회연구』, 학연문화사
  • 이종선, 2000, 『고신라왕릉연구』, 학연문화사
  • 이청규, 1995, 『제주도 고고학연구』, 학연문화사
  • 이한상, 2004, 『황금의 나라 신라』, 이한상, 김영사
  • 이한상, 2009, 『장신구 사여체계로 본 백제의 지방지배』, 서경문화사
  • 이희준, 2007, 『신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 전호태, 2000,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 전호태, 2000,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전호태, 사계절
  • 조영제, 2007, 『옥전고분군과 다라국』, 혜안
  • 지건길, 2014, 『한반도의 고인돌사회와 고분문화』, 사회평론
  • 최병헌, 1992, 『신라고분연구』, 일지사
  • 최성락, 1993, 『한국 원삼국문화의 연구』, 학연문화사
  • 콜린 렌프류(이희준 역), 2007, 『현대 고고학의 이해』, 사회평론
  • 한국고고학회편, 2011, 『한국 고고학 강의』, 사회평론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11, 『신라 형성기의 유적』
  • 홍보식, 2003, 『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 춘추각

김재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