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구분
|
청동기 시대(북방계통) : 고조선
|
철기 시대(중국계통) : 위만조선, 초기 국가
|
보급
|
한반도 : 기원전 10세기경, 만주 : 기원전 15-13세기경
|
기원전4세기경부터
|
무기
|
비파형 동검 → 정복 활동
|
철제 무기 : 청동기는 의식용 도구로
|
농기구
|
반달돌칼, 바퀴날도끼, 홈자귀 등 간석기 다양화
|
철제 농기구의 사용 : 농업발달, 경제 기반의 확대
|
토기
|
미송리식 토기2, 민무늬 토기, 붉은 간 토기
|
덧띠 토기, 검은 간 토기
|
무덤
|
고인돌3, 돌무지무덤, 돌널무덤
|
널무덤, 독무덤
|
사회
|
생산 경제 발달, 전문 장인 출현, 남녀 분업,
사유 재산 제도, 계급 발생(군장 출현, 선민 사상)
|
중국과 교류 활발 : 명도전, 오수전, 반량전,
창원 다호리 붓(한자 사용) 출토
|
특징
|
비파형 동검, 거친 무늬 거울, 미송리식 토기,
북방식 고인돌 : 고조선 세력 범위와 일치
|
독자적인 한반도 청동기 문화 :
세형동검, 잔무늬거울, 거푸집
|
농업
|
밭농사 중심(조, 보리, 콩, 수수), 일부 저습지에서
벼농사, 가축 사육 증가(돼지, 소, 말)
|
주거
|
배산임수의 취락(농경 발달, 인구 증가로 정착 생활
규모 확대), 움집의 지상 가옥화(직사각형)
|
예술
|
종교나 정치적 요구와 밀착 : 청동 제품, 토제품,
바위 그림(울주 반구대, 고령 알터) → 주술적 의미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