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리론
주리론은 주자의 견해를 보다 충실하게 받아들인 것으로, 이기 이원론의 입장에 서서 이(본질)와
기(현상)는 서로 다른 것이면서 서로 의지하는 관계에 있지만 어디까지나 이가 기를 움직이는
본원이라고 보는 견해이다. 따라서, 인간의 심성 문제를 해석함에 있어서도 이(본연의 성)는
순선무악한 것이고, 기(기질의 성)는 가선가악한 것이라 하여 이에 절대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이 학설은 이언적에서 시작되어 이황에 이르러 대성되었는데, 특히 이황은 동방의 주자라
불릴만름 주자의 교리에 충실하였다. 그의 문하에서는 유성룡, 김성일, 정구 등이 배출되어
영남 학파를 형성하였으며, 일본 유학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2. 주기론
주기론은 서경덕이 처음으로 주자의 학설을 비판하고 이기 일원론을 주장한데서 비롯된 것로 이이에
의해서 대성을 보았다. 이것은 우주 만물의 근원을 기에 두고 모든 현상들을 기의 변화, 운동으로
보는 입장이었으니, 여기서 이는 기를 움직이는 법칙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심성론에 있어서도
본연의 성(이)보다 기질의 성(기)을 더욱 중요시하였으며, 정치·경제 등 현실 인식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이 학풍은 이이를 비롯해서 성혼, 송익필과 이이의 제자인 김장생, 정엽
등에게 이어겨 기호 학파를 형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