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조선 후기 성리학자들 사이에서 논의된, 인간과 동식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에 대한 이론. 같다고 주장하는 이론이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이고 다르다고 주장하는 이론이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이다. 조선조 중기까지의 성리학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된 것은 하늘과 사람의 관계였다. 그 결과 사람의 삶의 바탕이 되는 하늘의 이치를 근거로 하여 하늘과 사람이 본래 하나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이러한 논리에서 보면 동물이나 식물의 삶도 본질적으로 하늘의 이치를 바탕으로 하므로 역시 하늘과 하나라는 사실이 성립된다. 이러한 이론이 성립되면 관심의 대상이 저절로 사람과 동식물의 관계로 옮겨갈 수밖에 없다. 조선조 후기에 인물성동이론이 활발하게 전개된 까닭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성리학에서는 원래 인간의 본성을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에 따르면, 본연지성의 입장에서는 모든 사람이 동일한 존재가 되지만 기질지성의 입장에서는 사람들이 각각 기질에 따라서 구별되는 존재로 파악된다. 그런데 이때 의문이 일어나는 것은 본연지성의 입장에서 볼 때 동물이나 식물까지도 모두 동일한 존재가 되는가 어떤가 하는 점이다. 이러한 의문은 주로 송시열의 문하에서 제기되었다. 1678년(숙종 4) 권상유가 주희의 《태극도설해》에 있는 "혼연한 태극의 전체가 모든 물체에 각기 갖추어져 있지 않음이 없다"는 말에 의심을 품고 그의 형 권상하에게 질문하였을 때, 권상하는 "이(理)를 말하면 온전하지 않음이 없으나 성(性)을 말하면 편벽된 것과 온전한 것이 있다"고 답하였다. 이로부터 권상하의 문하에 인물성동이론에 관한 논의가 일어나게 되었는데 이간과 한원진이 중심이 되었다. 이들의 논쟁을 출신지역에 따라 ‘호락논쟁’이라고도 한다. 이간은 사람과 동물이 다르고 사람들 상호간에도 서로 다른 것은 기질의 차이 때문이므로 본연지성의 입장에서는 모두 같다고 파악함으로써 인물성동이론을 주장하였다. 이에 비하여 한원진은, 본연지성을 주장하는 근거는 성즉리설(性卽理說)인데, 성즉리란 성즉리지재기(性卽理之在氣)의 줄임말로 볼 수 있으므로 본연지성이라 하더라도 실제로는 기(氣)에 내재되어 있을 수밖에 없다고 파악함으로써 기질지성의 실재성을 부각시키고 이를 근거로 해서 인물성이론을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