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자료] |
|
|
|
1. 역사의 어원 |
|
|
|
|
|
|
한자의 역사(歷史)에서 역(歷)이란 ‘과거에 있었던 사실’이나 ‘인간이 과거에 행한 것’을 의미하며, 사(史)란 ‘기록을 관장하는 사 |
|
|
람’ 또는 ‘기록한다’는 의미로 쓰였다. 한편 영어의 ‘Historia’라는 단어의 어원으로는 독일어의 ‘Geschichte’와 그리스어의 ‘histosria’가 있는데, 전자는 ‘과거에 일어난 일’,후자는 ‘탐구를 통하여 획득한 지식’을 의미한다. |
|
|
|
|
|
2. 역사관이란 |
|
|
|
|
|
역사에 대한 견해나 역사를 생각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말에는 역사관, 역사 의식, 역사적 사고, 역사를 보는 눈 등의 용어가 쓰이 |
|
|
고 있다. 그러나 이들 용어의 기반이 되고 있는 것은 역사관(줄여서 사관(史觀))이라 할 수 있다. 개인에 따라 다른 인생에 대한 관점을 인생관이라 하듯이 개인의 역사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역사관이라고 할 수도 있겠으나, 학문과 교육의 세계에서 말하는 역사관은 이념 체계 혹은 주의를 배경으로 하는 특정한 견해를 지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거, 유럽에서 보이는 역사관으로는 그리스에 기초한 운명론적 순환 사관, 크리스트교사관, 인간 중심의 진보 사관, 그리고 토인비의 문명 사관 등을 들 수 있고, 우리의 역사 인식 발전 과정에서 보이는 역사관으로는 왕조 사관, 민족 사관, 유물 사관, 실증주의 사관, 민중 사관 등을 들 수 있다. |
|
|
|
3. 다양한 역사관의 해석 |
|
|
|
(1) 크로체(Croce) : 모든 역사적 판단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실천적 요구이기 때문에 모든 역사에는 현재의 역사라는 성격이 부여 |
|
|
|
된다. 서술되는 사건이 아무리 먼 시대의 것이라고 할지라도 역사가 실제로 반영되는 것은 현재의 요구 및 현재의 상황이며 사건은 단지 그 속에서 메아리칠 뿐이다. |
|
(2) 랑케(Ranke) :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죽이고 과거가 본래 어떠한 상태에 있었는가를 밝히는 것을 자신의 지상 과제로 삼아야 하 |
|
|
며, 이 때 오직 역사적 사실로 하여금 말하게 해야 한다. |
|
(3) 카(E.H.Carr) : 역사가가와 사실은 서로가 필요한 존재이다. 사실을 가지지 못한 역사가는 뿌리가 없는 무능한 존재로 열매를 맺 |
|
|
|
지 못한다. 역사가가 없는 사실이란 생명 없는 무의미한 존재이다. 그러므로 역사는 역사가와 사실 사이의 상호 작용의 부단한 과정이며,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
|
|
4.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 |
|
|
|
|
문화는 각각 특수성과 보편성, 개별성과 공통성, 지역성과 세계성을 지니고 있다. 각 문화권은 개별성을 강조함으로써 그 존재 |
|
이유를 명확하게 하고, 동시에 각각 다른 특수성을 드러냄으로써 인류 문명은 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 지역, 한민족의 문화가 지역과 민족을 초월하여 전파되어 간다면 그것은 곧 그 문화의 특수성 안에 다른 지역, 다른 민족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불교는 인도에서 시작되었으나, 중국, 한국, 일본 및 동남 아시아에 널리 퍼졌으며, 바로 불교가 지닌 보편성, 세계성 때문에 불교는 그것을 수용한 나라의 문화로 전파될 수 있었던 것이다. 문화는 이처럼 그것이 지닌 보편성 때문에 상호 이해와 교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
|
|
5. 동양과 서양의 역사 인식 비교
|
|
구 분 |
동양의 역사 인식 |
서양의 역사 인식 |
의미 |
역 (歷) : 과거에 있었던 사실, 인간이 과거에 행한것 사 (史) : 기록을 관장하던 사람, 기록한다. |
history(영어) : 이야기, 지식의 탐구
historia(그리스어) : 탐구, 탐구를 통해 얻은 지식
Geschichte(독일어) : 과거에 일어난 일 |
차이점 |
사관의 기록 → 자의적 해석 금기시 |
주관적 서술이 중심을 이루는 학문 |
|
|